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모
경비
소각
비용
사용
이용
지출
뉴스
"
소비
"(으)로 총 2,388건 검색되었습니다.
'먹어도 안전'...새해엔 유통기한보다 긴
소비
기한
동아사이언스
l
2022.12.30
있다. 오유경 식약처장은 지난 7월 한국식품과학연구원
소비
기한 연구센터 개소식에서 "
소비
기한 표시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되면 식품폐기가 줄어 탄소중립 실현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
"햄·베이컨에 쓰이는 발색제 '아질산염' 암 발병률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2.12.28
대장암을 일으키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같은 조사를 바탕으로 각국 정부는 아질산염
소비
를 하루에 70g 정도로 제한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유럽에서는 이미 아질산염의 암 발병 위험에 대응하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유럽식품안전청(EFSA)은 최근 아질산염 함유량이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 ...
X마스 테마 운동하면 효과는 '배가'
동아사이언스
l
2022.12.23
기다리는 재미가 있다. 식품, 의류, 화장품 브랜드는 매년 한정판 어드벤트 캘린더로
소비
자의 눈길을 끈다. 운동량이 줄어드는 겨울, 어드벤트 캘린더처럼 크리스마스를 주제로 한 특별한 운동프로그램을 매일 하면 운동 효과가 배가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크리스마스를 기다리며 하루 한번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휘발유와 경유 가격 역전의 진실
2022.12.21
기능이 작동하도록 만들어야 한다. 유류세를 통한 정부의 시장 개입을 금지시켜야 한다.
소비
자가 납부하는 유류세를 투명하게 알 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 주유소의 영수증에 유류세 액수를 적지 말아야 할 이유가 없다. 정유사가 유류세를 대납하는 고약한 제도도 폐지해야 한다. 그래야만 유류세의 ... ...
27번째 원전 신한울 1호기 12년 만에 본격 가동
동아사이언스
l
2022.12.14
상업운전에 돌입했다. 연간 예상 발전량은 1만424GWh(기가와트시)로 지난해 경북 전력
소비
량(4만4258GWh)의 4분의 1에 달하는 양이다. 산업부는 신한울 1호기가 겨울철 전력 수급 안정화에 기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또 액화천연가스(LNG) 수입을 대체할 수 있어 에너지 무역적자 개선에도 도움이 될 ... ...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안재영·장권영
동아사이언스
l
2022.12.12
구축했다. 전기 사용량이 많은 대용량 산업체의 에너지 비용 절감에 기여하고 전력
소비
량의 효율성을 개선했다는 평가다. 또 시너지는 국내 스타트업 중 최초로 스팀 공급형 수소 연료전지 발전소를 대용량 산업체에 구축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기후변화에 따라 에너지 전환이 요구되는 오늘날 ... ...
[공감! 과학용어] ⑧"어려운 용어 이해시키기 위한 다양한 콘텐츠에 투자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2.12.11
않은 콘텐츠에 압축적인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도 주목받고 있다”고 말했다. 콘텐츠를
소비
하는 시간이 짧은 청소년을 겨냥한 것이다. ● "과학·의학 분야 '전문가 인플루언서' 필요성 더욱 커져" 다양한 온라인 채널을 활용하는 과정에서 ‘인플루언서’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 ...
카카오헬스케어 "환자 개인맞춤형 생활습관 처방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22.12.07
머신러닝을 통해 개인에게 최적화된 생활습관을 처방하는 것도 가능하다. 황 대표는 "
소비
자 인공지능(AI)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가장 집중하고 있다"며 "개인의 고유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료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 AI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카카오헬스케어는 병원의 임상데이터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탄소에 대한 저주, 도 넘었다
2022.12.07
비겁한 것이다. 탄소가 우리의 무분별한
소비
와 낭비를 부추긴 것도 아니다. 화석 연료의
소비
를 줄이고,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줄이면 반드시 지구 온난화가 해결되는 것도 아니다. 지구의 대기는 화학적 평형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복잡계이고, 그런 계에서 일어나는 변화는 비가역적(irreversible)일 ... ...
12년 만에 생물다양성 회의…2030년까지 바다의 30% 보호구역 지정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2.12.05
공룡의 멸종 이후 지구상에서 가장 큰 생명손실을 초래하고 있다"며 "지금 우리의 행동과
소비
방식은 100만종 이상이 멸종위기에 처하도록 만든다"고 말했다. 수잔 리버만 미국 야생동물 보전협회 국제정책 부회장은 "기후와 자연은 얽혀있다"며 "기후위기는 생물다양성을 보호하지 않고는 해결할 수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