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쿨
학원
배움터
핵교
학당
학겨
핵겨
d라이브러리
"
학교
"(으)로 총 5,431건 검색되었습니다.
최초 비행기 모형 열대 식물 씨앗 본떴다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없고 견고한 주익(主翼)을 만들려고 노력했다.우연히 그들은 함부르크의 한 중고등
학교
교사인 프리드리흐 알보른(Friedrich Ahlborn)의 논문을 입수하게 됐는데, 그 논문은 '비행기의 안전성'에 관한 것이었다. 이 글에서 저자는 비행성 씨앗이 가지고 있는 특수한 비행성능을 찬양했다. 이 리아네는 ... ...
이름 잘못 불리는 식물 12가지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이것이 국민
학교
교과서에 잘못 표기돼 한동안 시비 거리가 된 적이 있다.처음 국민
학교
3학년 자연과 교과서에 부레옥잠이라 잘 표기돼 있었다. 그런데 그 다음해에 개정된 4학년 교과서에 물옥잠이라 잘못 표기돼 나왔다. 이를 본 학부형들이 똑같은 식물인데, 3학년 교과서와 4학년 교과서에 ... ...
보름달이 사라지는 개기월식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못할 것이다(그림). 우리는 월식을 관측하며 어떤 기록을 남겨야 하나? 필자는 국민
학교
때 월식을 보며 절을 하고 소원을 빌었던 기억이 난다. 우선 별다른 관측장비가 없는 사람들은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장소에서 월식의 정확한 진행시각을 기록하라. 사전에 자기 시계를 TV나 라디오를 통해 ... ...
한국 기술 교육 대학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초대 학장은 서울대 공대학장을 역임한 이낙주 박사가 맡았고 교무처장은 '사관
학교
'식 운영을 고려해 육사교수를 지낸 신창균 박사를 초빙했다.그밖의 교수는 공채했는데, 모집대상 25명에 2백50여 명이 몰려 10대1의 경쟁률을 보였다.이같은 경쟁률은 신입생 선발에서도 나타났다. 지난 해 ... ...
메모리, 효과적으로 사용하려면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이런 사정을 봐주지 않고 자신의 속도에 맞춰 데이터를 마구 보내기 때문이다. 마치 국민
학교
1학년생이 아나운서의 뉴스내용을 받아쓰기하는 꼴이다.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프린터에 설치된 버퍼는 중앙처리장치가 보내온 내용을 빠른 속도로 받아들인다. 그리고 버퍼가 꽉 차면 ... ...
과학기술연구원 유전공학연구소 이대실 박사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케이스'라고 지적한다.그의 아침은 운동과 함께 시작한다. 그의 말에 따르자면 국민
학교
때부터 '더도 덜도 아니고 어떤 경기건 학급 대표는 도맡아할 정도'로 좋아했던 운동이어서 그렇기도 하지만 이제는 '살기 위해' 운동을 한다고 한다. 40대에 들어서니 체력도 성취에 큰 몫을 하더라는 설명이다. ... ...
「실험으로 알아보는 과학세계」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반복과 슬로영상을 만끽할 수 있다. 감수를 맡은 연세대 전자공학과 김웅교수는 "과
학교
육의 핵심은 흥미 유발과 지속적 관심인데 이를 동시에 해결해줄 수 있는 것은 실험뿐이다"고 말했다. 제작은 교양제작물 전문업체인 서진미디어가 맡았다(전화 02-522-4582) ... ...
한국조류보호협회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고와 새들을 좋아하게 됐다. 틈이 나면 새들을 찾아나서곤 했던 그의 새에 대한 정열은
학교
를 졸업하고 사회에 나와서도 식을 줄 몰랐다."지난 78년 '자연보호헌장'이 제정선포됐을 때 나는 새 사랑을 통해 자연보호와 나라사랑을 실천 하기로 했습니다. 80년 협회를 만들때 회원들이 얼마나 모일까 ... ...
21세기 과학기술문명 시간여행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1세기가 8년 앞으로 다가왔다. 지금 태어나는 아이가 국민
학교
들어갈 때쯤이면 21세기는 화려하게 시작된다. 더이상 먼 미래의 얘기가 아니다. 지난 1세기 동안 과학기술은 수천년 인류역사를 통틀어 이룩한 것보다 더 많이 진보했다. 인류가 오랫동안 꿈꾸던 우주에 첫발을 내디뎠으며 컴퓨터 로봇 ... ...
별이 흔들리고 달이 이글거리는 이유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한번 읽어 보라고 권하고 싶다. 천문우주에 관한 기본 지식을 가르쳐주는 책으로는 국민
학교
의 자연교과서보다 더 훌륭한 것이 없다.편한 마음으로 만화로 구성돼 있는 책이나 우주과학에 대해 나오는 TV 프로, VTR을 자주 보도록 한다. 그리고 차츰 단계를 높여 전문서적을 보면 그동안 입문자에게 ... ...
이전
472
473
474
475
476
477
478
479
4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