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종 때 도입된 프톨레마이오스 천문학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조선의 천문학자들이 ‘칠정산외편’을 연구한 이유다.최근 한국천문연구원 안영숙
박사
의 연구에 따르면 세종 때 칠정산외편법으로 일식의 시작 시간을 예측했을 때 오차는 3분 정도였다. 월식은 일식보다 오차가 더 크지만 30분 내에서 예보할 수 있었다. 그런데 어떤 역법이든 계산에 쓰인 ... ...
끼기긱~ 소음 잡는 조용한 과학鐵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전동차요? 제대로 찾아오셨습니다.”로템 기술연구소 응용기술연구팀의 우관제
박사
는 김 탐정을 반갑게 맞았다.“저소음 전동차는 객실 내부로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을 줄이는 기술로 만듭니다.”외부 소음은 바퀴가 레일 위를 구르며 발생하는 구름(rolling) 소음, 지하철을 움직이는 견인 전동기와 ... ...
컴퓨터 앞 '땡땡이'는 이제 그만!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자료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수업에 흥미를 느끼는지 지루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캘러그한
박사
는 “우리가 개발한 소프트웨어는 수업이 지루해지면 새로운 주제를 제시하거나 화면에 띄운 텍스트를 동영상으로 바꿔 학생의 흥미를 다시 불러일으킨다. 이런 방법을 통해 가르치려는 내용을 ... ...
당신이 마신 술의 양을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문제는 이 분배계수가 미국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며 불확도도 크다는 점이다.우
박사
는 “민족, 성별, 체중, 나이에 따라 분배계수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한국인에 적합한 분배계수 연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현재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에서는 음주측정기의 불확도를 5%로 유지한다. 혹 ... ...
한국새‘유전자 신분증’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유전자 신분증’이 개발됐다.한국생명공학연구원 김창배
박사
팀이 개발한 유전자 신분증은 새의 종류마다 다른 DNA 염기서열을 이용해 만든 것이다.연구팀은 국내 자생 조류 92종의 DNA 정보를 이용해 유전자 신분증을 만들었다. 연구팀은 앞으로 항공기와 자주 충돌하는 ... ...
우주로 이사가는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2호
곳으로 변했기 때문이에요. 100여 년 전 스티븐 호킹
박사
의 말처럼 말이에요.스티븐 호킹
박사
의 경고!우주물리학자로잘알려진스티븐호킹입니다. 저는2006년 6월 지구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앞으로 인류가 살아 남으려면 우주에 정착촌을 세워야 한다고 이야기했어요.너무 겁을 준 거 아니냐구요? ... ...
된장녀, 트랜스지방 탈출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정제하는 과정이나 식물성 기름을 고온으로 가열할 때도 생긴다. 한국식품연구원 윤석후
박사
는 “튀길 때 기름의 온도가 높을수록 튀기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트랜스지방이 많이 만들어진다”고 말했다.20세기 중반에 접어들며 트랜스지방의 해악이 속속 밝혀졌다. 인류 최고의 발명품이었던 ... ...
탐나는 열성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비율이 100년 전에 비해 3분의 1 이상 줄었다고 보도했다. 미국 로욜라대 마크 그랜트
박사
는 “20세기 초 미국인의 2분의 1 정도가 푸른 눈을 가졌으나 21세기에 들어선 지금 미국인의 약 6분의 1만이 푸른 눈을 갖고 있다”고 주장했다. 백인이 황인이나 흑인과 결혼하는 비율이 늘어난 것이 가장 큰 ... ...
우주정거장서 초파리 1000마리와 뒹군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특수 팩에 넣어 즉석에서 만든 된장국에 김치와 밥을 먹었다. 한국식품연구원 김성수
박사
가 우리 전통음식을 우주식으로 개발한 덕분이다. 칼슘과 섬유소를 강화하고 염분을 줄였다고 한다. ‘역시 한국인은 김치에 밥이 최고야.’다음날은 아침부터 지구 사진을 찍는데 몰두한다. ISS가 한반도 ... ...
화성 탐사선이 화성 생명체를 죽였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아니라 탐사 과정에서 미생물을 죽였기 때문이라는 가설을 뒷받침한다.슐츠-마커쉬
박사
는 “올해 8월에 떠날 피닉스가 탐사할 지점은 예전에 바이킹이 탐사했던 지점보다 훨씬 추운 곳이기 때문에 이곳에는 추위에 적응한 미생물이 살고 있을 확률이 높다”며 “가설을 시험해 볼 수 있는 좋은 ... ...
이전
467
468
469
470
471
472
473
474
4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