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남
타인
남쪽
남향
d라이브러리
"
다른사람
"(으)로 총 9,549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무 한 그루가 잎을 통해 할 수 있는 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2
식물의 잎이 이렇게 중요한 일을 하고 있었다니 정말 놀랍지요? 이제부터는 밥상에 올라오는 나물과 채소 반찬에게 감사 인사를 꼭 한번 하고 식사하자고요. ‘식물의 잎이 하는 일’은 초등학교 과학교과서 5학년 1학기 단원 7에 나오며 3학년 2학기 단원 1에 나오는‘식물의 잎과 줄기’와도 관련 ... ...
말라리아 막는 모기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0512
말라리아를 옮기는 모기가 말라리아에 걸리지 않는 이유가 드러났다.암컷 모기는 말라리아에 감염된 사람의 피를 빨 때 말라리아 원충에 감염된다. 이 원충은 모기가 다시 흡혈할 때 다른 사람들을 감염시키지만 정작 모기는 말라리아에 걸리지 않는다. 존스 홉킨스대 마르첼로 제이캅스-로레나 교 ... ...
신경세포에서 엿본 영혼의 그림자
과학동아
l
200512
뇌에도 열고 닫을 수 있는 문이 있을까? KAIST 김대수 교수는 “그렇다”고 말한다. ‘뇌의 톨게이트’라고 할 수 있는 시상핵은 모든 감각 자극이 뇌로 전달되는 관문이다. 이 시상핵 관문이 닫히면 의식을 잃게 되고 관문이 활짝 열리면 더 집중할 수 있게 된다. 김 교수가 이끄는 신경유전학연구실 ... ...
뇌는 블랙박스가 아니다
과학동아
l
200512
20세기 초만 해도 뇌는 블랙박스라서 한 덩어리로 취급해야 한다는 생각이 보편적이었다. 심리학도, 교육학도, 뇌 발달도 이 가정을 바탕으로 입력과 출력을 연구했다. 이는 ‘본성과 양육’ 논쟁에서 양육을 강조하는 생각으로 이어지고, 사람은 누구나 같은 잠재력을 지니고 있으므로 교육을 통 ... ...
Smart D
과학동아
l
200512
2029년에도 사람들은 SF를 썼다. 덕분에 그 해에도 한국 SF 공모전이 열렸고 7000편이 넘는 응모작들이 접수되었다. 나는 예년처럼 응모작들을 접수하고 있었다. 그런데 어느날 소설부문 응모작 접수란에 이런 글이 남겨져 있었다.『첨부된 파일은 지난 15년간이나 애정을 가지고 읽고 또 써 온 SF 인생 ... ...
인간과 침팬지 차이는 엔도르핀
과학동아
l
200512
엔도르핀이 인간과 침팬지 사이를 갈랐을까.인간과 침팬지의 DNA는 기껏해야 2% 밖에 다르지 않다. 그런데 어떻게 인간이 지금처럼 진화할 수 있었는지는 큰 수수께끼다. 최근 가능성 있는 답 하나가 공개됐다. 바로 엔도르핀의 차이다.미국 듀크대 그레고리 워레이 교수는 인간과 침팬지가 모두 갖 ... ...
디지털 주얼리(Digital Jewelry)
과학동아
l
200512
생기발랄한 20대에서 중년까지 여자라면 꼭 하나쯤 갖고 싶어 하는 욕망의 결정, 아름답지만 흔치 않고 쉽게 넘보기 힘든 미인같은 존재, 태양과 달의 고귀함과 신성함을 상징하는 영물, 오랫동안 인류의 마음을 빼앗아온 불멸성…. 모두가 보석에 빗대는 말이다.옷깃과 소매 사이로, 때론 우아한 손 ... ...
나선이 지그재그를 만날 때
과학동아
l
200512
깊은 밤 깊은 곳에서 DNA 분자들이 회의를 열었다. 안건은 ‘변신’이었다.“도대체 무슨 일이야? 뭘로 변신해야 한다는 거야?”“섹시녀를 근육남으로 바꾸래.”“성전환 수술이라도 하라는 거야?” “글쎄.”의장이 자초지종을 설명했다. 원래 DNA는 두 가닥이 오른쪽 손가락을 감았을 때 돌아가는 ... ...
2. "열려라 주가"
과학동아
l
200512
친구 사이인 경제학과 '상순이'와 물리학과 '숭돌이'가 증권사 객장에 갔다. 이들은 객장 곳곳에서 논쟁을 주고받더니 공동으로 투자 통장을 만들었다. 그들은 통장 앞면에 '이코노피직스(Econo-Physics)펀드'라고 썼다. 도대체 객장에서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1. 객장 문을 열다 - 멱급수 법칙과 경제물 ... ...
춤추고 싶은 물리
과학동아
l
200512
몇 년 전부터 고개를 들기 시작한 이공계 위기설은 이제 ‘친숙’하게 들리기까지 한다. 수험생은 ‘학문적 호기심’ 보다는 ‘돈 되는 전공’에 우선순위를 둔다. 교수들조차 약대 가고 남은 학생들이 공대에 온다는 말을 거리낌 없이 한다. 대학 진학 뒤에도 부전공을 살리거나 전공과 동떨어진 ... ...
이전
472
473
474
475
476
477
478
479
4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