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속
쇠사슬
연결
연관
접종
체인
연쇄점
뉴스
"
연쇄
"(으)로 총 469건 검색되었습니다.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 3000일 운전 ‘끄떡 없네’
동아사이언스
l
2014.02.10
HANARO)가 이달 10일 0시를 기해 운전시간 3000일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1995년 2월 8일 핵분열
연쇄
반응이 지속되기 시작한 첫 임계에 도달해 운전을 시작한 지 19년 만의 일이다. 연구원은 가동 3000일을 기념해 12일 오후 하나로 관련 연구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기념 행사를 가질 예정이다. 하나로는 국내 ... ...
물리학 하겠다는 고교생이 물리를 안배운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4.01.22
문제는 아니다. 선택 과목에 변화가 생기면 일선 고등학교 교사수도 달라져야 하고
연쇄
적으로 많은 변화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장기적인 안목을 갖고 체계적으로 대응해 나가야 한다는 것이 이 교사의 주장이다. ●자율형 고교시스템은 과학교육의 毒! 고교 과학교육을 멍들게 하는 또다른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
동아사이언스
l
2013.12.23
괴짜 화학자 캐리 멀리스는 생명과학 분야의 가장 혁신적인 기술의 하나인 PCR(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발명했고 1993년 노벨화학상을 받았다. 분자생물학도 시들해진 글레이저는 1980년대 초 안식년을 맞아 롤랜드연구소의 에드윈 랜드 박사 실험실에 머물며 우리 눈이 색채를 지각하는 메커니즘에 ... ...
네이처 선정 2013년 10대 과학자
동아사이언스
l
2013.12.22
다가가고 있다. 항체가 T세포 표면에 있는 특정 단백질 수용체(파란색)에 달라붙으면
연쇄
작용이 일어나 암 세포를 공격하기 시작한다. 이전까지는 특정 단백질 수용체가 T세포의 눈을 가려 암 세포를 공격하지 않았다. 암 면역치료법은 우리 몸에 있는 면역세포를 조정해서 암 세포를 인식해 ... ...
‘획기적인 암 치료법’ 올해의 과학기술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3.12.20
면역세포 ‘T세포’(회색)에 있는 수용체 단백질(보라 색)을 항체(갈색)가 차단하자
연쇄
작용이 일어나 암 세포를 공격한다. - 사이언스 제공 획기적인 암 치료법이 올해 최고의 과학뉴스로 꼽혔다. 과학 분야 권위지인 ‘사이언스’는 20일 올해의 10대 과학뉴스를 발표하며 ‘암 면역치료법’을 ... ...
[신나는 공부]실시간 경쟁률에 숨어있는 의미 읽으면 합격이 보인다
동아일보
l
2013.12.17
특히 비슷한 합격성적을 가진 경쟁대학의 원서 마감일이 다를 경우 이에 따른 수험생의
연쇄
이동을 고려한 지원전략을 세워야 한다. 예를 들어 ‘가’군 고려대와 연세대는 원서접수 마감일이 지난해는 같았지만 올해는 21일과 23일로 다르다. 고려대가 21일 가장 먼저 원서접수를 마감하면 그 ... ...
귤 괴롭히는 나쁜 바이러스들 '꼼짝마'
동아사이언스
l
2013.12.10
합성한 뒤 이를 진단키트에 올려 검출하고자 하는 부분만 대량으로 증폭시키는 중합효소
연쇄
반응(PCR)을 살필 수 있도록 했다. 이 키트는 바이러스 4종을 동시에 체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묘목 상태에서도 진단이 가능해 조기 대응에 유리하다. 더군다나 이 키트를 이용하면 바이러스 4종의 진단 ... ...
2015 정시 군별 이동에 따른 입시지형의 변화
동아일보
l
2013.12.09
학생들 중 일부를 선발하게 된 것이다. 결국 서울대부터 시작된 대학의 군별 이동은
연쇄
적으로 다른 대학에까지 영향을 주고 정부의 동일 모집단위의 분할모집 제한에 따른 영향과 더불어 내년 정시에 변화를 불러 일으킬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 ...
영화 '그래비티', 우주가 진짜 무서운 이유는 바로...
동아사이언스
l
2013.10.11
문제는 파편에 맞아 파괴된 위성에서 또 다른 파편이 생겨 위성이 연달아 파괴되는
연쇄
작용이 일어나 우주공간은 더 이상 인공위성을 띄울 곳이 없는 무시무시한 곳으로 변해 버린다는 것. 이런 악순환을 ‘케슬러 증후군’이라 부르는데 1978년 이 같은 상황을 예측한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 ...
밤 하늘 넋놓고 보게 하는 불꽃 비밀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10.02
성의 구성성분이나 형태를 조작하거나 화공품 안에 또 다른 작은 화공품을 삽입해
연쇄
폭발이 일어나게끔 시간차를 두면 국화나 야국 등의 불꽃형태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국화’는 공중에서 성 수천 개가 360도로 퍼져 나가면서 터지는 것이고, ‘야국’은 들판 여기저기에 국화가 피어 있는 ... ...
이전
42
43
44
45
46
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