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금"(으)로 총 12,639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으로 달리는 똑똑한 지하철수학동아 l2014년 07호
- 새로운 동물을 찾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그 결과 전세계 많은 사람들이 지금도 응모에 참여하고 있다.그렇다면 우리나라 지하철 노선도에는 동물이 없을까? 지난 2006년 경남대 수학교육과 박부성 교수는 서울지하철 노선도에서 악어, 아기 코끼리, 타조 등 10개의 동물을 찾아 자신의 ... ...
-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산책 제곱근과 전자, 그리고 클리퍼드수학동아 l2014년 07호
- 바로 이런 등식을 성립하는 수 체계를 19세기 중반에 클리퍼드가 발견했고, 그 체계가 지금은 클리퍼드 대수라 불리고 있다. 클리퍼드가 발견한 이 수 체계는 전자 상태의 내부 스핀을 설명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클리퍼드가 이런 대수를 공부한 동기와 시공간 제곱근 이야기는 9월호에 ... ...
- 아바타 기술에 수학이 있다!수학동아 l2014년 07호
- BCI 기술이란 무엇일까?지난 2010년 개봉한 영화 는 당시 전세계에서 동시 개봉돼 지금까지 역대 1위의 흥행기록을 유지하고 있다. 가 이렇게까지 큰 인기를 누린 비결은 무엇일까? 아마도 최첨단 장비로 찍은 영상미가 한몫했겠지만, 가상의 세계에서만 존재했던 아바타의 존재를 ... ...
- [생활] 계산을 쉽고 편리하게! 소수점과 순환소수수학동아 l2014년 07호
- 곱도 오른쪽과 같이 구했다. 이 식은 0.000378과 0.54를 곱해 0.00020412가 나온 것을 의미한다. 지금 보면 굉장히 독특하고 복잡해 보이지만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표기법으로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사실 스테빈의 원문자 표기법은 쓰기에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스위스의 수학자인 요스트 ... ...
- 7회 명성병원에서 최동건의 비밀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4년 07호
- 모두 일리가 있어. 분명한 건 최동건 쌍둥이 형제의 교통사고에 수지가 연관이 있고, 지금 반드시 수지의 행방을 찾아야 한다는 거야. 어서 2012년 교통사고가 난 현장과 그 날 일어난 사건에 대한 기록을 찾아봐야겠어. 당장 사무실로 돌아가자고!”왕 반장 일행은 서둘러 사무실로 향했다. 그런데 ... ...
- 트랜스포머 사라진 시대수학동아 l2014년 07호
- 열리는데, 혹시 알고 있나요?세계수학자대회에 대해 아무 것도 몰라요. 지금 당신은 나에게 너무 많은 질문을 던지고 있어요. 차라리 내가 기르는 ‘기니 피그’에 대해 물어보는 게 나을 것 같아요.혹시 수학을 잘하고 싶은 생각은 있나요?그럼요. 근데 다른 질문을 해 주세요.대학교에 가면 어떤 ... ...
- 즐거움은 더하고 창의력은 곱하고 2014 온라인수학게임대회수학동아 l2014년 07호
- 게임과 단계별 미션이 마련돼 있어요. 홈페이지(www.milc-seereal.or.kr)에 접속하면 누구나 지금 바로 게임을 해 볼 수 있답니다.아참! 밀크&시리얼 게임을 좋아하는 친구들을 위해, 특별히 과천과학관에서는 올해로 다섯 번째 ‘온라인수학게임대회’를 준비했어요. 이 대회는 평소 밀크&시리얼을 통해 ... ...
- 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1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제한해왔기 때문이다. 세상에 없던 유연한 배터리를 탑재할 미래형 스마트 기기는 지금은 아예 상상조차 할 수 없는 모습으로 우리 앞에 찾아올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1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 ...
- [Life & Tech] ‘날개 없는 선풍기’ 제임스 다이슨 창업자 인터뷰과학동아 l2014년 07호
- 했다.디자인에서 가장 중요한 건 끊임없는 ‘반복’그는 다이슨의 최고 기술자로서, 지금도 대부분의 시간을 RDD(Research, Design and Development) 센터에서 엔지니어들과 함께 보낸다.“역동적인 연구원들과 함께 일하는 데 여전히 전율을 느낍니다. 기술이 다이슨의 미래를 결정하는데, 기술은 회의실에 ... ...
- [이석영 연세대 교수] "우리 모두는 별에서 온 그대"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이대로 넘길쏘냐, 마지막으로 꿈을 물었다.“지금 천문학이 참 좋을 때입니다. 지금 세계적으로 차세대 망원경이 많이 만들어지고 있어요. 10년 뒤면 천문학 연구가 폭발할 겁니다. 과거 100년 동안 했던 것과는 완전히 다른 방법으로 연구를 하게 될 거예요. 정말 기대되지 않나요 ... ...
이전4654664674684694704714724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