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재
등록
서류
문서
등기
각서
기입
d라이브러리
"
기록
"(으)로 총 5,115건 검색되었습니다.
팩시밀리 산업기술 연구조합 발족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표시돼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이 밖에도 50㎝ 대형
기록
지를 갖고 있어
기록
지를 자주 교환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다.DF-30의 가격은 1백만원대로 기능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다는 것이 장점.또한 금성사는 최근 80만원대의 국내 최저가 팩시밀리 GF-1을 개발 시판에 나섰다. 이 팩시밀리는 전화기 ... ...
엎취락 뒤치락의 7라운드 끝내고 다시 불붙은 미·소의 우주경쟁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그들은 미르에서 생활하고 있으므로 아마도 세계 최초로 일년 이상 우주에서 지낸
기록
을 보유하게 될 것 같다. 1986년에 발사되어 지금까지 활동하고 있는 소련의 최신형 우주정거장 미르의 크기는 보조장치까지 합하여 길이가 25m 정도이다. 무게는 30~40톤 정도. 에네르기아의 등장미국의 ... ...
독특한 맛과 맹독을 함께 지닌 생선 복(鰒·Swellfish)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상당히 오래다. 황하와 양자강에서 자라는 복을 중국사람들이 식용으로 했다는 고대의
기록
이 있다. 당시 그 모양이 마치 돼지와 비슷하다 하여 한자로 河豚이라고 표기했다. 그러나 지금은 일본에서 표기한 복(鰒)이 통용되고 있다. 영어로 Puffer또는 Swellfish라 하는 것도 같은 발상의 표현이며 ... ...
컴퓨터사회에서의 프라이버시 보호법 행정전산망 사업과 병행 추진해야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경우에는 잘못된 이미지를 영구화시킬 염려까지 발생하게 된다. 특히 개인의 전과
기록
과 같이 데이타의 정확성이 고도로 요구되는 분야에서는 개인정보의 전산화에 따라 컴퓨터에 의하여 범죄자로 몰릴 위험성마저 있게 된다.컴퓨터 시스팀하에서는 거리의 구애를 받지 않고, 특정 개인에 관한 ... ...
대서양 횡단 기구(氣球)여행/더블이글호(전편)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일 '더블 이글호'라 명명된 기구를 타고 대서양 횡단에 올랐으나 비행시간 65시간 30분을
기록
하고 아이슬랜드에 불시착했다. 그러나 1년 후 재도전에 나서는데… ... ...
아르메니아의 대참사를 계기로 다시 알아본다 지진은 왜, 어떻게 발생하나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의한 국내 최대의 인명피해는 779년에 경주에서 발생한 지진에 의하여 일어났다. 당시
기록
에는 집들이 무너져 1백여명이 사망했다고 쓰여 있다.한반도의 지진은 역사적 자료에 의한 역사지진과 지진계설치후의 계기지진으로 대별할 수 있다.또 지역적으로 조사해 보면 대체로 한반도 남서부의 ... ...
실험실의 복병, 생물재해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볼 때 병원성 미생물이 새로이 발견될 때마다 이어서 실험실 감염이 발생하고 있다.
기록
에 남겨진 것은 빙산의 일각으로 실험과정에서 많은 사고가 일어났을 것을 상상하기 어렵지 않다. 이와 같은 생물재해는 비단 미생물실험뿐만 아니라 백신생산업소, 병원의 검사실, 대량의 혈액을 취급하는 ... ...
과학기술 선진국으로 한발짝 가까이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줄었다고 하지만 유전기법으로 생산된 단일 품목의 의약품으로서 최고의 수익을
기록
한 것이다. 지난해 유전공학계에서 관심을 모은 연구결과의 하나는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바이오소스사의 이른바 '진웨어'의 개발이었다. 식물세포내에서 의약품 원료를 비롯한 복잡한 화학물을 만드는 이 기법은 ... ...
1백만년·10번 빙하가 견딜수 있는 장소 물색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지하수가 오염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이곳에도 과거 8번의 지진이 있었다는
기록
이 있다. 그리고 핵실험장소가 불과 20km 떨어진 곳에 있어 지하의 구조가 흔들릴 위험도 있다. 네바다주 당국과 주민들은 여러가지 사정으로 네바다주가 불가피하게 핵폐기물저장소가 될 것은 각오하고 있다. ... ...
두루미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거북과 더불어 불로장생의 동물로 인식되어 오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 두루미의 최장수
기록
은 55세. 미국 워싱턴동물원에서 수립되었다.일찌기 우리의 시인묵객들은 유유자적하는 두루미를 즐겨 그렸다. 그런데 이 그림중에 몇가지 잘못된 점을 우리는 쉽사리 발견할 수 있다. 두루미가 소나무 위에 ... ...
이전
471
472
473
474
475
476
477
478
4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