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뉴스
"
세포
"(으)로 총 7,007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위장술 끝판왕 갑오징어 뇌를 연구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0
뇌의 신호 변화를 역추적하는 방법이 고안됐다. 피부가 변신하는 과정에서 뇌 속 신경
세포
들의 변화 양상을 거꾸로 찾아내겠다는 것이다. 질 로랑 독일 막스플랑크두뇌연구소 교수 연구진은 오징어의 몸 색깔이 바뀔 때 색소포자의 변화 과정을 관찰하기 위해 물 탱크 속에 초당 60회까지 ... ...
인간 '생체시계' 가진 생쥐로 파킨슨병 원인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0
라는 주제로 기조강연을 했다. 19일 서울 서초구 대한민국학술원에서 열린 ‘분자
세포
생물학의 최근 동향’ 학술대회에서 참석자들이 토론을 벌이고 있다. -윤신영 기자 ... ...
[여기에 과학] 30대 여성 난소에서 물혹이 많이 생기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8.10.20
갈리 교수는 “전구 난모
세포
들이 생식샘으로 이동할 때 일부가 자리를 잘못 찾아 췌장
세포
에 포함될 수 있다”며 “결국 난소와 췌장에서 후에 종양인 물혹으로 자라나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성인 몸에선 난소와 췌장이 멀리 떨어져 있는 기관입니다. 하지만 배아의 발달 과정으로 ... ...
장내 미생물로 면역치료제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0
나타났다”며 “
세포
표면다당체는 수지상
세포
뿐만 아니라 백혈구에서도 과민면역억제 T
세포
의 분화를 유도할 수 있다”고 밝혔다. 사이언스 이뮤놀로지는 이번 연구성과를 ‘주목할 만한 논문’으로 선정했다. 11월 에는 세계 전문가들과 함께 장내 미생물을 신약으로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 ...
몸은 죽고 뇌만 살아있다면… 온전한 인간으로 봐야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18.10.19
의장을 맡은 정성진 한국뇌연구원 뇌연구정책센터장은 “대표적인 예로 인간의 배아줄기
세포
를 연구할 때 14일이 경과하면 실험에 쓰지 못하도록 하는 건 그때부터 뇌신경 분화가 시작되기 때문”이라며 “과학적인 연구결과가 많아질수록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타당한 윤리기준을 만들기도 ... ...
한반도 수놓는 화려한 단풍, 그 가을 정취가 사라진다
2018.10.18
제공 일조량과 강수량의 변화 햇빛도 단풍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안토시아닌은
세포
내에 당이 많을수록 많이 합성됩니다. 나무가 오후에 광합성을 많이 하면 당분 생성량이 늘어 더 많은 양의 안토시아닌이 합성돼 단풍이 선명해집니다. 반면에 기후 온난화로 가을이 오는 시기가 겨울철로 ... ...
[과학 읽어주는 언니]와인잔에 마시는 맥주가 더 맛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8
우아영 기자 커피는 ‘향’이 중요한 음료다. 향은 휘발성 성분이 코 안에 있는 감각
세포
를 자극할 때 느낀다. 휘발성 성분은 온도가 높을수록 많이 발산된다. 따뜻한 커피가 맛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만약 에스프레소를 일반 커피용 종이컵에 담으면 넓은 면적에 커피가 퍼져 빠르게 ... ...
11회 윤광열 약학상에 오유경 서울대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8.10.17
바이오 의약품을 문제를 일으키는 부위로 정확히 보내기 위한 방법을 연구했다. 암
세포
주변의 환경을 분석해 독창적인 전달 방법을 고안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핵산의약 및 항암의약의 지능형 전달체 분야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해 180여 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했다. 오 교수는 현재 약학 ... ...
비름에서 골다공증 치료효과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8.10.17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연구진은 실험을 통해 비름 추출물이 뼈를 분해하는 파골
세포
의 분화 억제하하는 것을 확인했다. 또 골다공증 동물모델에서 혈중 지질량을 개선할 뿐만아니라 골소주의 양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을 발견했다. 김윤숙 식품연 식품기능연구본부장은 “여름에 ... ...
알츠하이머병·파킨슨병 공통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6
처리하자, 신경
세포
사멸이 지연되고 신경
세포
기능 이상도 회복됐다. 이 연구원은 “
세포
소기관 상호작용 조절인자는 미토콘드리아 칼슘 항상성 조절을 통한 신경퇴행성질환 치료제 개발의 새로운 표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 국립과학원회보 ... ...
이전
468
469
470
471
472
473
474
475
4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