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에너지
에네르기
뉴스
"
내부에너지
"(으)로 총 1,04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GIST, 위변조 막는 멀티스펙트럼 디스플레이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9.08
차세대 멀티 스펙트럼 위변조 방지 디스플레이 개념도. GIST 제공.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송영민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맨눈으로 볼 수 없는 적외선 정보를 담은 보안용 차세대 멀티 스펙트럼 위변조 방지 디스플레이를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디스플레이는 육안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전자의 발견
2021.09.02
픽사베이 제공 19세기 과학자들의 놀라운 장난감이었던 음극선은 X선(1895년)과 방사능(1896년)의 발견을 개가를 올렸다. 정작 음극선의 정체를 규명한 것은 1897년이었다. 그 주인공은 영국의 조지프 존 톰슨이다. 원래 톰슨의 전공은 수학이었다. 1884년부터 1919년까지는 캐번디시 연구소장직을 역임 ... ...
열을 전기로 바꾸는, 손톱보다 작은 발전기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01
1센트 동전 위에 올려진 초소형 열전 발전기의 모습. 울산과학기술원(UNIST) 제공 열을 전기로 바꾸는 열전 발전기를 손톱보다도 작게 만드는 기술이 개발됐다. 손재성 울산과학기술원(UNIST) 신소재공학부 교수와 채한기 교수 공동연구팀은 열전소재를 3차원(3D) 프린팅용 잉크로 개발해 열전 발전기 ... ...
[랩큐멘터리]계산으로 소재의 미래를 열어나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25
소재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 단위는 물질을 구성하는 원자다. 원자가 쌓이고 움직여 다니며 상호작용해서 만드는 것이 소재의 물성이다. 이를 파악하면 소재를 어떤 분야에 응용할지 결정할 수 있다. 하지만 1 나노미터(nm·10억 분의 1m)도 채 되지 않는 원자의 움직임을 따라가면서 그 특성까지 결 ... ...
[과학게시판] 서울대 공대, 다음 달 2~3일 변화 모색 토론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8.24
서울대 공대가 학생, 교직원 등 내부 구성원 및 외부 전문가들과 함께 변화의 방향을 모색하는 대토론회를 다음 달 2~3일 개최한다. 서울대 공대 제공 ■ 서울대 공대가 다음 달 1일 이병호 신임 학장 취임과 함께 신임 학장단 출범에 맞춰 다음 달 2~3일 대토론회를 개최한다고 23일 밝혔다. 2일에는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방사능의 발견
2021.08.19
과학자 커플의 대명사인 퀴리 부부. 1903년 방사능 발견 공로로 베크렐과 함께 노벨물리학상을 공동으로 수상했다. 피에르는 마차사고로 47세에 유명을 달리했다. 동아사이언스DB 독일의 기계공학자이자 물리학자인 빌헬름 뢴트겐은 1895년 진공관과 음극선을 연구하다 우연히 X선을 발견했다. 19세기 ... ...
진정한 수소경제 실현하려면…생산·저장·운송 ‘삼박자’ 맞아 떨어져야
과학동아
l
2021.08.14
현대자동차가 2020년 양산한 대형 수소전기트럭 ‘엑시언트’는 8~20분간 수소를 충전해 최대 약 400km를 주행한다. 차량 총중량은 34t(톤) 급이다. 현대자동차 제공 오늘날 수소는 ‘친환경 연료’란 이름값을 하지 못한다는 비난에 직면해 있다. 수소에너지를 사용할 땐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지만, ... ...
태양 부위별 회전 속도 달라...태양 자기장 미스터리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9
유럽우주국(ESA)의 태양 탐사선 '솔라 오비터'가 촬영한 태양 최근접 사진이다. NASA 제공 태양은 질량의 98%가 수소와 헬륨으로 이뤄져있다. 중심핵에서는 수소의 원자핵과 전자가 초고온 환경에서 분리된 플라즈마 상태에서 원자핵끼리 융합하는 핵융합 반응으로 열에너지가 생긴다. 과학자들은 태 ... ...
부식으로 줄어드는 수소연료전지 내구성 3배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8
김진영 KIST 책임연구원. KIST 제공. 수소를 이용해 전기에너지를 만드는 수소 연료전지는 수소전기차에서 엔진과 같다. 그러나 연료전지의 핵심 구성요소인 백금 촉매에 사용되는 탄소 입자가 쉽게 부식돼 연료전지 수명이 길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김진영 수소·연료 ... ...
[사이언스N사피엔스] X선의 발견, 20세기 물리학의 시작
2021.08.05
베크렐이 방사선을 발견한 감광판. 위키피디아 제공 19세기 물리학의 가장 큰 성과를 꼽으라면 누가 뭐래도 고전 전자기학의 완성이라고 할 것이다. 당시 과학자들은 전자기 현상을 연구하기 위해 이런저런 ‘장난감’을 만들었는데 그 중의 하나가 진공관이었다. 유리용기에서 공기를 빼내고 잘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