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연
본질
본성
천성
우주
만물
산수
뉴스
"
천연
"(으)로 총 1,078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바이오게시판]한국파스퇴르연, 열대성소외질병 치료제 개발착수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9.30
메디나파운데이션과 소외질환신약개발재단과 함께 리슈만편모충증∙샤가스병
천연
물 신약개발 공동연구에 착수한다고 29일 밝혔다. 리슈만편모충증과 샤가스병은 열대성 소외질병으로 전세계에서 매년 수천 명이 이 병으로 목숨을 잃는다. 세 기관의 연구협력에 스페인 라카이사 헬스리서치 2020 ... ...
변신로봇처럼 합체하면 플라스틱 분해 속도 '쑥'
동아사이언스
l
2020.09.29
플라스틱 분해 효소는 1, 2년 안에 상용화할 수 있다”며 “플라스틱 분해 효소를
천연
섬유를 분해하는 효소와 결합하면 면과 폴리에스테르를 섞어 만든 합성 섬유를 분해하는 효소도 만들 수 있다”고 밝혔다 ... ...
한국파스퇴르연구소, 열대성 소외질병 치료제 개발한다
연합뉴스
l
2020.09.29
소외질병 신약개발 등 각 분야가 협력하는 글로벌 협력 연구"라며 "연구 협력 추진으로
천연
물 기반 신규 약물을 성공적으로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파스퇴르연구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
도시 발 아래에 '땅 속 탄소 저장고'가 있다...새롭게 주목 받는 지하 탄소
동아사이언스
l
2020.09.28
세계 곳곳에는 자연적으로 탄소를 다량으로 머금고 있는 곳이 많다. 특히 지하는
천연
탄소 저장고나 마찬가지다. 북극 지역의 영구동토층과 각종 퇴적물이 쌓인 비옥한 해안습지가 대표적이다. 여기에 최근에는 대도시가 그 동안 인류가 몰랐던 커다란 탄소 저장고일 가능성이 제기됐다. 류 ... ...
미 미시간호변 다람쥐 사체 100마리…왜 강을 건너려 했을까
연합뉴스
l
2020.09.25
그랜드 헤이븐 주립공원 [출처=미시간주
천연
자원부 / 재판매 및 DB 금지] 미국 미시간주 미시간호변의 인기 관광명소에서 흔히 다람쥐로 불 ... 하는 가을철에 평소보다 훨씬 더 많은 양을 먹는다"고 덧붙였다. [출처=미시간주
천연
자원부 웹사이트 / 재판매 및 DB 금지] 연합뉴스 ... ...
WHO 코로나19 치료 위해 아프리카 요법 쑥 음료 임상 허용
동아사이언스
l
2020.09.21
사회문제 연합위원회 관계자로 구성된 협의체가 19일(현지시간) 코로나19 치료를 위한
천연
물 의약품의 3상 임상시험 규정을 승인했다. 임상시험에 들어갈 의약품은 말라리아 치료 효능이 입증된 식물인 쑥을 기반으로 한 음료다. 아프리카 남동쪽 인도양에 있는 섬나라인 마다가스카르의 응용 ... ...
온실가스 '메탄' 식품과 섬유 소재로 거듭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9
나일론 원료를 얻을 수 있는 실마리를 찾은 것”이라며 "온실가스기도 하지만
천연
가스와 셰일가스, 바이오가스의 주성분으로 경제적인 탄소자원인 메탄을 환경친화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면 기후변화대응 측면에서도 의미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연구재단의 ... ...
청바지 작은 섬유조각은 어쩌다 수만km밖 북극까지 흘러갔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9.07
전혀 모른다”고 경고했다. ●500년 유지되는 합성 미세섬유 배출 심각 전문가들은
천연
성분인 데님 외에도 합성섬유에서 나오는 미세섬유 양도 상당하다. 연구팀이 분석한 샘플에서 나온 합성섬유 양의 최소 21%에서 최대 51%까지 차지했다. 폴리에스터는 대표적인 합성섬유로 가격이 저렴하고 ... ...
[인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0.09.01
손정현 △〃 특성분석센터장 김낙균 △강릉분원
천연
물소재연구센터장 정상훈 △〃
천연
물인포매틱스연구센터장 권학철 △〃 스마트팜융합연구센터장 김형석 △전북분원 구조용복합소재연구센터장 정용채 △경영지원본부 홍보실장 원세환 △〃 윤리경영실장 정현진 △정책기술연구소 정책실장 ... ...
뇌구조 모방한 전자소자로 저전력
천연
색 디스플레이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1
노준석 포스텍 교수. 포스텍 제공. 구조색 기술은 염료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색이 바래지 않고 외부의 강한 광원 없이 저전력 디스플레이 구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미래 디스플레이 기술로 꼽힌다. 그러나 구조색 기술은 소자를 한번 제작하고 나면 특성을 바꾸기 어려워 재현할 수 있는 색이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