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gauge
d라이브러리
"
게
"(으)로 총 7,754건 검색되었습니다.
애벌레가 나무를 내려오지 못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그룹은 나무 위로 올라가 죽었다. egt가 변태를 막고 나무 위에서 내려오지 못하
게
하는 결정적인 원인이었던 셈이다.연구팀은 “동물의 이상 행동을 유발하는 가장 교묘한 방법은 호르몬 조절이며 이 호르몬 조절은 유전자로 조작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는 유전자가 숙주 동물의 행동을 ... ...
우주에서 온 로보너트2의 편지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올해 초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 호를 타고 우주정거장으로 건너간 휴머노이드 ‘로보너트2’가 드디어 긴 잠에서 깨어났다. 전원을 연결하고 모든 작 ... 될지도 모르겠다. 그때 너희들도 함께 하지 않을래? 이곳에서 멋진 한국인 우주인을 기다리고 있을
게
. 그럼 다음에 또 볼 때까지 안녕~ ... ...
“우리 부부는 뇌가 2개나 있는 과학자”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요즘 부부 과학자가 꽤 늘었다. 같은 분야에서 연구하는 커플도 드물지 않다. 김근일(45) 숙명여대 생명과학과 교수와 백성희(41)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그중에서도 손꼽히는 ‘ ... 못 죽을 거 같아요(웃음).” “부부로서는 오래 살면서 서로 일도 잘 하고 아이들 잘 키우는
게
꿈이죠 ... ...
“내신성적 반영, 전교과로 확대”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서울시 은평구에 위치한 하나고는 독특한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자율형 사립고다. 국제학술심포지엄도 개최할 만큼 학생들의 실력이 뛰어나다. 올 ... 한 분야를 깊이 있
게
파는 자세가 필요하다. 분야를 확실히 정했는지를 말하는
게
아니다. 특정 분야에 대한 애정과 관심이 있으면 좋겠다 ... ...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는 것들… 신기전 vs ANGRY BIRDS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높이가 결정된다. 이것이 조화를 이루면 물줄기들은 아름다운 포물선을 그리며 사람들에
게
시원함과 황홀함을 선사한다. 이번 기회에 우리 주변에 숨 쉬고 있는 포물선을 찾아보는 건 어떨까 ... ...
맛의 달인, 미식가 허풍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학생이다. 허풍이 세계일주를 하는 탐험가이자 미식가라는 사실을 알고 처음부터 허풍에
게
다가갔던 것이다.“좋아, 링링. 널 내 제자로 받아들이겠다. 도형아, 넌 보조 요리사를 하도록 해라. 1년 동안 갈고닦은 실력을 뽐낼 수 있지?”링링은 요리대회에서 우승할 수 있을까 ... ...
“잠재력 가득한 미래 발전소”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요구에 황정호 학생은 “하나고는 원자력 발전소다”라고 했다. 그는 흠칫 놀라는 기자에
게
웃으며 설명을 시작했다. “원자력 발전은 상당량의 전기를 생산하지만 위험요소가 있어요. 하나고도 아직 두 학년 밖에 없어요. 독특한 커리큘럼의 결과는 아직 모르죠. 그렇지만 자율성이 존중되는 ... ...
깐깐한 헝가리 은행장 '도니 안도니'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진행되었다. 썰렁홈즈는 다시 휴가를 즐기던 헝가리 부다페스트로 돌아왔다. 그런데 이
게
웬일? 홀로그램이 너무 발달한 나머지 도시가 모두 홀로그램 세상으로 변해 있었다. 레스토랑에서 주문을 받는 종업원도, 썰렁홈즈가 좋아하는 비프스테이크도 모두 홀로그램으로 돼 있었다!“으~, 난 진짜 ... ...
외계인일 것 같은 연예인 1위 개그맨 김병만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나중에는 코미디 배우로도 활동하고 싶어요.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도 하고 싶은
게
있다면 일단 도전해 보세요!열심히 노력만 한다면 저처럼 달인이 될 수 있답니다 ... ...
금속 몰아내는 고성능 플라스틱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흡수한다. 자동차 앞면에 플라스틱 부품을 사용하면 사람과 부딪쳤을 때 부상을 덜 당하
게
된다.그렇다면 언젠가 고성능 플라스틱이 완전히 금속을 대체할 수도 있을까. 엔진처럼 움직이는 부품도 플라스틱으로 만들 수 있을까. 듀레탄연구개발 책임자인 데트레프 요아히미 박사는 “지금도 ... ...
이전
473
474
475
476
477
478
479
480
4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