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찰스 다윈의 가장 독창적인 아이디어 성선택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1호
제한돼 있어요.이러한 차이 때문에 어느 한 순간 짝짓기가 가능한 암컷과 수컷의 수가
큰
차이가 나요. 청개구리 수컷은 어젯밤에 짝짓기를 했더라도 곧바로 정자를 생산해 오늘 밤에 다시 짝짓기를 할 수 있어요. 이에 비해 어젯밤에 짝짓기를 한 암컷은 다시 짝짓기를 하려면 알을 준비해야 하기 ... ...
전통과학연구소 소장 ‘보권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0호
!“작은 구슬은 떨어지면서 점점 빨라져. 그러면서 여기저기를 건드리고 놓여 있던
큰
구슬을 움직이게 만들지. 구슬이 움직이면서 나머지 장치를 움직이게 하는 걸세.”자격루는 일종의 골드버그 장치다. 구슬이 높은 곳에 있다가 떨어지면서 위치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전환되어 시보장치를 ... ...
너무 빨리 자라면 병? 성조숙증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0호
아빠가 함께 목욕을 하면서 고환의 크기를 체크해 주세요. 사춘기를 늦출수록 키가 많이
큰
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렇지 않습니다. 사춘기가 늦는다고 좋은 것도 아니거든요. 사춘기는 자연스러운 것이므로 초등학교 고학년 때 사춘기가 시작된다면 자연스럽게 또 당당하게 받아들이세요. 또 ... ...
근시 vs 원시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0호
수 있어요. 원시근시와는 반대로 가까운 곳을 잘 보지 못하는 눈이에요. 먼 곳을 볼 때는
큰
문제가 없지만 눈앞의 책을 읽거나 컴퓨터 모니터를 볼 매우 불편하지요. 각막이나 수정체에 이상이 생기거나 안구가 짧으면 망막보다 뒤쪽에 상이 맺히기 때문에 생겨요. 그래서 원시인 사람은 빛을 한 ... ...
여치의 노래를 잘 들을 수 없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0호
폭을 ‘파장’, 1초 동안 고막에 전달 되는 횟수를 ‘주파수’라고 해요. 진폭이 클수록
큰
소리가 나고, 주파수가 높을수록 고음이, 낮을수록 저음이 나지요.우리가 여치의 노래 소리를 잘 들을 수 없는 것은 주파수 때문이에요. 귀뚜라미가 부르는 유인노래 주 파수는 3000~6000 헤르츠★이고 여치 ... ...
전통과 디지털이 공존하는 아름다운 궁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0호
만들어진 첫번째 궁이에요. 한양(지금의 서울)을 도읍으로 정한 후궁을 지었고 ‘
큰
복을 누리라’는 뜻을 가진 ‘경복(景福)’으로 불렀지요. 수문장이 지키는 광화문을 지나면 왕의 즉위식이 열리거나 외국 사신을 맞이하는 근정전, 왕과 신하들이 정치를 의논하던 사정전, 명성황후가 시해된 ... ...
멸종 위기의 지구생물을 지켜라! 생물다양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0호
활동이 수원청개구리가 멸종되지 않고 우리와 오래오래 살 수 있게 하는 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단다.다른 생물다양성 활동도 많아~!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생태발자국 줄이기’야. 생태발자국은 우리가 사용하는 에너지와 음식, 도로 같은 인공 환경을 만드는 데 쓰이는 땅의 크기를 나타낸 거란다. ... ...
2014 국제바이오현미경사진전 수상작 전시회 꼭꼭 숨어라, 현미경이 찾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9호
작은 세상을 10~1000배 확대하는 현미경의 ‘마술’이지요. 생물 속 아주 작은 곳에 숨은
큰
세상을 함께 봐요~.제11회 국제바이오현미경사진전에 입상한 사진들이에요. 충청북도와 오송바이오진흥재단이 함께 여는 국제바이오현미경사진전은 ‘생명 속의 생명’들이 펼치는 작은 세계의 아름다움과 ... ...
세상에서 가장 신나는 어린이과학동아 10살 생일파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9호
게라시멘코’라는 이름의 혜성을 쫓고 있어요. 이 혜성은 동그랗고 작은 암석과 조금 더
큰
둥그런 암석이 합쳐진 것 같은 독특한 모습 때문에 ‘우주 오리’라는 별명도 가지고 있답니다.저는 2004년 발사된 이후로 64억km를 날아서 2014년 8월, 10년 만에 67P 혜성 궤도에 진입하는 데 성공했어요. 지금도 ... ...
국립도서관 사서 ‘다바쓰믄 돌리도’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8호
모아 놓았습니다. 이제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책 세상이 펼쳐집니다.”세계에서 가장
큰
도서관이 문을 열었다. 도서관 사서인 ‘다바쓰믄 돌리도’가 개관 기념으로 진행하는 이벤트를 설명했다.“미션지에 쓰여 있는 책을 찾아서 가장 먼저 돌아오는 사람이 우승자입니다. 우승하신 한 분에게는 ... ...
이전
471
472
473
474
475
476
477
478
4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