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project
기획안
프로젝터
프로
연구과제
사업안
d라이브러리
"
프로젝트
"(으)로 총 2,673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 이런 기사가 있었지! 다시 보는 수학동아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대부분 쾨니히스베르크 다리 문제와 함께 등장했습니다. 홍아름 기자의 오일러
프로젝트
를 좋아하는 독자라면 오일러가 왜 3등인지 의아할 텐데요, 형평성을 위해 연재 기사에 등장하는 수학자는 제외하고 조사했답니다.여러분은 어떤 수학동아 기사가 가장 기억에 남나요? 떠오르는 기사가 있다면 ... ...
[인터뷰] 핵융합 에너지는 후손에게 남길 자랑스러운 유산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기술을 갖춘 국가가 모여 공동의 목표를 설정하고, 서로의 기술력과 경험을 공유하는
프로젝트
가 바로 ITER다. 과학기술도 국가의 자산인 만큼 기술을 선점하기 위해 지금까지 많은 경쟁이 있었다. ITER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다른 분야의 연구에서도 국제협력이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한다. Q ... ...
[인포그래픽] 핵융합 에너지가 도시를 밝히기 까지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KSTAR)부터 핵융합 발전소가 건설되기까지 약 50년이 걸릴 것으로 예측되는 초장기
프로젝트
다. 각 연구 과정에서 필요한 장치의 특징과 중점적 연구분야 등을 알아봤다 ... ...
핵융합 에너지 또 다른 융합으로 완성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디지털 트윈’이라고 부른다. 디지털 트윈은 대규모 생산설비, 도시계획 등 대형
프로젝트
에 주로 활용된다. 버추얼 데모를 구현하기 위한 첫 단계는 플라스마의 물성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 물리 엔진을 개발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슈퍼컴퓨터로 분석한 플라스마의 물성 데이터와 KSTAR에서 ... ...
서울시 3D 지도 나왔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수 있도록 이미지로 제공된다. 또한 지도를 보며 다양한 사건들을 되짚어 보고 토의하는
프로젝트
를 진행할 수 있다. 한 예로 2013년, 2019년 숭례문 주변 지도를 비교해 문화재의 소중함을 느끼고 공공의식을 높이는 방안을 찾을 수 있다 ... ...
알아두면 쓸모 있는~ 수학동아 알차게 보는 꿀팁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응모하는 것도 방법! 수학동아로 플렉스한 사연의 대부분은 “기사 내용을 주제로
프로젝트
발표를 했어요”, “수행평가에 활용했어요”, “기사 내용을 수업 시간에 발표했어요”와 같이 기사로 얻은 지식을 활용하거나 뽐내는 것이었어요. 어떻게 활용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볼게요. 김범준 ... ...
[별헤는수학] 우리가 그린 나선이 블랙홀 연구를 돕는다!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손으로 그린 나선 그림이 정확한 피치 각을 알아내는 데 도움이 될까요? 이
프로젝트
를 이끄는 패트릭 트로이타르트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자연과학박물관 연구원은 시민천문학자의 그림을 토대로 계산한 피치 각과 실제 피치 각을 비교해봤습니다. 또 인공지능 알고리듬이 자동으로 나선팔을 ... ...
[오쌤의 수학공부법] 자기 주도적 방학 계획 세우기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경험 자체가 내적 동기로 작용해 노력을 지속하게 만들기 때문이죠. 게다가 내가 정한
프로젝트
를 성공시키고 나면 성취감이 드는 것은 물론, 공부하는 데 가장 중요한 자신감의 원천이 됩니다. 그러니 방학 동안 자기 주도의 핵심인 메타인지 능력과 자신감을 길러야겠지요.여러분은 그동안 거창한 ... ...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 KSTAR 연구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ITER를 본격적으로 가동하기 전에 최적의 운전조건을 찾는 실험이다. 이를 위해 현재 ITER
프로젝트
회원국들의 연구 경쟁이 치열하다. 핵융합 반응을 유도할 때 가장 위험한 상황 중 하나는 정상적으로 반응하던 플라스마가 갑작스럽게 사라지는 것이다. 문제가 발생해도 원자력발전소처럼 방사성 ... ...
지구 어디서든 인터넷이?! 수만 대 스타링크 위성 군단 뜬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천체를 관측할 수 있는 기술을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스타링크와
프로젝트
카이퍼가 야기할 수 있는 또 다른 문제는 인공위성의 충돌이다. 현재 지구 주변에는 2만 개가 넘는 인공우주물체가 떠다니고 있다. 이중 ‘핫스팟’인 2000km 고도 이하의 저궤도에만 1만 4000여 개가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