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광
햇빛
햇살
d라이브러리
"
태양광선
"(으)로 총 539건 검색되었습니다.
(2) 영화도 가능한 스테레오 홀로그램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광원은 초기에는 재생 기준파로 레이저 광선만이 가능했으나 현재는 백색광 또는
태양광선
이 사용가능하다. 아주 좋은 화상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할로겐 램프를 사용한다.어린이용 과자에까지엠보스(emboss)홀로그램은 마치 인쇄소에서 인쇄하듯 기계적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업적으로 ... ...
블랙홀인가, 또 다른 미지의 천체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대파괴원의 밝기가 수시로 변하는 원인을 블랙홀이론으로 설명할 수 없다. AT&T벨연구소의 레벤살은 은하우주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강력한 감마선을 방사하며 그 방사량이 격변하는 기묘한 천체에 '대파괴원'(大破壞源)이란 이름을 붙였다. 기구관측과 위성관측에 따르면 이 천체는 돌발적으로 51 ... ...
사나운 불 길들이기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교대로 당기면 더 쉽게 불을 피울 수 있다.④ 달쏭이 : 얼음을 깎아 볼록렌즈를 만든 후
태양광선
을 모아 마른 풀에 쬐면 불을 피울 수 있다.(3) 불을 피우는 방법에는 세가지가 있다. 부시와 부싯돌을 부딪쳐 만든 불꽃을 부싯깃에 떨어뜨리는 타격법, 나무에 홈을 판 뒤 그곳에 나무막대를 넣어 ... ...
(1) 3백85㎏의 월석이 밝혀준 사실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인간이 달에 첫발을 내디딘지 22년. 그러나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은 것이 많다. 달여행 제2막인 '달기지 건설'을 앞두고 지금까지의 성과를 간추려본다.60년대와 70년대 우주개발의 모든 목표는 달이었다. 즉 달은 광활한 우주를 향한 인간의 꿈을 펼친 첫 관문이었던 셈이다. 그런 의미에서 1969년 7월 ... ...
(2) 우주로 열린 지구의 창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달에 천문대를 세워 우주를 관측한다면 우주생성의 비밀이 손쉽게 풀릴지도 모른다.달의 구조와 기원을 규명하고자 추진되었던 아폴로 계획이 지난 1969년 수억 지구인들이 시청하는 가운데 역사적인 유인착륙과 월면보행을 이룩하면서 성공적으로 마무리지었다. 이 계획이 종료된 1972년까지 수많 ... ...
3.큰폭으로 요동하는 기후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현재 지구는 그 변동주기중 어느 위치에 놓여 있는가?45억년 전 지구가 태양계 내에 떠다니던 소행성(떠돌이 별)들과 수없이 부딪히면서 만들어질 때 그 충돌과 많은 화산활동으로 분출된 가스에 의해 지구 대기가 생성됐다. 따라서 태초의 대기 구성 성분은 지금의 성분과는 아주 다르다. 원시 대기 ... ...
「운동선수의 발」 무좀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아니면 바르다 말다 하느냐에 달라진다.옛날부터 무좀에는 식초를 바르면 좋다,
태양광선
에 쬐거나 약초를 바르면 좋다는 등 민간요법이 있으나 그것으로 근본적인 치유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식초 또는 성분이 잘 알려지지 않은 민간요법 치료제들은 접촉성 피부염을 유발하기 ... ...
하늘은 「화끈화끈」 땅은 「냉랭」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광범위하게 장기간 떠다님으로써 기후에 영향을 주게 된다.대기중에서 에어로졸은
태양광선
의 산란체 역할을 한다. 흔히 지표면에 도달하는 일사량은 직달일사량(대기중에서 산란 또는 흡수되지 않고 지면에 바로 도달하는 일사량)과 산란일사량의 합(전천일사량이라 함)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 ...
아인슈타인은 역시 옳았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제랄드 가브리엘스와 하버드대학의 한 연구팀은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 원리를 증명하는 조심스러운 실험을 실시했다.상대성 원리는 지난 1916년에 처음으로 발표됐는데 이를 뒷받침 할만한 그 어떠한 증거도 없었으므로 당시로선 대단한 상상력이 만든 업적일 뿐이었다. 그저 아인슈타인 혼자 ... ...
초정밀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손발의 길이를 측정기준으로 삼았던 인류는 이제 레이저를 이용해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도 ±15㎝ 이내의 오차로 밝혀내고 있다.우리는 고도로 발달한 과학기술시대에 살고 있다. 크게는 우주의 신비를 탐험하기 위하여 태양계의 끝인 명왕성까지, 더 나아가서는 태양계 밖에 까지 탐색선을 보내는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