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계
인류
세상
온세상
전세상
일세계
지구
d라이브러리
"
전세계
"(으)로 총 2,458건 검색되었습니다.
[교과연계수업] 멸종위기 생물을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속도는 추정일 뿐 정확한 건 아니에요. 그래서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서는 1964년부터
전세계
의 야생 생물을 관찰해 어떤 지역에 얼마나 살고 있는지, 보전 상태가 어떤지에 대한 정보를 모으고 정리한답니다. 그 결과에 따라 매년 생물들을 7등급으로 분류해 발표하고 있어요. 가장 위험도가 낮은 ... ...
Part 3. 세포 속 청소부의 정체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하는 약물을 개발하고 있다.하지만 우리는 오토파지에 대해 모르는 것이 너무 많다.
전세계
적으로 오토파지에 대해 활발하게 연구한 지 아직 20년이 채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최근에도 오토파지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추가적으로 알아냈고, 또 조금씩 다른 여러 종류의 오토파지가 일어난다는 사실도 ... ...
[News & Issue] 떠다니는 해양과학연구소 이사부호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특성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며 “미래 바이오산업의 소재로 가치가 높다”고 말했다.
전세계
해양바이오산업 시장은 2018년 5조5234억 원으로 2014년에 비해 173%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시장조사기관 GIA의 2013년 11월 보고서 ‘Marine Biotechnology A Global Strategic Business Report’). ...
[Tech & Fun] 과학은 네트워크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실렸다. 책에는 일본계 캐나다인 히로미 고토, 인도인 SF작가이자 과학자인 반다나 싱 등
전세계
다양한 작가들이 페미니즘 관점에서 쓴 작품 15점이 담겼다. 그간 저평가됐던 SF소설을 한꺼번에 만나볼 기회다. ‘정복하지 않은 사람들’의 어느 구절에 어떤 반전이 숨겨져 있는지는, 모두의 발견하는 ... ...
PART 2. 힘을 합쳐 난제를 풀어라!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대규모 공동연구가 가능할까?’라는 제목의 글을 하나 올렸다. 인터넷을 활용해
전세계
수학자들이 힘을 합쳐 공동으로 연구하면 난제도 쉽게 풀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그는 대규모 수학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한 12가지 규칙도 제시했다. 아주 엉뚱한 질문이나 아이디어도 환영하며, 엉뚱한 ... ...
[News & Issue] 홍채 고유한 내 안의 우주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1985년 ‘내셔널 지오그래픽’ 표지에 실린 아프가니스탄 난민촌 소녀는 전쟁의 참상을
전세계
에 알리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로부터 16년 뒤, 미국에서 그녀의 생사를 확인해야 한다는 여론이 일었다. 이름도 나이도 모르는 상태에서 쉬운 일은 아니었다. 본인이 사진 속 주인공이라고 주장하는 ... ...
[Knowledge] 동물 잡는 밀렵꾼 잡는 동물 로봇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로보틱 와일드라이프의 브라이언 웰스레겔 대표는 e메일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전세계
적으로 활개치고 있는 밀렵꾼은 야생동물의 멸종을 부르는 가장 위협적인 존재다. 비슷한 동물로봇 제작 업체 로보틱 디코이의 마이크 클레멘 대표가 e메일 인터뷰에서 “밀렵을 막는 활동이 사업성이 ... ...
[Career] 유전자 진단 기술계의 '구글'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불과 몇 초만에 찾아낼 수 있다.MRPrimerW는 서비스를 시작한 지 두 달밖에 안 됐지만
전세계
연구자들 사이에 입소문이 퍼져서 벌써 검색 횟수가 4600회를 돌파했다. 구 교수는 “작년에 알고리즘을 개발해서 논문으로 제출했을 때 불과 5시간 만에 저널에서 게재 승인이 났을 정도로 기술을 ... ...
Part 1. 연속 대지진을 부른 ‘불의 고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0호
: 1900년 이후 발생한 지진 규모 상위 10개 중 9개가 불의 고리에서 발생했다. 지난 1년간
전세계
에서 발생한 M7.0 이상 강진 중 약 80%가 불의 고리에서 일어나기도 했다. 이 지역은 태평양판과 가장자리의 작은 판들이 끊임없이 이동하며 부딪히고 있는 곳이다.]지구의 표면은 마치 퍼즐 조각처럼 나뉘어 ... ...
[Career] "머리카락보다 작은 소재의 활약을 기대하세요!"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nm 이하의 표면에서 전극이 되는 현상을 관찰했다. 김 교수는 “적층형 나노전극 연구는
전세계
에서도 거의 없을 정도로 독창적”이라고 밝혔다. 고분자팀은 최근 생체 내에서 쓸 수 있는 고분자를 연구하고 있다. 현재 생체친화적인 고분자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PEG(폴리에틸렌글리콜)다.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