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도
정확성
d라이브러리
"
정확도
"(으)로 총 5,430건 검색되었습니다.
진화론만이 옳다는 독선은 버려야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실험적으로 증명되지 않았고 증명할 수도 없는 것은 결코 과학적 사실이 될 수 없고 단지 이론일 뿐이다.-창조론측 입장지난호 과학동아에 실린 '진화냐? 창조냐'라는 제목의 논쟁을 읽고서 진화론적 입장을 밝힌 글 가운데 '오늘날 진화는 확고부동한 사실로 인정받고 있다'는 주장에 대해 분명히 ... ...
거대한 숨은 그림찾기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만일 한 번만이라도 한데서 밤을 새워 본 일이 있는 사람이라면, 인간이 모두 잠든 깊은 밤중에는 또 다른 세계가 고독과 적막 속에 눈을 뜬다는 사실을 누구나 알고 있을 것입니다…. 낮은 생물들의 세상이지만요 그러나 밤이 오면 그것은 물건들의 세상이랍니다."19세기 프랑스의 소설가 알풍스 ... ...
2.지자기의 힘이 떨어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현재의 감소속도가 계속 유지된다면 1천5백년 후에수 지구자기장이 완전히 없어질 수도 있다.천재 아인슈타인이 어렸을때 나침반(羅針盤)이 남북을 가리키는 것을 보고 깊은 감명을 받았다는 이야기는 너무도 유명하다. 중국 여씨춘추(女氏春秋, B.C. 249년~B.C. 237년)에 이미 자석(磁石)에 대한 기록이 ... ...
인간의 눈을 흉내낸 망막소자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동작속도가 1백만분의 1정도로 늦고 소비에너지도 적지않다는 점이다. 또한 처리의
정확도
도 매우 떨어진다는 점이 흥미롭다. 이와같이 더딘 '지진아'가 어떻게 사물을 빠르고 정확히 이해 할 수 있는지는 수수께끼다.생물학적인 연산이 디지털 연산과 크게 다르다는 점은 대부분 알고 있다. 이 ... ...
한여름밤의 4중주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안드로메다성운 고리성운 아령성운 페르세우스자리의 이중성단은 8월의 한여름밤을 더욱 풍요롭게 해주는 4대 천체다.무더운 날씨가 사람들을 야외로 이끄는 계절이다. 한낮의 열기 속에서 지친 이들에게 여름밤은 더위뿐만 아니라 육체와 정신까지도 맑게 한다. 텐트 앞에서 모래밭에서 둑위에 ... ...
멸종위기에 놓인 판다(Panda)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중국의 마스코트인 귀염둥이 판다의 수가 10년 사이에 절반으로 줄어들었다. 무엇이 그들을 죽음으로 내모는가?중국 사천성(四川省) 한 가운데의 적막한 오지에서는 두마리의 자이언트 판다(giant panda)가 대나무숲과 바위 사이를 어슬렁거리고 있다. 한가한 산책의 평화스러운 정경과는 달리 이들의 ... ...
1. 아무도 접근을 막을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해커의 역사는 50년대 MIT를 중심으로 대형시스템에 침투한 제1세대 해커, 70년대 퍼스널컴퓨터를 탄생시킨 제2세대 해커, 80년대 게임프로그램을 개발해 해커사업체를 발전시킨 제3세대 해커 등으로 구분된다.컴퓨터의 일부 분야에서 '해커'(hacker)라는 말이 엉터리 프로그래머, 컴퓨터광 등의 조소적 ... ...
맛을 잃어버린 젊은 직장 여성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맛을 느끼지 못한다면 어떻게 될까. 단맛도 신맛도 쓴맛도 없이 음식을 먹어도 맹숭맹숭하다면 그것처럼 불행한 일은 없을 것이다. 그런데 최근 일본에서는 맛에 대한 감각이 없는 '미치'(味痴)가 급증하고 있다는 조사보고가 나왔다. '미각 이상'이라고 불리는 이 새로운 병은 젊은 여성들에게서 ... ...
임진강 유역에서 화산폭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임진강과 한탄강을 따라 발달해 있는 두께가 수십m에 달하는 용암대지는 화산활동의 증거다.한반도에 사람이 처음 들어와 살기 시작한 것은 언제부터 일까. 인류는 지금으로부터 약 5백만년 전 아프리카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이 최초의 인류는 오스트랄로 피테쿠스라고 불린다. 그런데 인간이 지 ... ...
세계 최초의 로봇의사 탄생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로보닥」은 수술대 위에서 뼈에 구멍을 뚫고 있다. 모든 것이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금년 11월에 로보닥(Robodoc)이라는 이름을 가진 로봇의사가 탄생될 것으로 보인다. 무게가 1백 15㎏, 높이가 90㎝인 이 로봇은 아마도 최초로 인간을 수술한 로봇으로 남게 될 것이다. 전에도 인간의 뇌수술 현장에 ... ...
이전
473
474
475
476
477
478
479
480
4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