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d라이브러리
"
연구
"(으)로 총 22,887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동아10주년 특별인터뷰] 오성진 UC버클리 수학과 교수, 수학실력은 지수함수처럼!
수학동아
l
2019년 10호
방향을 정하는 능력을 가진 것 같아요. 재미있는 점은 수학자의 취향에 따라 좋은 문제나
연구
방향이 다르다는 거예요. 굉장히 뛰어난 수학자들도 아주 기본적인 것에서부터 다른 시각을 가지고 있어요. 이런 점이 수학을 더 풍요롭게 만들어 준다고 생각해요.수학자에게는 재능과 포기하지 않는 ... ...
[프로듀스X101] 4대 의혹 정리
수학동아
l
2019년 10호
생방송으로 진행된 프로듀스 X 101의 최종 순위발표식이 있었던 2019년 7월 19일, 일부 네티즌이 결과를 받아들이기 어렵다며 목소리를 높 ... 식으로든 투표 결과에 손을 댔다는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이철희 고등과학원 수학부
연구
원은 “누군가가 정말 놀라운 발견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 ...
[수학동아 10주년 특별인터뷰] 수학동아 독자, 폴리매스로 비상하다
수학동아
l
2019년 10호
연구
원과 함께 멘토링을 가졌다. 각자 어떤 방법으로 문제를 풀었는지 발표하고 백
연구
원의 평가를 듣는 자리였다. 그런데 참가자 중 가장 어렸던 송현욱 학생에게 이날은 인생의 첫 목표를 세운 잊지 못할 날이었다. ▶수학동아 폴리매스 멘토링에 참가하기 전까지 정확히 어떤 활동을 하는지 ... ...
몸속으로 들어간 바다의 보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된답니다. 앞으로는 홍합 단백질의 접착에 대한 기초
연구
를 진행할 계획이에요. 이
연구
가 이뤄져야 홍합 단백질 접착제의 접착력을 조절할 수 있거든요 ... ...
꼭꼭 숨어라 블랙홀이 보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연구
원), 임명신(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교수), 조일제(한국천문
연구
원 전파천문본부
연구
원)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꼭꼭 숨어라 블랙홀이 보인다!Part 1. 블랙홀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내다Part 2. 블랙홀 어떻게 찍었을까?Part 3. 블랙홀에 떨어지면 어떤 일이?!Part 4. 블랙홀 어떻게 ... ...
블랙홀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윤곽을 드러낸 답니다. 이 윤곽 안의 어두운 부분을 ‘블랙홀의 그림자’라고 해요. EHT
연구
팀은 전파로 블랙홀의 그림자를 찾아낸 셈이죠. M87* 블랙홀의 그림자는 지름이 약 1000억km 정도 돼요. 실제 블랙홀의 경계인 ‘사건의 지평선’은 이 그림자의 중심에 있으며, 지름이 약 400억km일 것으로 ... ...
블랙홀을 찾아낸 사람들에게 묻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그럼 이번에 발표한 것보다 더 나은 블랙홀 이미지를 얻을 수 있을 거예요. 현재 EHT
연구
팀은 우리 은하 중심의 블랙홀인 ‘궁수자리 A*’의 이미지를 얻으려 하고 있어요. 빠르게 회전하는 궁수자리 A*의 모습을 촬영하여 동영상을 얻는 것이 목표랍니다! 용어정리우주배경복사 : 우주를 가득 ... ...
[과학뉴스] 구부리고 늘리고 비틀어도 되는 전극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전도성 고분자를 기판에 적셔 패턴을 새긴 곳에만 전도성 고분자를 입히는 방식이다.
연구
팀은 실리콘의 일종인 폴리디메틸실록산 소재에 방향성 젖음 국지화 기술을 적용해 신축성이 있는 전극을 만들었다. 개발된 전극은 40%가량 늘려도 전기적 특성을 유지했다. doi: 10.1038/s41598-019-49322- ... ...
[과학뉴스] 철새의 야간 이동, 단백질 변이 덕분?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9월 4일자에 발표했다.
연구
팀은 야간에 이동하는 철새와 유사한 단백질을 가진 비둘기의 CRY4 단백질의 결정화 구조를 분석했다.그 결과 특정 부위에 유전적 변이가 생긴 일부 철새의 CRY4 단백질이 빛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 ...
[과학뉴스] 비만 치료 위해 뇌 시상하부 정조준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지방을 저장하는 주머니 역할을 하는 지방소립이 과도하게 축적돼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
팀은 띠뇌실막세포 속 미토콘드리아 단백질인 전이체 단백질(TSPO)을 억제하면 신체 대사에 필요한 에너지량이 증가하면서, 세포가 에너지를 얻기 위해 쌓여있는 지방소립을 분해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TSPO의 ... ...
이전
470
471
472
473
474
475
476
477
4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