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재
오늘날
오늘
현세
요즈음
최신
최근
d라이브러리
"
지금
"(으)로 총 12,63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왜 이렇게 떠들썩하나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빅뱅 이후 처음 흘러나온 빛이라고 할 수 있는 우주배경복사를 관측하고 있었다. 그런데
지금
까지 우주배경복사를 연구하던 팀은 많았다. 이미 두 번이나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주제였다. 만일 바이셉2 연구팀이 단순하게 우주배경복사를 조금 더 정확하게 봤다면 이번처럼 환호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 ...
‘겨울왕국’서 1500년 동안 살아남은 식물 발견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데 성공해 ‘셀’ 자매지인 ‘커런트 바이올로지’ 온라인판 3월 17일자에 발표했다.
지금
까지 얼어붙어 있던 생물체를 되살린 최고 기록은 20년 정도로, 1000년 넘도록 얼어 있다가 다시 활성화된 생물은 박테리아 정도에 불과했다.연구팀은 남극의 영구동토층에서 얼어있는 남극 이끼를 채취했다. ... ...
쓰레기에 신음하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5m 높이로 채울 수 있는 양(약 3만8000m3)이 토양에 속수무책으로 스며들고 있다. 이 석유는
지금
까지 거의 제거된 적이 없어 이곳은 점점 죽음의 땅이 돼 가고 있다.원유를 정제하는 화학공업 역시 심각한 오염원이다. 러시아의 화학공업 중심지인 쩨르진스크는 물이 다이옥신과 페놀로 심하게 오염돼 ... ...
수학 문제 증명했더니 그 크기가 무려 13GB?
수학동아
l
2014년 04호
아마 이 증명을 사람이 확인하는 데만도 수 년이 걸릴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지금
은 불일치 값 3을 만족하는 최대 항의 개수를 얻기 위해 컴퓨터를 수 주 동안 돌리고 있어요.정말 엄청난 분량이군요! 컴퓨터가 수학자의 일을 대신 하고 있네요.인간의 두뇌를 넘어서 컴퓨터를 통한 증명이 점차 ... ...
걸음걸이도 수학이다! 랜덤 워크
수학동아
l
2014년 04호
앞으로의 연구 계획에 대해 기대감을 보였다.엑셀로 ‘랜덤 워크’ 그래프 그려 보기!
지금
까지 랜덤 워크의 수학적인 개념과 의미는 물론이고, 과학과 경제학, 인류학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사례도 살펴보았다. 랜덤 워크 그래프를 직접 그려 볼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엑셀 ... ...
첨단과학무기의 산실! 국방과학연구소
수학동아
l
2014년 04호
여러분이 고등학교에 가서 배우게 될 행렬을 이용한답니다. 그러니 수학이 없었다면
지금
의 유도탄도 없었을 거예요.이관욱 : 아무리 유도탄이라도 멀리서 쏘면 정확도가 떨어지지 않을까요?조권 박사 : 처음 180km였던 사거리가 현재는 수백km까지 늘어났어요. 하지만 정확도가 떨어진다면 ... ...
신은 주사위를 던진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비결정론이 도입된다. 결국 불확정성 원리가 양자역학의 가장 중요한 공리(公理)가 된다.
지금
도 신은 주사위를 던지고 있다는 말이다. 그것도 아주 자주! 하지만 불확정성 원리에는 하이젠베르크도 생각지 못한 미묘한 부분이 있었으니, 다음 호를 기대하시라 ... ...
PART2. 공룡이 멸종하지 않았다면?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했기 때문이다. 운석 충돌 후 포유류는 점점 커져 주변의 작은 공룡들과 비슷해졌다.
지금
의 곰이나 소 정도였다. 더 커지기에는 추운 겨울에 먹이가 부족했다. 이제 포유류가 낮에도 활동하면서 곳곳에서 포유류와 공룡의 맞대결이 일어났다.먼저 포유류도 공룡을 먹기 시작했다. 개만한 포유류인 ... ...
PART2. 지하 500m도 위험하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합니다.”하데니우스 편집장은 10만 년 이상 관리해야하는 사용후핵연료 처분과 관련해
지금
성급하게 최종 처분 방식을 결정하기보다, 더욱 안전한 방법을 연구해야한다며 이같이 밝혔다.그는 “현재 스웨덴에서는 오래된 원전 대신에 새로운 원자력발전소를 세워야하는지에 대해서 논의가 진행 ... ...
후궁이 700명인데…, 사람이 ‘1부1처’라고?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어떨까. 현재 주변을 둘러보면 결혼 제도로 대표되는 1부1처가 흔한 것 같다. 하지만
지금
이 순간에도 한 명의 남성이 여러 명의 아내를 두도록 허용하는 일부 부족이나 국가가 분명 존재하고(1부다처), 반대로 여성이 남성을 선택하는 모계사회도 존재한다. 분명 인류도 여러 가지 ‘짝짓기’ 모습을 ... ...
이전
474
475
476
477
478
479
480
481
4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