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경로
경과
코스
절차
단계
진행
d라이브러리
"
과정
"(으)로 총 11,55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영원히 착륙하지 않는 무인비행기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더 어렵다. 유인비행기는 비행사의 숙련된 기술에 의지할 수 있지만 무인기는 모든
과정
을 컴퓨터에 맡겨야만 하기 때문이다. 서로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해 전파를 주고받는 장치인 ‘비콘’뿐만 아니라, 유인조종사가 눈으로 보는 대신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토대로 거리와 위치를 정확히 ... ...
암 전이 메커니즘 밝혀냈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밝혀냈다.류성호 미국 코넬대 의대 박사는 708번 마이크로RNA(miR-708)가 암세포의 전이
과정
을 조절한다고 ‘캔서 셀’ 1월 14일자에 발표했다. 마이크로RNA는 작은 RNA 조각이며 몸 안에서 유전자 기능을 조절하고 있다.암세포는 처음 생겼을 때는 이동능력이 거의 없어서 제자리에서만 증식을 ... ...
가려움 알리는 세포 비밀 풀렸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것도 없다. 가려움이 심해지면 따끔거리며 아프기도 하다. 가려움과 아픔은 어떤
과정
을 통해 느끼는 걸까. 싱츠홍 동 미국 존 홉킨스대 교수팀은 가려움 신호를 뇌에 보내는 세포 ‘MrgA3’의 기능을 동물 실험을 통해 규명하고 신경과학 분야 학술지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지난해 12월 23일자 ... ...
빙하가 녹으면 바이러스가 잠을 깬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변형(Transform)과 전이(Transfer) 가능성이다.유전자 변형과 전이는 일반적인 양성생식
과정
에서 일어나는 암수개체 사이의 유전자 재조합(한 쌍의 유전자를 맞교환)과는 전혀 다르다. 또 아무 생명체나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주목할 점은 박테리아 같은 원시적인 형태의 생명체에서 유전자 ... ...
PART 1. 글로벌호크, 한반도에 뜰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정보를 우선한다는 것이다.보고서는 무인항공기끼리 서로의 활동을 조정하고 임무 수행
과정
자체를 주어진 상황에 맞게 스스로 해석하며 원격 조종 없이도 공통 목표를 수행하게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인간이 타지 않는 무인기라는 개념보다 사람 없이도 사람의 의도를 읽어내는 무인기가 될 ... ...
빙하가 숨겨 놓은 얼음 세계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동굴이 있는지를 확인했다. 영하 18℃의 강추위와 휘몰아치는 눈보라는 동굴 입구를 찾는
과정
부터 힘겹게 만든다. 깊은 눈에 빠져 전진하는 데만 오랜 시간이 걸리고, 힘들게 해 놓은 작업도 몇 시간 만에 묻혀 버리기 일쑤다. 숀은 “눈이 너무 많이 와서 빙하까지 내려가는 통로를 뚫는 데 이틀이나 ... ...
스타워즈의 ‘옥에 티’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이 장면이 사실은 옥에 티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라이스터대 물리학과 석사
과정
에 재학중인 학생 네 명은 우주선이 광속에 가까워질 때 전방에 보이는 실제 모습을 계산해 논문으로 작성했다. 이 논문은 창의적인 연구를 독려하기 위해 학교에서 발행하는 ‘독특한 물리학 저널’에 실렸다 ... ...
개코보다 더 개코 같은 돼지코의 비밀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밝혀진 돼지 게놈을 통해 여러 가지 사실이 새로 밝혀졌다. 흥미로운 소식은 돼지의 진화
과정
이다. 세계에 존재하는 야생 돼지의 유전 정보를 분석하면 돼지의 조상은 약 350만~530만 년 전인 신생대의 초기 플라이오세(Pliocene) 때 동남아시아에서 유래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 때문인지 지금도 ... ...
200호 영예의 어린이과학동아 대상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만든 지면은 프린터로 출력해 어과동 편집부에서 여러 번 교정을 본단다. 깔깔. 그
과정
에서 오탈자나 어색한 문장을 여러 번 수정하지. 최종에는 이렇게 컬러 출력물까지 본다고!컬러 출력물에서 끝나는 줄 알았지? 어과동 편집부에서 파일을 넘겨받은 인쇄소에서 최종점검을 한 뒤에야 인쇄가 ... ...
[박형주 교수의 수학자 이야기] 인공지능의 가능성을 입증한 수학자 튜링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관심이 많았다. 인간의 사고
과정
을 이해하고자 하는 대담한 꿈을 가졌고, 기계가 그
과정
을 모방할 수 있는 단계까지 갈 수 있는지를 연구하고 싶어 했다. 그 결과 불과 20대의 청년이던 1930년대에 이미 이론적으로 컴퓨터의 개념을 만들어 냈는데, 당시는 아직 하드웨어적인 컴퓨터가 출현하기도 ... ...
이전
469
470
471
472
473
474
475
476
4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