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and
토사
모새
세사
경미토
굵은 모래
자갈
d라이브러리
"
모래
"(으)로 총 1,177건 검색되었습니다.
Bridge. 바람 타고 화성 누비는 텀블위드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2003년에는 모하비 사막에서 약 400m 높이의
모래
언덕을 달리면서 터지지 않았고 경사진
모래
벼랑도 잘 올라갔어. 2004년 그린란드에서는 척박한 환경에서도 10일간 130km나 이동했다고! 최대 이동 속도는 시속 17km, 평균 7km로 이동하면서 20분마다 위성으로 GPS와 함께 탐사 정보를 보냈단다. 남극에서는 ... ...
스파이더맨과 애니멀 어벤져스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쑤시며 장난을 치다 그만 쿵하고 바닥에 쓰러지더니 죽어버린 일도 있었지. 벌레가 사막
모래
를 몸으로 쓸고 다니면서 몸 표면과 마찰을 일으켜 전기를 만드는 능력이 있었거든.캡틴 아메리카는 세계 2차 대전 당시 활동한 영웅이야. ‘슈퍼 솔저’ 프로그램을 통해 인간이 가질 수 있는 최대의 ... ...
비상~! 보이지 않는 습격!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습격3월이 되자 황사가 우리를 공격해왔어. 황사는 매년 봄 중국과 몽골에서 발생한
모래
먼지가 바람을 타고 멀리 이동하는 현상이야. 하늘이 누런 먼지로 뒤덮여 뿌옇게 변하지. 황사 같은 먼지는 어떻게 막지? 황사 먼지의 크기는 0.01∼100㎛(마이크로미터·1㎛는 100만분의 1m)로 다양해.이 먼지들은 ... ...
Part 3. 튜링의 마지막 도전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과정에 대한 근원적 수학 모델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비유적으로 표현하면 해변의
모래
알이 모여서 저절로 슈퍼컴퓨터를 이루는 과정을 수학 모델로 제시하려 한 셈이다(자세한 내용은 ‘오리지널 논문’ 130쪽 참고).튜링의 직관은 옳았다. 생명 현상은 엄격한 수학·물리학 법칙으로 설명할 수 ... ...
지하수의 저주, 싱크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있기 때문이다.지하수가 잘 흘러도 싱크홀이 생길 수 있다. 지하수가 흐를 때 점토, 실트,
모래
등 크고 작은 알갱이들도 함께 흐르며 지하수가 흐르는 구멍을 점점 깎아낸다. 지하수길이 침식돼 점점 커지면서 싱크홀의 위험도 높아진다. 2007년 2월과 2010년 5월 과테말라 도심지를 4습격한 싱크홀은 ... ...
반도체 행성 3D 대공사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있다. 이들은 모두 트랜지스터를 기본 단위로 만들어진다. 트랜지스터는 일반적으로
모래
에서 순도가 높은 실리콘 결정을 뽑아내 만든다. 원통 형태로 만들어진 실리콘을 얇게 잘라 웨이퍼를 만들고 웨이퍼에 회로를 그린다. 회로 위에 몇 십 나노미터 크기의 트랜지스터를 구성한다. 트랜지스터 ... ...
바다 이구아나, 새 신부를 유혹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이구아나의 앙숙은 군함조나 갈라파고스 매 등 새들이다. 이구아나는 짝짓기가 끝나면
모래
사장에 알을 낳는데 새들이 머리 위를 돌며 호시탐탐 알을 노린다. 이자벨라섬의 틴토레라스라는 지역에서 새들이 이구아나의 알을 낚아채 공중에서 먹는 장면을 직접 볼 수 있었다. 인간이 섬에 들어온 ... ...
Part2. 2012 세상을 바꿀 빅데이터 5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번의 충돌 사건 중 300개의 사건을 찾으면 힉스를 발견할 수 있다.확률로 본다면 해운대
모래
밭에서 동전 하나를 찾는 일보다 더 어려운 일이다. 그래도 300개나 나왔다면 어쨌든 발견할 수 있지 않을까. 그렇지 않다. 만들어진 힉스 입자는 극히 짧은 시간에 붕괴해서 더 가벼운 입자를 만든다. ... ...
나노 블록으로 미래 에너지 업그레이드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세밀한 그물을 써야 할까. 이를 미래에너지인 태양전지나 연료전지에 대입해보자.
모래
알은 전자, 그물은 전극을 오가며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전자를 담는 전해물질이다. 마이크로미터 구조로 설계됐던 이 그물을 나노미터 구조로 바꿔 에너지 효율을 높이려는 시도가 기계항공공학 분야에서 ... ...
Intro. 쿠션 테크놀로지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안 달렸지만 허공에 붕 떠 짧은 거리를 움직일 수 있다. 가까운 미래에는 양탄자를 타고
모래
언덕을 넘고 바다를 건너 아랍에서 우리나라까지 날아올 수 있을지도 모른다.마법의 양탄자보다 더 기막힌 아이디어가 있다. 천공의 섬을 만들어 200m 공중에 둥둥 띄우겠다는 것이다. 그들의 생각대로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