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뉴스
"
기능
"(으)로 총 7,616건 검색되었습니다.
北 단백질 구조예측 AI세계 수준급…구글 참가 대회서 맹활약
동아사이언스
l
2018.12.10
한 세부 분야에서 50여 개 팀을 이기고 1위를 차지했다. CASP는 생체 안에서 여러 가지
기능
을 하는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컴퓨터를 이용해 예측하는 기술을 겨루는 국제대회로, 1994년부터 2년마다 개최되고 있다. 대회 방식은 간단하다. CASP조직위원회가 5월부터 매일 2~3개씩 구조가 아직 밝혀지지 ... ...
[인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18.12.10
▽환경질환연구〃 박영준 ▽줄기세포융합연구〃 김장환 ▽항암물질연구〃 김보연 ▽
기능
성바이오소재연구〃 류영배 △실장급 ▽전략정책실장 신용환 ▽연구기획〃 남경백 ▽기획예산〃 조인묵 ▽사업지원〃 조기현 ▽지식정보〃 정호석 ▽인재개발〃 강석배 ▽문화경영〃 박희 ▽구매자산〃 ... ...
알루미늄 전지 상용화 난제 ‘양극물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2.10
분자를 반응시키는 아이디어를 냈다. 먼저 탄소와 산소가 이중결합을 한 유기화학
기능
기인 ‘카르보닐기(CO)’ 2개를 마치 더듬이처럼 지니고, ‘몸통’은 벤젠 구조 세 개가 결합한 분자를 만들었다. 이 분자 세 개를 서로 연결시키면 삼각형 모양의 유기 분자가 완성되는데, 이 분야에 달린 세 쌍이 ... ...
색상과 형태 동시에 인식하는 시신경 모방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2.09
반도체 소자는 신경세포의 연결을 흉내낸 소자다. 이 소자는 소비 전력은 적으면서 연산
기능
은 뛰어나 차세대 정보처리 칩으로 널리 연구되고 있는 두뇌 모방 칩(뉴로모픽 칩)의 핵심 부품으로 꼽힌다. 박 교수팀은 기존의 시냅스 모방 반도체 소자가 기본적인 시냅스 동작을 하는 소자를 만드는 ... ...
[프리미엄 리포트]한없이 가볍고 따뜻한 패딩 깃털 얼마나 알고 입나
과학동아
l
2018.12.09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더 많이 넣어야 하고, 그만큼 무거워진다. 김 대표는 “
기능
적인 측면에서는 인공 충전재가 솜털을 능가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인공 충전재 사용의 필요성은 늘고 있다. 동물학대 논란 때문이다. 2010년 전후로 깃털을 채취하는 ... ...
[노벨상 시상식] 암 치료 패러다임 바꾼 면역 항암 치료
2018.12.08
암세포나 항원표지세포의 표면에 존재하는 PD-L1은 T세포의 PD-1 단백질과 결합해 면역
기능
을 억제하는 단백질이다. 첸 교수는 PD-L1의 발견을 통해 암세포가 어떻게 우리 몸의 면역계를 회피해 살아남는지 밝히고, PD-L1 항체를 이용한 면역 항암 치료에 관한 연구와 임상 시험을 진행했다. PD-L1 항체 ... ...
[노벨상 시상식]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
2018.12.08
직면해도 결코 쉽게 포기하지 않는다. 실제로 그가 생명 진화의 원리를 효소에 적용해
기능
을 개선하고자 했을 때 당시 많은 생명공학자들이 ‘너무 단편적이며 진화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접근’이라고 비판했다. 단지 생명이 생산하는 물질에 불과한 단백질을 대체 무엇으로 진화시킨단 말인가. ... ...
최근 노벨상 5대 트렌드
과학동아
l
2018.12.08
모호한 경계는 비단 올해에만 나타난 것이 아니다. 2009년에는 리보솜의 구조와
기능
에 대한 연구 업적이, 2015년에는 DNA 복구 메커니즘 연구 업적이 화학상을 수상했다. 실제로 노벨상위원회가 공개한 1901~2014년 수상자의 주요 연구 분야 분류를 보면 화학상과 생리의학상에 공통적으로 생화학이 ... ...
[과학 읽어주는 언니] 간지럼은 왜 탈까?
동아사이언스
l
2018.12.06
때문이다.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사라-제인 블레이크모어 교수는 1998년에
기능
성자기공명영상(fMRI)을 통해 스스로 간질일 때와 남이 간질일 때의 뇌 반응을 비교했다. 분명한 차이를 보인 곳은 소뇌였다. 소뇌는 어떤 감각의 결과를 예측하는 역할을 하는데, 내가 나를 간질일 때는 ... ...
“이제 우리도 정지궤도위성 기술을 가졌습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부원장. - 기아나=사진공동취재단 최 단장은 “발사된 위성이 제
기능
을 하는지 확실히 알려면 한 달쯤 지나야 한다”고 말했다. 이 시기 천리안 2A호는 적도 상공 동경 128.2도 정지궤도상에 안착하게 된다. 그는 “내년 7월부터는 천리안 2A호를 활용해 한반도에 고품질의 기상 ... ...
이전
469
470
471
472
473
474
475
476
4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