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성
조직
구출
구제
조립
구원
기구
d라이브러리
"
구조
"(으)로 총 7,345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유롭게 계단 오르는 새로운 휠체어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최근에 개발돼 제 4세대언어라 부른다 실용적인 표현방식, 근대적인 제어
구조
와 데이타
구조
, 그외에 풍부한 연산자라는 특징을 구비하고 있다'컴퓨터를 이용한 교육'을 총칭하는 표현 교육내용 자체를 프로그램하는 CAI(Computer Aided Education)와 학습평가 및 교육에 관련된 행정업무를 전산화하는 CMI ... ...
4 세포의 수문장 막단백질을 공략하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약 2만종 이상의 입체
구조
가 규명돼 있지만 막단백질은 불과 20여 가지 종류만 그
구조
가 밝혀져 있다.늦은 시작 불구 경쟁력 높아많은 종류의 막단백질 중에서 지금까지 관심을 갖고 연구된 종류는 수용체와 이온통로들이다. 수용체는 외부 신호가 세포에 전달될 때 그 신호를 최초로 인식하는 ... ...
혈액 한방울로 범인 찾는 방법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뉴욕경찰청 경감이었다면 말이다(실제 과학수사대는 혈액뿐 아니라 DNA 검사나 치아의
구조
등 다양한 정보를 통해 피해자와 범인의 신원을 확인한다).물론 붕대에 묻은 혈액은 심하게 손상됐을 가능성도 있다. 혈액이 일단 몸밖으로 나오면 효소는 즉시 파괴되기 시작하기 때문에 유전적 표지는 ... ...
이라크 무기사찰에서 사용되는 불법무기 추적법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전이원소 혹은 모두 금속원소인 까닭으로 천이금속이라고도 한다 현재는 원자의 전자
구조
에 있어서 d궤도에서 전자의 증가를 볼 수 있는 일련의 원소군을 통칭하며 보통 원자번호 21인 스칸듐부터 30인 아연까지, 39번 이트륨부터 48카드늄까지, 그리고 57번 란탄에서 80수은까지의 3쌍에다 89번 ... ...
프로테오믹스 이용기술 개발사업단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연구를 위한 전반적인 인프라를 구축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효율성 살릴 최적
구조
유명희 단장은 국내 단백질 연구 분야의 터줏대감이다. 버클리소재 캘리포니아대 유학시절부터 시작된 단백질 연구는 1985년 귀국하면서 계속 이어졌고 당시 척박하던 국내의 연구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 ...
2 암 발생시키는 표적을 탐지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가능한 결과였다.이 연구 결과는 산소농도에 따라 혈관이 어떻게 생성되는지를 단백질
구조
변형 차원에서 밝힌 것이다. 아세틸화된 HIF-1을 이용하면 새로운 혈관 생성을 억제해 암세포가 더 이상 퍼져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즉 악성암이나 류마티스성 관절염, 건선조직의 세포성장을 억제시킬 ... ...
1 우리 위성 쏘아올릴 액체로켓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속의 연료와 산화제통 속의 산화제를 엔진에 보내는 방식을 채택했다. 이로써 로켓의
구조
를 간단히 했으며 신뢰성을 높였다.KSR-III의 개발에서 가장 어려운 점 중 하나는 추력 12.5t의 힘을 60초 동안 발생시키는 액체추진제 엔진과 추진시스템을 개발하는 일이었다. 엔진의 개발도 3단계로 나눠 ... ...
청소년 등뼈가 휘고 있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전체 3% 이상 학생들의 척추가 휘어진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고 밝혔다. 석 소장은 “
구조
성 척추 측만증의 경우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척추가 급격하게 성장하는 10세 전후의 청소년기에 척추의 기형 현상이 빠르게 진행되고 어른이 된 다음에도 조금씩 휘어지면서 심한 기형으로 이어질 수 ... ...
국내 연구팀 단백질
구조
예측대회서 아시아 최고 성적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그는 "질병과 생명현상을 이해햐기 위해서 선진과학국가가 활발히 진행하는 단백질의
구조
예측 연구에서 우리나라가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
1 생명 현상 조절의 실체 단백질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위해서는 좀더 공통적인 기반 기술이 필요했다. 즉 유전체학에서 DNA 증폭기술(PCR)이 게놈
구조
연구의 전환점이 된 것처럼 단백질도 무엇인가 핵심적이고 기반적인 기술이 필요했다. 인간게놈 연구의 열기가 서서히 식어갈 즈음 분위기가 무르익기 시작했다. 바로 2차원 전기영동과 질량분석기, ... ...
이전
473
474
475
476
477
478
479
480
4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