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7"(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동아 특집 ‘코리아노사우루스’ 정식 학명 됐다과학동아 l2010년 12호
- 특집 제목이 공룡의 정식 이름이 됐다. 본지 2005년 7월호 공룡 특집의 제목이었던 ‘코리아노사우루스’가 최근 한국에서 발견된 신종 공룡의 공식 학명으로 등재된 것이다. 이 공룡에 이름을 붙인 사람은 당시 특집 기획에 참여한 허민 전남대 교수(한국공룡연구센터장·사진)다.허 교수는 “5년 전 ... ...
- 국내 연구진 배추 염색체 해독과학동아 l2010년 12호
- Genome Biology)’ 11월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미국, 일본, 프랑스, 캐나다 등 7개 나라와 동으로 배추의 유전체 전체를 해독하는 연구를 진행해 왔다.연구 결과 배추의 2번 염색체는 3190만 개의 NA 염기로 이뤄져 있었다. 또 평균 4600개의 기 서열을 갖는 유전자 7058개가 들어 있었다. 여기에는 유전자의 . ...
- 3차 나로호에 실릴 인공위성 공개과학동아 l2010년 12호
- 국내 최초 전천후 영상레이더 지구관측위성인 아리랑 5호도 내년 6~7월 발사할 계획이다. 아리랑 5호에는 고성능영상레이더를 탑재해 구름이 끼거나 어두운 밤에도 전천후 관측이 가능하다. 현재 운영 중인 아리랑 2호와 연계해 재난재해 감시 및 각종 자원 이용실태 파악 등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 ...
- Part 2. 과학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0년 12호
- 발생한 경우였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이 2006년 발표한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2005년 5월부터 17개월 동안 전국의 대학 병원에서 독성 간손상 증례를 조사한 결과 한약에 의한 간손상이 가장 많았다.약의 부작용이 단지 한의학의 문제만은 아니다. 그러나 현대의학에서 쓰는 약은 부작용이 대부분 밝혀져 ... ...
- 바다동물특공대 석유 오염 사고를 해결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2호
- 허베이스피리트 호 사고가 날 때까지 이중선체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어. 2007년에는 단일선체 유조선이 세계에서 가장 많은 173척 지나다닐 정도였지. 다행히 정부는 2011년부터 단일선체 유조선이 우리나라 항구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막기로 했단다. 석유에 의존하는 생활 자체를 바꾸자!하지만 ... ...
- 산타의 비밀수학동아 l2010년 12호
- 주고 창고로 돌아오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을 계산할 수 있지. 6시간 41분(=10+30+(20+10)×799+20+30)이야. 선물을 나눠줄 수 있는 시간이 9시간이니까 남는 2시간 19분에 새 썰매를 끌고 가 더 들를 수 있는 곳은276곳이 나와. 내가 크리스마스에 선물을 줄 수 있는 어린이 수는 2152명이 최대인 거야.지금쯤은 ...
- 완전수 6이 벌이는 신사 스포츠, 배구수학동아 l2010년 12호
- 2위팀과 경기)를 치렀다. 여기서 이긴 팀은 1-2위전, 5-6위전, 9-10위전에, 진 팀은 3-4위전, 7-8위전, 11-12위전에 올라 최종 순위 결정전을 가졌다.2010 월드리그 국제남자배구대회에서는 총 16팀이 4개 조로 나눠 각 조에서 4팀이 예선을 치렀다. 예선 1라운드에서는 한 팀이 나머지 3팀과 자기 나라와 상대 ... ...
- 컴퓨터로 수학 배우는 영국수학동아 l2010년 12호
- 우리나라보다 2년이 빠른 셈이다. 초등과정 6년을 마치면 11세에 중등학교로 진학한다. 7학년에서 11학년까지 5년 과정을 마치면 진로에 따라 길이 달라진다. 대학으로 진학할 학생은 2년간의 대학 예비과정을 거친다. 대학을 가지 않을 학생은 전문 자격을 갖추기 위한 과정을 밟는다 ... ...
- 최강 수학도시는 어딜까?수학동아 l2010년 12호
- 캔버라가 18.60점(5명), 러시아의 모스크바가 12.47점(90명), 스웨덴의 스톡홀름이 16.42점(7명), 캐나다의 토론토가 14.39점(36명), 밴쿠버가 16.89점(5명)입니다. 이 시즌 꼴찌 도시는 콜롬비아의 메델린으로 도시점수가 0.14(2명) 입니다. 세계 도시 순위를 보면 2위 도시의 성적이 25.29인데, 한국 ...
- Part 2. 멸종의 시계를 멈춰라과학동아 l2010년 12호
- 황새가 번식에 성공했다. 그 뒤로는 황새 개체수가 순조롭게 늘어나 2010년 현재 모두 97마리의 황새가 황새복원센터에 살고 있다. 번식에 성공했다고 복원에 성공한 것은 아니다. 야생에 방생했을 때 사람에 의지하지 않고 스스로 먹이를 찾을 수 있어야 진정한 복원이다. 이를 위해 기존 우리보다 3배 ... ...
이전4694704714724734744754764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