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숨
수명
삶
인생
생애
명
생계
뉴스
"
생명
"(으)로 총 7,239건 검색되었습니다.
세포 속 액체방울로 게놈 조절 가능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7
액체 방울으르 형성하고, 이를 이용해 게놈의 구조를 조절하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해
생명
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셀’ 11월 29일자에 발표했다. 신 교수팀은 빛을 이용해 세포 내 단백질 분자의 특징을 조절하는 광유전학 기술과, 원하는 유전자를 정확히 찾아 내 교정할 수 있는 크리스퍼 유전자 ... ...
멸종위기 꿀벌 살릴 백신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2.17
이를 막을 수 있는 백신을 최초로 개발했다. 달리알 프라이탁 핀란드 헬싱키대
생명
과학과 교수 연구진은 심각한 세균 질환에 대한 벌의 저항력을 높이는 백신인 ‘프라임비(PrimeBee)’를 개발했다고 AFP가 16일 전했다. 꿀벌은 최근 바이러스와 곰팡이 같은 다양한 미생물의 공격을 받고 ... ...
신재생에너지 저장매체로 주목받는 바나듐 배터리
동아사이언스
l
2018.12.17
의 발화사태와 같은 화재나 폭발 사례가 꾸준히 보고되고 있다. 류원희 숙명여대 화공
생명
공학부 교수는 “전기차나 발전소에 포함된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곧바로 인명사고나 환경 문제로 확대될 수 있다”며 “안전성 면에서 ‘바나듐 레독스 흐름 배터리(바나듐 배터리)’와 ... ...
살아 있는 임팔라를 먹는 하이에나들
팝뉴스
l
2018.12.16
치타들은
생명
을 부지하기 위해 달아난다. 하이에나가 배를 채우는 동안 임팔라는
생명
이 붙어 있었다. 무섭고 두려운 장면이지만 이것이 자연의 질서이다. 이런 양육강식의 상황이 없다면 생태계가 무너질 것이다. 네티즌들은 먹잇감의 숨통을 빠르게 끊는 사자가 오히려 자비로운 것 같다고 ... ...
과학 연구의 최전선을 담은 올해 최고의 사진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6
않았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각각의 고유한 특징을 가진 세포가 한데 모여 오징어라는
생명
체를 만들었듯, 세포의 공존은 과거에도 흔한 일이었다는 추측이다. ■ 미국의 전기차 회사 테슬라의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가 타던 빨간색 전기차 ‘로드스터’와 운전석에 탄 우주인 마네킹 ... ...
네이처가 뽑은 2018년을 빛낸 과학 동영상
동아사이언스
l
2018.12.16
와파린이 발명됐는지 피를 계속 흘리며 죽어간 소와 쥐에게 물어보면 알 수 있다.
생명
을 살리는 와파린이 어떻게 생겨났는지는 아래의 영상을 보면 알 수 있다. 네이처 제공 액체연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전기기체인 이온 바람으로 나는 항공기가 첫 비행에 성공했다. 스티븐 ... ...
오늘밤 유성우 쇼가 펼쳐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4
색은 노란색을 띄고 있다. NASA에 따르면 소행성 3200 파에톤은 ‘죽은 혜성’이다. 그
생명
을 다해 혜성의 특징인 꼬리가 보이지 않아 마치 소행성처럼 보인다. 지름은 5.7 km이고 태양 가까이 다가가는 특징 때문에 그리스 신화의 태양신인 헬리오스의 아들의 이름을 따서 파에톤이라 지었다. ... ...
“물감에 빠트렸다 건져 올린 물고기” 눈길
팝뉴스
l
2018.12.13
제공 정말
생명
이 있는 물고기 일까. 아니면 공장에서 찍어낸 장난감일까. 해외 네티즌들의 궁금증을 자극하면서 여러 소셜 미디어에서 화제가 된 이미지다. 사진 속 물고기는 레인보우 래스(rainbow wrasse)로 놀래기 과이며 바닷물고기다. 설명에 따르면 인도양에 있는 크리스마스 섬에서 ... ...
벼·돼지·생쥐 국가자원으로 관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1
등 자원으로서의
생명
과학 연구가 활발한 종이다. 바이오특위 관계 부처는 국가전략
생명
연구자원을 추가 발굴하고 전담기관을 정해 이들 자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할 예정이다. 또 2018년 이후 매년 10종씩 선정해 2019년 20종, 2030년 30종 등으로 누적 자원 수를 늘려갈 계획이다. 바이오 산업을 ... ...
뇌연구원장에 서판길 UNIST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8.12.11
석, 박사를 받았다. 포스텍
생명
과학부 교수와 산학협력단장을 거쳐 2010년부터 UNIST
생명
과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7년 교육인적자원부로부터 ‘국가석학’으로 선정됐으며, 현재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학술로드맵 총괄위원장, 이탈리아학술원 국외회원 등을 맡아 활동하고 있다. ... ...
이전
467
468
469
470
471
472
473
474
4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