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세대학교
연대
연세대학
d라이브러리
"
연세대
"(으)로 총 753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럽은 전구 세대교체 중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분포하지 않는 지층을 가리켜 대결층이라고 한다 그러나 최근 강원도 정선부근 지층에서
연세대
이하영교수가 실루리아기 화석을 발견, 대결층의 개념이 바뀌고 있다어떤 일정한 지층에서만 산출돼 그 지층의 지질연대를 나타내주는 화석을 말한다 실제로 이 표준화석을 통해 다른 생물들의 ... ...
사이버 공간에 숨어있는 '훔쳐보기'와 '노출하기'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불구속 입건되기도 했다.2010년의 훔쳐보기과연 미래에는 훔쳐보기가 어떻게 진화할까?
연세대
심리학과 황상민 교수는 “훔쳐보기는 본성이기 때문에 변하지 않는다”며 “다만 훔쳐보는데 사용할 수 있는 도구가 점점 발전할 뿐”이라고 지적했다. 경희사이버대 사이버NGO학과 민경배 교수도 ... ...
내 몸속 미생물 동물원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고, 유해한 미생물의 침입을 물리쳐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연세대
미생물학과 김응빈 교수는 “정상균총은 인간의 소중한 애완동물”이라고 표현했다. 그만큼 인간과 미생물은 가깝다는 뜻이다 ... ...
PART2 굿바이 미네랄워터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병원성세균도 검출됐다”고 밝혔다. 이 내용은 지난해 9월 한국환경독성학회지에 실렸다.
연세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정용 교수는 “생수를 상온에서 오랫동안 보관하면 미생물이 증식할 수밖에 없다”며 “믿고 마시지만 실제로 생수의 수질이 수돗물보다 못한 셈”이라고 말했다.현재 생수의 ... ...
생리대 변신 가능한가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불편했다. 이 문제를 고흡수성 폴리머*(SAP: super absorbent polymer)라는 화학흡수제가 풀었다.
연세대
화학과 장우동교수는 “생리대가 자신보다 수백 배 무거운 수분과 생리혈을 흡수하고 저장할 수 있는 비밀은 고흡수성 폴리머에 있다”고 설명했다.생리대에 쓰이는 가루상태의 고흡수성 폴리머는 ... ...
PART3 암세포 잡는 삼총사 뜬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수술 부위를 10~15배 확대한 입체영상을 수술 콘솔에 전달한다.다빈치는 2005년 4월
연세대
의대 세브란스 병원이 우리나라에 처음 도입한 뒤 지금까지 전립선암, 위암, 자궁암, 대장암 수술 등 약 200차례 수술을 했다. 출혈과 통증이 적고 합병증이 생길 위험성이 낮으며, 입원 기간이 짧고 회복도 ... ...
2. 선폭 줄이면 매트릭스 세상이 온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어디까지일까. 물질의 최소단위인 원자를 한 줄로 세우면 가장 작은 선이 되지 않을까.
연세대
원자선원자막연구단의 염한웅 단장은 연구단의 이름처럼 원자를 늘어놓아 금속선을 만드는 연구를 한다. 실리콘 기판 위에 가돌리늄(Gd)원자를 붙여 2nm 크기의 나노선을 만들어 냈다. 하지만 아직은 ... ...
1. 당신의 뇌가 '관상'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동양에는 사람의 얼굴에서 동물의 형상을 읽어 관상을 보는 ‘물형관상’(物形觀相)이란 것이 있다. 물형관상으로 따지면 고려를 세운 왕건은 용의 얼굴에 호랑이의 턱을 가져 필시 왕이 될 관상이고, 조선의 1대 임금 이성계는 봉황을 닮아 나라를 세울 관상이라고 한다.건국 신화에는 이렇게 얼굴 ... ...
4. 나는 꽃미남이 좋아요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모나리자’는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초상화다. 그런데 아직 모델의 성별은 불분명하다. 신비한 미소를 띤 표정에서 여자라고 추측할 수 있지만 모나리자가 여장 남자라는 주장부터 양성이라는 얘기까지 있다. 얼굴만 보고 남자와 여자를 구분할 ... ...
우리 포옹할까요?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언제든지 포옹하는 느낌을 나눌 수 있다. 포옹도 디지털이라는 옷을 입고 진화한다.
연세대
심리학과 황상민 교수는 “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라 포옹이 갖는 의미는 다르지만 사랑을 표현하는 수단이라는 점은 변하지 않았다”며 “오늘날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어쩌면 ‘접촉결핍증’에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