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토
포토그라피
그림
화상
초상
회화
형상
d라이브러리
"
사진
"(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준별 수학 교과서가 도입되는 이유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도 컬러였는데, 2007 개정 교과서에서는 수학도 4도 컬러를 사용할 수 있게 돼 다양한 컬러
사진
이 학습 자료로 활용됐다. 이에 따라 시각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학생의 관심과 호기심을 유발하는 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두 번째로 중·고등학교에 교과서 외에 익힘책이라는 보조 학습교재가 함께 ... ...
Part1. 당신은 호모 사피엔스 100%인가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연구자의 DNA에도 오염되기 쉽다. 따라서 특수하게 설계된 분석 장비를 이용해야 한다.
사진
은 게놈 분석 장비로 DNA를 검출하는 장면.]연구팀은 이 분석 결과를 현대인의 유전자와 비교했다.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현생인류와 네안데르탈인 사이에 유전자 교류가 일부 있다는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 ...
Part 2. 미국까지 3시간, 지구가 좁아진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위해서다. NASA와 록히드마틴사가 설계해 2010년 6월에 공개한 초음속 항공기(47쪽
사진
)는 주둥이가 뾰족하고 길어 갑오징어를 닮았다. 작은 날개가 뒤쪽에 달려 있다. 짧은 꼬리날개는 주 날개와 연결돼 있어서 소닉붐도 줄일 수 있다. 전문가들은 이 비행기가 2030년쯤에 상용화될 것이며 미국 ... ...
“개념 공부는 그만.과학의 이야기를 즐겨라”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전국 고등학교에 별종 과학 교과서가 떴다. 1학년들이 3월부터 배우기 시작한 융합형 과학이다. [힘과 운동] [원자와 분자] 등 익숙한 개념은 온데간데 없고 빅뱅과 생명의 진화, 현대문명을 중심으로 파격적인 구성이 펼쳐진다. 지금까지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중심으로 과학을 배웠던 사람들은 ... ...
파리는 어떻게 벽에 달라붙나?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액체로 털이 닿았던 면에만 남아 있다.➋ 왼쪽은 매끄러운 대벌레 발바닥의 현미경
사진
이고 가운데는 확대 이미지이다. 오른쪽은 면에 남은 액체의 자국으로 발바닥 전체가 닿았음을 보여준다.] [영국의 과학자 로버트 훅이 1665년 출간한 ‘현미경 보도’에 실린 파리 발 스케치. 훅은 발의 ... ...
기계에도 근육이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연구하는 거라고 생각해도 크게 틀리지 않습니다. [하이퍼는 두 종류가 존재한다. 위
사진
은 큰 힘을 낼 수 있는 정통 유압식 액추에이터를 써서 만든 로봇으로 120kg가량의 짐을 지고 6~7시간 동안 움직일 수 있다. 아래는 소형 유압 액추에이터인 ‘EHA’를 써서 출력을 조금 낮추고, 소형화시킨 ... ...
달라진 융합형 과학 교과서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바뀌었다는 것이다. 주요 특징을 살펴보자. ① 학생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우수한
사진
및 삽화 자료가 포함돼 있다. ② 요소별로 강조하는 개념 중심에서 스토리텔링 중심으로 내용 구성이 바뀌었다. ③ 차시의 구성이 개념 중심에서 문제 중심으로 바뀌었다. ④ 단순한 흥미 위주에서 탈피해 ... ...
언어를 모르면 수 개념도 몰라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정확하게 표현했지만 그보다 큰 수는 이해하지도 전달하지도 못했다. 반면 미국 수화(
사진
)를 배운 니카라과 청각장애인은 3보다 큰 수를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골딘매도우 교수는 “숫자를 나타내는 단어나 표현을 몰라 생기는 문제가 아니다”라며 “8을 의미하는 단어가 ‘7보다 하나 크고 ... ...
Part 1. 날개 접었다 폈다, 출퇴근용 변신 비행기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몇 바퀴씩 지구를 돌고 있는 인공위성 3300여개를 일체의 사고 없이 운영하고 있다.
사진
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인공위성 관제실 모습.] 도시 연결하는 고속도로 개념PAV 시스템은 크게 두 종류로 나뉜다. 실용화 가능성이 높은 것은 앞서 가상스토리로 소개한 ‘포인트 투 포인트(Point to Point) ... ...
생명의 밥상 vs 재앙의 밥상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우리 주변을 깨끗하게 만든다는 이야기를 즐겁게 읽다가도, 귀퉁이에 나와 있는 현미경
사진
을 보면 입고 있던 옷이 갑자기 더럽게 느껴진다. 크기가 아주 작아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베개마다 집먼지진드기가 10만~1000만 마리씩 살고 있다는 글을 읽고 나니 오늘 밤부터 무엇을 베고 자야 하나 ... ...
이전
471
472
473
474
475
476
477
478
4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