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Issue] 전기, 이제 주변에서 수확한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전력은 KTX 열차가 28.5μW, 새마을 열차가 0.65μW, 무궁화열차가 0.51μW로 나타났다. 보청기 하나 충전하기에도 턱 없이 모자란 양이다. 교량 진동은 넓은 주파수대에서 나타나는데, 압전소자는 아직 특정 주파수대의 에너지만 수집할 수 있기 때문이다. 권 교수는 “철도가 지나갈 때 생기는 교량 진동은 ... ...
- [Knowledge]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훨씬 싼 전기 만든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산업통상자원부가 2013년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을 13개 산업엔진 프로젝트 중 하나로 선정했다. 2016년부터 2021년까지 총 1862억 원을 투입해 대구시에 10MW급 실증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추진단을 이끌고 있는 염충섭 고등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은 대한전기협회 기고문에서 “발전플랜트 시장은 ... ...
- [Life & Tech] 사랑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동일화 과정을 외부로도 확장시킵니다. 서로 같은 옷을 입은 상대를 바라보며 상대와 더 하나가 된 느낌을 받습니다.이미 서로를 완전히 다 알아버려서 동일화를 하려야 할 수가 없다면 어떻게 할까요?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새로운 것을 시도하세요. 할아버지와 할머님도 73년의 세월 내내 커플 ... ...
- [Hot Issue] 다 쓴 원전, 때 벗기고 로봇으로 해체한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설치해놓고 사람은 모두 철수한다. 그런 다음 조종실에서 로봇을 움직여 원자로를 하나하나 절단한다. 잘라낸 조각은 바로 드럼에 넣어서 방사성폐기물처분장으로 보낸다.로봇 작업은 굉장히 어렵다. 오염된 부위를 정확하게 잘라낸 다음 200L 드럼에 꽉 들어차게 차곡차곡 넣는 일은 사람이 직접 ... ...
- [Life & Tech] 낮져밤져 남친 혹시 탈모약 때문?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살펴봅시다.당신의 남자친구는 탈모입니다공통점이 없어 보인다고요? 좀 놀아본 제 눈엔 하나의 연결고리가 보입니다. 놀라지 마세요. 당신의 남자친구는 탈모입니다.검은콩부터 시작해 보겠습니다. 탈모 환자들 사이에서 검은콩이 특효약으로 통합니다. 머리숱 때문에 고민이라는 연예인들도 ... ...
- [Life & Tech] 찜질방 계란은 왜 갈색일까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여기저기 둘러보던 소년은 벽에서 온도 조절기를 발견합니다. “이 찜질방은 전기로 하나 봐. 에잇, 고급에너지로 난방을 하다니.”갑자기 소녀가 웃음을 터뜨립니다. “푸하하, 에너지에 고급 저급이 어디 있어? 총량은 보존되고 에너지끼리 서로 전환되는 거 몰라?” 이에 질세라, 소년이 딱 잘라 ... ...
- 겨울에만 피는 꽃, 상고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사실 같은 나무라고 해도 모습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상고대가 만드는 형상은 하나하나가 전부 특색이 있지. 이 점이 겨울에 피는 꽃인 상고대가 봄에 피는 꽃과 비교해서 색다른 면이라고 할 수 있어. 바라보는 내내 지루할 틈이 없다는 말씀~. 나무에 생긴 상고대는 산호초처럼 보이기도 하고, ... ...
- 낙지 VS 주꾸미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긴 다리로 얕은 바다의 돌 틈이나 갯벌에 굴을 파고 살아요. 여덟 개의 다리 중에서 딱 하나만 유난히 길고 굵은데, 이 다리에 나 있는 빨판은 유난히 커요. 이 빨판의 힘으로 바위에 붙어 지내거나 조개나 새우, 게 등을 잡아먹는답니다.세발낙지세발낙지는 ‘다리가 가느다란 낙지’라는 뜻으로 ... ...
- [화보] 종이, 날다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여긴다.에레라는 새의 화려한 색감과 개성 있는 생김새에 매료돼 새의 종류와 특성을 하나씩 공부하기 시작했다. 새에 대해 공부하면서 생태계와 환경이 어떻게 변화하고 진화하는지도 알게 됐다. 새의 특성을 알고서 만든 작품은 더욱 정교해졌고, 단순히 앉아 있는 모습뿐만 아니라 새가 날아가는 ... ...
- [지식] 유리를 샌드위치처럼 만들면 어떨까?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중에 깨지면 큰 피해를 가져왔다. 기차도 마찬가지였다. 길에서 창문으로 튄 작은 돌멩이 하나에 승객이 위험해졌다. 베네딕투스는 이런 사실에 충격을 받고, ‘유리를 깨지지 않게 하는 화학 물질’이 있을지 고민하기 시작했다. 불현듯 흩어지지 않던 플라스크가 생각났다.‘그래! 바로 이거야!’ ... ...
이전4634644654664674684694704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