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d라이브러리
"
실험
"(으)로 총 9,097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물]좌뇌와 우뇌를 잇는 다리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좌뇌만 사용할 때는 언어표현에 문제가 없었으나, 우뇌만 작용하면 문제가 생기는
실험
을 통해 언어의 중추는 좌뇌에 있음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예시답안 환자의 오른쪽 화면에 칼을 보여 줬을 때는 환자가 물체의 실체를 인식해 정답을 말로 표현할 수 있었다. 이는 뇌량이 절단된 환자일지라도 ... ...
우리 몸 작동법-생화학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같다. 광합성에 대한 연구는 1771년 영국의 화학자 조지프 프리스틀리가 행한 간단한
실험
에서 시작됐다. 프리스틀리는 밀폐된 용기 안에 있는 식물에서 어떤 물질(나중에 산소로 밝혀짐)이 나와 공기가 차단돼 있는데도 초가 계속 탄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후 화학적 연구가 지속되면서 광합성에는 ... ...
광자(光子)로 기술문명 새 장 연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nm는 10억분의 1m)인 금속 나노 구멍에 통과시켜 빛의 세기를 1억 배 이상 증폭시키는
실험
에 성공한 내용을 담고 있다. 파장이 3mm인 테라헤르츠파를 폭이 50nm에 불과한 금속 나노 구멍에 통과시키는 데 성공한 것이다.연구진은 금속 표면에 만든 나노 구멍이 마치 깔때기에서 물이 통과하는 것처럼 ... ...
과학의 달인을 찾아서 - 미국과학진흥협회(AAAS) 연례총회에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아이들을 보니 이 사람도 진정한 달인이라는 생각이 들었다.“얏호~! 제게 과학
실험
쇼는 일이기 이전에 취미예요. 아이들이 행복해 하는 모습을 보면서 살 수 있어서 무척 즐겁답니다.” 리 마렉(시카고 일리노이대학교 교수) 연구의 달인! 최고의 과학자들을 만나다재미는 있지만 어쩐지 이상한 ... ...
잠든 야성 깨우는 동물행동 풍부화 프로그램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하버드대 행동심리학자 로버트 여키스 박사가 1920년대에 침팬지나 고릴라 같은 영장류
실험
동물이 받는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생활환경을 바꿔준 것이 시초다. 1940년대 들어서며 스위스 취리히 동물원에서 사육 동물을 대상으로 심리적 욕구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고 미국이나 일본 등 선진국의 ... ...
석면탤크 얼마나 위험한가?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1993년 미국 국립독성학프로그램(NTP)은
실험
동물(쥐)에 매일 6시간, 일주일에 5일씩 113주 이상을 탤크에 노출시킬 경우 종양이 생긴다고 보고했다. 그러나 이런 조건은 너무 극단적이라서 탤크가 아닌 어떤 물질이라도 마찬가지 결과를 가져온다는 반론이 ... ...
연필심에서 발견한 꿈의 나노 소재 그래핀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0에 가깝게 돼 전하 운반자가 빛의 속도에 가깝게 움직일 수 있다는 이론적인 예측까지
실험
으로 규명했다. 이 연구는 그래핀이 기존 반도체가 가진 한계를 극복한 신개념 소자로 쓰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 연구로 평가받았고 김필립 교수가 한국인 과학자 중 노벨상 수상에 가장 근접한 ... ...
초고전압 투과전자현미경으로 3차원 구조 밝힌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마치 강한 지진파가 전달될 때 지층이 뒤틀리거나 끊어지는 모양과 유사하다.그는 이
실험
을 하기 위해 두께 500nm의 알루미늄 결정 속 미세구조를 일일이 관찰해야 했다. 하지만 전자현미경으로 들여다 볼 수 있는 재료 두께의 한계는 100nm. 내부를 들여다보기에는 알루미늄 결정이 너무 두껍다는 ... ...
동식물의 신기한 재생능력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수 있다. 또한 그 결과물을 온 식구가 맛있게 먹을 수 있다.●
실험
시 유의할 점①
실험
할 때 되도록 싱싱한 뿌리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② 물이 건조하지 않도록 잘 살펴주고, 혹시 물이 부패하기 시작하면 소주를 반 컵(소주잔 기준)정도 넣어준다 ... ...
광합성 고효율 비결은 양자 결맞음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캘리포니아대 화학과 그레이엄 플레밍 교수팀은 초고속 시간 분해능 레이저를 사용한
실험
으로 광합성에 이용되는 색소분자들 사이의 결맞음이 수백fs 동안 지속된다는 사실을 밝혀 2007년 ‘네이처’에 발표했다. 결맞음이 있는 상태라면 모든 색소 분자들은 하나의 거대 양자 시스템처럼 행동하며 ... ...
이전
468
469
470
471
472
473
474
475
4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