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위
주변
테두리
근처
외주
연변
언저리
d라이브러리
"
둘레
"(으)로 총 671건 검색되었습니다.
법의학이 밝히는 진실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의해 고안된 가장 간단한 검당계 검광자(檢光子) A와 편광자 P는 모두 동일한 축
둘레
를 회전하는 니콜 프리즘으로, 그 중간에 농도를 측정할 용액 S를 넣는 일정한 길이의 관을 둔다 진핵세포의 대표적인 세포소기관 콘드리오솜 또는 사립체(絲粒體)라고도 한다간세포(肝細胞)에는 약 2,500, ... ...
도전! 천왕성 맨눈으로 관측하기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이 방법이 유용하다.천왕성 발견의 비화천왕성은 토성의 바로 외곽에서 태양
둘레
를 도는 외행성이다. 천왕성의 발견자는 독일계 영국 천문학자 윌리엄 허셸로 알려져 있다. 허셸은 1781년 3월 13일 밤 천체망원경을 사용해 별을 관측하다가 우연히 천왕성을 발견했다. 그런데 놀랍게도 그가 천왕성을 ... ...
NASA 혜성탐사선 폭발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들어간 탐사선 콘투어는 7월 3일 힘차게 지구궤도로 발사됐다. 하지만 콘투어는 태양
둘레
를 선회하는 궤도로 수정하기 위해 고체추진 로켓엔진을 점화하는 과정에서 폭발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같은 사실은 수색작업에 동원된 지상 망원경들이 포착한 콘투어 영상으로부터 추측됐다. 영상에서 ... ...
천마도 캔버스는 수입품 아니다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있다. 껍질 판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길거나 짧게 얼마든지 조절할 수 있고, 너비는 나무
둘레
와 같으니 알맞은 나무를 고르면 된다.천마도의 경우 지름 약 20cm의 나무에서 껍질을 벗겨 쓴 것으로 보이고, 나이는 30-40년 정도로 짐작된다. 자작나무는 종이가 흔해지기 전에는 천마도처럼 그림을 그리고 ... ...
경상도 지층 속 공룡의 자취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도착한 것은 한참 뜨거울 때인 오후 3시경. 우포늪은 우리나라 최대의 자연늪지로,
둘레
가 7.5km에 면적이 70여만평에 이른다. 눈앞에 펼쳐진 우포늪은 한눈에 모두 들어오지 않았다.우포늪을 잠시 들른 일행은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제오리로 향했다. 제오리 도로변 절벽에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 ...
미 해군의 음파탐지기는 해양 동물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데까지 광범위한 현상에 응용되고 있다하나의 정곡선(定曲線)이 나사선적 운동(定直線의
둘레
에 일정한 角速度로 회전하면서 그 정직선의 방향으로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는 운동)을 할 때 그리는 곡면 1949년 F C 프랭크에 의해 제안된 나사형 어긋나기(螺絲轉位)를 매개로 하는 결정 성장의 이론 ... ...
4. 천연 항암물질 찾아내는 생명공학 비법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지름을 약 4cm 정도로 뻥튀기 해보자. 그러면 인간 세포 속 DNA의 총 길이는 약 4만km. 지구
둘레
에 해당하는 길이가 된다. DNA 한분자의 평균길이는 약 1천km로 한반도 전체의 길이에 해당한다. DNA 한분자에 유전자는 약 6백m 간격으로 나타난다고 할 수 있으며, 실제 한개의 유전자가 차지하는 길이는 4m ... ...
태양계 너머 또다른 목성이 있다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외계 행성계를 발견했다고 NASA에서 발표한 내용을 보자. 태양과 같은 게자리 55번 별
둘레
를 목성과 같은 행성이 목성과 같은 궤도로 돌고 있었던 것이다. 질량이 목성보다 3.5-5배 무거운 이 행성은 별에서부터 5.5AU(천문단위, 1AU=1억5천만km)만큼 떨어진 거리에서 13년에 한번씩 공전하는 것으로 ... ...
누워서 태양계 누비는 푸른 공 천왕성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이름이 붙여졌다. 위성의 운동을 바탕으로 천왕성이 매우 기묘하게 누워서 태양
둘레
를 공전하고 있다는 사실은 1829년에 밝혔다.천왕성의 고리는 재미있게도 보이저가 지구를 떠나기 직전인 1977년에 우연히 발견됐다. 천왕성 뒤쪽을 지나는 별빛을 이용해 천왕성의 대기를 관측하던 중 별빛이 ... ...
말랑말랑한 떡을 냉동보관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물을 붓고 가열하면 미세결정구조가 흩어지고 깨지면서 불규칙하고 느슨해져 그
둘레
를 물분자가 둘러싸게 된다. 결국 녹말은 마치 풀처럼 점성이 강한 액체가 된다. 이를 알파녹말이라고 하며, 이런 현상을 ‘호화’됐다고 말한다.호화가 일어난 알파녹말 상태가 되면 잘 만들어진 떡이나 밥을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