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가"(으)로 총 1,347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코딩로봇으로 화재현장에서 대피하라! 뚜루뚜루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화재 발생! 코딩로봇을 이용해 화재 현장에서 대피하라!”헉! 큰일 난 거 아니냐고요? 놀라지 마세요. 기자단 친구들이 건물에 불이 났다고 가정하고 로봇을 이용해 탈출하는 미션을 수행하고 있거든요. 기자단 친구들은 미션에 성공했을까요? 코딩로봇을 목적지까지 이동시켜라!시공미디어 ... ...
- 지하 1100m 땅속 실험실 최초 공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우주의 암흑물질 이미지가 한 데 뒤섞여 불안하면서도 환상적인 느낌을 줬다. 남미 작가들의 ‘마술적 사실주의’ 소설 속 한 장면 같았다. 예미산 여신은 인간이 ‘우주의 미스터리’를 풀게 허락할까. 日 노벨상 배출 지하실험실 규모와 비슷 2017년 8월 IBS 지하실험연구단은 ... ...
- [매스미디어] 수학 잘하는 법수학동아 l2018년 12호
- 것 같아서 원래 ‘합이 영’이었던 걸로 하려고요, 하하. 수학동아 : 마지막으로, 작가님에게 수학의 매력이란? 수학은 가장 오해의 소지가 없는 언어이자 학문이라고 생각해요. 경제학은 권위에 의지하는 면이 조금 있는데 수학은 권위나 지위와는 아무 상관 없이 정답은 정답이고 오답은 오답일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국립백두대간 수목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지난 5월 3일, 경상북도 봉화군에 있는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이 문을 열었어요. 백두산호랑이 뿐만 아니라 인류 최후의 보루라 불리는 종자저장고도 볼 수 있다는 소식에 기자단이 가만히 있을 수 없겠죠? 지금 바로 기자단 친구들과 함께 국립백두대간수목원으로 가 볼까요? ... ...
- 중국을 꿈꾸는 과학자들에게과학동아 l2018년 11호
- 2013년 말, 대학 교수의 꿈을 이루기 위해 21년간 몸담았던 직장을 떠나 국내외 대학에 지원했다. 그리고 마침내 2016년 중국 칭화대 전자공학과 교수로 임용됐다. 국내 대학이 아니라 중국 대학에 자리를 잡을 수 있었던 이유는 지금 중국이 ‘기회의 땅’이라는 점이 크다고 생각한다.중국은 아직 성 ... ...
- [과학자의 부엌] 소금과 유산균의 콜라보, 김치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엊그제까지도 불처럼 더운 여름이었는데, 벌써 가을이 지나고 겨울로 들어가는 첫날인 입동(立冬)이 코앞입니다. 겨우내 먹을 김치를 준비하는 시기이지요.김장 날이 되면 배추 수백 포기와 무를 마당 한구석에 쌓아 놓고 다함께 배추를 절이고 무채를 썰고 양념을 버무립니다. 김장은 2013년 유네스 ... ...
- [화보]양자역학과 예술의 만남, 나노 조각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반신(demi-god)’이 될 수 있는 길에 서있다”고 말했다. ‘나노 조각’ 어떻게 만들까작가 존티 허위츠는 남아프리카공화국 비트바테르스란트대에서 전기공학을 공부하고 케이프타운대에서 레이더 패턴 인식을 공부한 ‘공돌이’ 출신 아티스트다. 그는 3D 프린팅 기술과 다광자 석화술(Multiphoton ... ...
- 기본 단위 중 가장 ‘인간적인’ 광도의 단위, 칸델라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양초로 달의 밝기를 측정하다빛의 밝기를 측정하는 가장 오래 된 단위는 양초다. 1729년 프랑스의 물리학자이자 천문학자인 피에르 부게르는 표준촉광을 기준으로 달의 밝기를 측정했다. 양초를 뜻하는 ‘캔들(candle)’과 오늘날 광도의 단위로 쓰이는 ‘칸델라’의 이름은 공통적으로 ‘빛나다’ ... ...
- [반려동물 고민상담소] 개가 주인을 자꾸 물어요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강아지에게 밥을 주고, 간식도 주고, 목욕도 시켜주고, 빗질도 해주고, 양치질도 매일 시키고 있어요. 그런데 강아지가 저를 가장 좋아하면서도 만만하게 생각하는지 자꾸 저만 물어요. 서열정리가 안 돼서 그렇다는 얘기를 듣고 서열정리를 하려다가 또 물렸어요.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개가 ... ...
- [Culture] ‘과학 크리에이터’가 사는 법과학동아 l2018년 10호
- 하고 싶은 것을 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성공입니다. ‘과학= 현실’ 알리고파 미국의 작가 폴 호켄은 이런 말을 했습니다. “하늘에 별이 1000년에 한 번 나타났다면, 세상 사람들은 별이 나타나는 날 모두 모여 하늘을 바라보며 황홀경에 빠졌을 것이다. 하지만 별은 매일 밤하늘에 떠있고, 사람들은 ... ...
이전4243444546474849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