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행동
작용
행위
실행
동작
행동거지
몸짓
d라이브러리
"
활동
"(으)로 총 6,600건 검색되었습니다.
배달된 돌덩어리는 방사성물질?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방사선 궤적이 보이는 까닭안개상자에서 방사선 궤적을 볼 수 있는 이유는 간단한
활동
으로 확인할 수 있다. 먼저 5백mL용 페트병 2개를 준비한다. 한 페트병에는 향의 연기를 조금 넣고 다른 하나는 그대로 둔다. 그리고 두 페트병에 각각 알코올 1mL 정도를 넣고 뚜껑을 닫은 다음, 페트병을 ... ...
테러범 잡는 탐지견의 세계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했다. 바로 뇌의 통제를 받는 조건반사다. 탐지견의 경우에도 계속적인 훈련을 통해 탐지
활동
에 성공할 때마다 보상이 이뤄진다는 사실이 머리에 완전히 새겨진다. 그래야 개는 무의식적으로도 끊임없이 폭발물을 찾으려 노력하게 된다. 많이 먹지 못하는 고단한 생활까다로운 탐지견 훈련에 모두 ... ...
추사 김정희가 세한도에 그린 가옥의 정체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그리는 화풍이 정착했다. 또한 세한도가 그려진 시기는 우리 풍속화의 대가인 김홍도가
활동
했던 시기와도 겹친다. 추사가 과연 이런 시대적 분위기를 도외시한 채 관념으로만 그림을 그렸을까. 당시의 실제 건축 분위기가 어떠했는지를 살펴보면 어느 정도 해답을 찾을 수 있다.다양한 조류 속에서 ... ...
남극 일부지역 얼음층 두꺼워져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반대 현상이다.이번 연구결과에 대해 과학자들은 남극에서 얼음층의 두께가 얇아지는
활동
이 완전히 멈춘 것인지, 아니면 일시적인 변동일 뿐인지 두갈래 해석을 내놓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해 결론지을 만큼 남극의 기후변동이 아직 충분히 이해되지 않았다.한편 조긴 박사는“나머지 남극 ... ...
왜 극저온 상태를 얻으려 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수십-수백년이 걸리는 우주여행은 인간의 수명보다 길게 진행된다. 따라서 냉동으로 생명
활동
을 멈췄다가 목적지에 도달한 후 다시 살아남으로써 기나긴 우주여행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현재 동물을 이용한 생명체에 대한 냉동실험이 진행중이다. 그러나 냉동된 생명체를 살리는 문제는 아직 ... ...
두명의 과학자와 결혼한 여성 - 마담 라부아지에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정교한 실험기구들을 마련하기에 충분한 수입을 보장해줬다. 같은 시대 영국에서
활동
했던 다른 과학자에 비한다면 그는 지나치게 사치스러울 정도로 훌륭한 경제적 여건에 놓여있었던 것이다.혹자는 라부아지에가 정량화라는 방법을 도입해 화학혁명을 가져올 수 있었던 것은 화학적 직관이나 ... ...
붉은 행성에 닻 내리는 사신 - 오디세이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거주하면서 총 25명의 화성우주비행자원자가 생활한 바 있다. 결국 다양한 무인 탐사선의
활동
으로 수집된 자료들은 이들을 화성으로 보내기 위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물론 이들에게 실제 화성우주비행사로 뽑히는 행운이 있다면 말이다 ... ...
1년은 항상 3백65일인가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광합성작용을 시작한 원핵생물이다. 오늘날에도 오스트레일리아의 샤크만(shark bay)에서
활동
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시아노박테리아는 낮에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광합성작용을 통해 산소를 발생시키고, 밤에는 주변의 탄산칼슘 알갱이를 포획한다. 다시 날이 밝으면, 빛을 향해 자라는 성질이 ... ...
수난의 시대, 역사 속의 여성과학자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분야에서 여성은 예외적인 현상이 아니다. 무급직의 고통을 감수하며, 자신의 연구
활동
을 보장받는 일에 급급해야 했던 과거 선배 여성과학자들과 달리, 최근 여성과학자들은 안정적인 자리에서 후배 과학자 양성에 몰두할 수 있는 상황에 이르게 됐다. 1995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공동으로 수상한 ... ...
풍선과 병이 만났을 때 - 풍선 잡아먹는 병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행사에서 빠지지 않은 단골 소품이면서 대표적인 장난감인 고무풍선은 과학실험이나
활동
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런 고무풍선을 누가 최초로 만들었을까. 전자기학에서 패러데이 법칙으로 잘 알려진 마이클 패러데이가 주인공이다. 그는 1824년 두장의 고무를 둥글게 잘라 포갠 뒤 ... ...
이전
463
464
465
466
467
468
469
470
4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