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람"(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미래엔 기구에서 산다?! 기구의 무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있지요. 지난 2015년 11월 18일에는 미국 뉴멕시코주의 화이트 샌즈 사막에서 7명의 사람들이 에어로센을 타고 2시간 15분 동안 비행하는 데 성공했어요. 화석 연료나 태양 전지판, 헬륨, 배터리 없이 오직 공기만을 이용해 가장 오랫동안 비행한 기록이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 [현장취재①] 해양 생물의 가장 위험한 먹이, 플라스틱!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6일, 서울 은평구 서울혁신센터 미래청 다목적홀에서 기묘한 일이 일어났어요. 100여 명의 사람들이 각자 가져온 플라스틱 쓰레기를 종이로 만든 바다거북 모형 안에 채워넣는 거예요. 무엇 때문에 이런 일을 하는 걸까요? ‘지구를 위한 과학’ 정기강좌의 두 번째 강연, ...
- Part 3. 스마트폰만 있으면 나도 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아이 내츄럴리스트(iNaturalist)’ 앱에 사진과 그 기록을 올리는 거예요. 630명이 넘는 사람들이 개기일식이 일어나는 동안 ‘생명 반응’을 올려 줬어요. 424종의 동물, 곤충, 식물들에게서 약 2700개의 이상 반응이 관찰됐지요. 어떤 식물은 꽃잎을 오므렸고, 벌들은 벌집으로 돌아갔으며, 물고기들이 ... ...
- Part 1. 기구 타고 날씨와 우주를 관측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1782년 발명된 이후부터 수많은 사람들을 태우고 하늘을 날아왔어. 지금도 관광이나 레저 스포츠로 기구를 많이 사용해. 하지만 기구는 과학 연구에도 중요한 몸이란 말씀! 어디에 쓰이냐고? 탈것에서 날씨를 관측하는 도구로!‘기구’는 바깥보다 기구 안의 공기를 가볍게 만들어 위로 뜨게 한 ... ...
- [현장취재②] 지구사랑탐사대 5기 심화교육 곤충 표본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당황하고 말았어요. 표본을 만들기 위해서 곤충을 죽여야 했거든요. “표본을 만드는 사람들은 곤충을 편안하게 보내 주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써요. 알코올에 담그거나 포르말린 같이 강한 약품을 뿌리면 곤충이 순식간에 죽게 되지요. 냉동실처럼 온도가 영하인 곳에서 얼리는 것도 고통없이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은 뜻을 나타내는 ‘물 수(氵)’와 음을 나타내는 ‘같을 동(同)’으로 이루어졌어요. 사람들이 모여 냇물이나 우물 등을 같이 먹고 사는 곳이라는 뜻이지요. ‘굴 굴(窟)’은 의미요소인 ‘구멍 혈(穴)’에 발음요소인 ‘굽힐 굴(屈)’로 이루어져 있어요. 몸을 굽혀 들어가는 구멍이라는 데서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수 있다면 무엇을 전하겠냐는 질문에 이렇게 대답했어요.원자의 개념을 처음 제안한 사람은 1766년 9월 6일에 태어난 영국의 화학자 존 돌턴이에요. 돌턴은 두 원소가 결합할때 일정한 질량 비율을 이룬다는 것을 발견했어요. 그는 이런 규칙이 성립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연구해 1803년 ‘원자설’을 ... ...
- Part 3. 인공지능으로 똑똑하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엘리베이터 앞으로 왔을 때 타려는 동작을 하면 알아서 엘리베이터가 내려오지요. 사람의 행동을 분석하고 알아서 움직이도록 하는 인공지능을 결합시킨 거랍니다. 비상, 비상! 엘리베이터 고장을 막아라!독일의 엘리베이터 기업인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가 고장이 나기 전에 ... ...
- Part 3. 하늘소, 앞으로 어떤 영향을 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만들어졌지요. 눈을 감아도 하늘소의 모습이 아른거릴 정도로 하늘소에 푹 빠졌다는 세 사람을 만나 볼까요? Q. 세 분이 함께 탐사를 다니게 된 계기가 있나요?이승현: 곤충 동호회에서 처음 만났어요. 셋이 나이도 다르고, 전공하는 분야도 제각각이었지만 ‘하늘소’라는 공통점 하나로 뭉치게 ... ...
- Part 1. 초고층 빌딩을 만든 슈퍼 엘리베이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발명될 당시에는 도르래를 이용했어요. 나무 상자에 줄을 연결하고, 도르래를 이용해 사람이 줄을 잡아당겨 위로 올리는 방식이었죠. 들어올릴 때보다 잡아당길 때 더 적은 힘이 들거든요. 하지만 줄이 끊어지면 엘리베이터가 추락하기 때문에 한편으론 매우 위험했지요. 그러던 중 1854년 미국 ... ...
이전4734744754764774784794804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