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금
오늘날
오늘
현존
기존
존재
생존
d라이브러리
"
현재
"(으)로 총 9,307건 검색되었습니다.
3. 인류 절반의 식량 벼 게놈지도 완성
과학동아
l
200206
같은 30억 염기쌍이며 보리는 50억쌍, 밀은 무려 1백60억 염기쌍에 이른다. 그런데 벼는
현재
까지 알려진 외떡잎 곡물 중 게놈 크기가 가장 작은 4억3천만 염기쌍에 불과하다. 벼 게놈 해독이 우선적으로 추진된 가장 큰 이유가 여기에 있다. 또 한가지 중요한 점은 곡물들이 매우 유사한 유전자 배열 ... ...
2. 금강산댐 안전성 7대 의문점
과학동아
l
200206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대책을 마련했다.건설교통부에 따르면
현재
금강산댐은 75m 높이까지 물이 차 저수량은 6억-7억t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홍수시 수위 상승으로 물이 넘쳐흐르면 저수량은 약 12억t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대해 평화의댐에서 5.9억t을, 수위를 낮춰 ... ...
의사결정을 뒤흔드는 뜻밖의 함정
과학동아
l
200206
제시된 사인(死因) 중 어떤 것의 빈도가 더 높을까?1) 암2) 자동차 사고문2 : 200x년 y월 z일
현재
, 두산 베어스 심재학 선수의 타율은 0.348이다. 그런데 오늘 컨디션이 좋지 않은지 지금까지 3타수 무안타에 4번째 타석이다. 해설가는 “이 정도 타율의 선수가 3번의 기회를 놓쳤으니 이번 타석에 안타를 칠 ... ...
빅뱅은 여러번 일어난다?
과학동아
l
200206
해결된다. 또 최근 문제로 등장한 암흑에너지와 같은 수수께끼도 풀 수 있다. 우리우주는
현재
측정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포함하는데, 어떤 이론에서도 이 암흑에너지를 설명할 수 없었다. 이 새로운 모델에서는 에너지가 중력의 형태로 우리우주와 평행우주 사이를 연결하는 5차원을 ... ...
연료전지 실용화하는 얇은 막
과학동아
l
200206
인간은 얼마나 얇은 막을 만들 수 있을까. 아주 얇은 막을 만들다보면 결국 원자 한층으로 된 막을 만들수 있지 않을까. 과학적인 호기심을 불러일으 ... 자연과학의 입장에서 새로운 문제 풀기에 끊임없이 도전하는 전기화학연구실에는
현재
박사과정생 5명, 석사과정생 4명이 참여하고있다 ... ...
공각 기동대 vs 매트릭스
과학동아
l
200206
나라’의 플레이어는 2D 환경에서 간단한 이동과 공격 등의 행동을 할 수 있었다. 그러나
현재
개발되고 있는 온라인 게임의 세계에서는 완벽하지는 않지만 중력의 법칙과 가속도, 관성 등 물리학의 법칙들이 적용되고 있다. 플레이어들이 게임 속의 세계가 현실과 비슷해지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 ...
4. 위해성 논란 종식 위해 동원되는 첨단과학
과학동아
l
200206
일어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잠시 들 뿐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현재
유전자변형 작물(GM 작물)에 대해서는 상당한 불안감으로 우려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누군가는 이렇게까지 생각할지 모르겠다. “항생제 저항성 GM 작물을 먹으면, 그 속에 포함된 유전자가 나에게로 ... ...
물리학 안경으로 통합되는 생명현상 생물물리학
과학동아
l
200206
신약개발에 응용될 수 있다. 질병을 일으키는 단백질이 어떤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지는
현재
도 알 수 있다. 그런데 접히는 모양에서 실질적으로 단백질의 기능이 밝혀지기 때문에, 이 단백질의 기능을 차단하려면 그 구조가 명확히 밝혀져야 한다. 그러면 단백질의 구조와 딱 맞는 약물을 개발하는 ... ...
4. 불교와 물리학의 기막힌 인연
과학동아
l
200206
실체를 규명하기에 너무 급급한 나머지 그 전체를 아우르는 관점을 지니지 못했다.
현재
의 과학이 제기하는 많은 문제점은 바로 여기에서 나왔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따라서 현대과학이 제기하는 많은 문제점의 해결책은 과학 내부가 아니라 오히려 불교의 연기론에서 비롯되는 통합적 ... ...
팔만대장경 기적의 보관 기술
과학동아
l
200206
만들어진 이후의 7백50년 동안에도 수많은 화재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현재
남아있는 화재기록은 조선 후기 퇴암스님이 ‘해인사 실화적’이란 책에 기록한 것이 전부다. 기록이 시작된 1695년에서 1876년까지의 2백여년 동안 무려 7차례의 화재가 있었다. 기록에 없는 기간까지 포함한다면 ... ...
이전
473
474
475
476
477
478
479
480
4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