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뉴스
"
에너지
"(으)로 총 7,466건 검색되었습니다.
지하철·도로 이어 교각·터널·하수처리에 ICT 활용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30
개발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깨끗한 물을 제공하고 하수처리에 사용되는
에너지
를 절감하는 데에도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할 예정이다. 지금은 하수처리 시스템의 한계로 수질에 대한 실시간 관리가 어렵고, 하수처리를 위해 많은 전력이 사용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 ...
포스텍, 연료전지 효율-내구성 높이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30
한다는 것을 최초로 밝혀냈다”며 “이 기술로 만든 나노입자는 휴대용 연료전지 등
에너지
소자, 촉매, 나노자성, 나노광학 등의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 ...
엔진 없이 하늘 나는 부력 추진 비행기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30
태양열 집열판으로 이뤄져 태양열에서
에너지
를 얻도록 설계됐다. 레이 교수는 “
에너지
를 자급자족하기 때문에 최대 몇 달 동안 공중에 머무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시험 비행에 성공한 피닉스의 다음 목표는 고도 20㎞에서 작동하는 것이다. 높은 고도에 올려 위성 장비를 착용해 위성처럼 ... ...
출연연 10대 성과에 '누리호' 엔진 시험발사·공초점 현미경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9.04.29
3번째 IAEA 사찰시료 분석 및 IAEA-NWAL 가입 성공(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화학연구부) △
에너지
절약형 흡착식 냉방/제습 기술(한국화학연구원 장종산)이 선정됐다. 우수성과로 선정된 연구자와 단체에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상이 수여되며 향후 사례집 발간 등을 통해 출연연의 대표성과로 ... ...
"5G 통신이 기상예보 정확도 위협" 기상학자들 경고
동아사이언스
l
2019.04.28
잡히는 것이다. 유럽의 기상위성 ‘MetOp’는 실제 이 주파수 대역을 이용해 지구 복사
에너지
를 모니터링하고 대기권 아래 습도를 24시간 밤낮없이 측정하고 있다. 미국 위스콘신-매디슨대 기상학자 조던 게르트는 “미국이 경매를 추진중인 5G 주파수 일부가 기상 예보에 필수적인 대기 중 ... ...
정부, R&D 중복 방지 다부처 공동기획 2019년도 사업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19.04.28
제시된 주요 사회문제 영역이 대상이다. 건강·환경·문화·생활안전·재난재해·
에너지
·주거교통·가족·교육·사회통합 등 10대 분야의 41개 주요 사회문제로 이뤄진다. 올해 다부처 공동기획 사업 공모와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26일부터 5월 27일까지 과기정통부 및 학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 ...
신개념 나노촉매로 이산화탄소 70% 이상 에틸렌으로 변환
동아사이언스
l
2019.04.28
반응 특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라며 “이번 연구는 나노 수준의 촉매 디자인이 고효율
에너지
제조 촉매 개발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지’에 게재됐다. ... ...
[표지로 읽는 과학]그래핀 탄소와 수소 공유결합 '소리'가 붙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8
그래서 이들 중 하나가 산소와 결합하려고 할 때 주위에 있는 탄소가
에너지
를 음파 상태로 잃는다. 연구팀은 탄소와 수소간 공유결합 형성을 제어하면 그래핀의 특성을 조절할 수 있을 것으로도 기대하고 있다 ... ...
출연연 만나 잘 나가는 중소기업 35곳의 성공 비결
동아사이언스
l
2019.04.26
‘테크 커넥트’에서 기술혁신상을 수상했다. 테라테크노스가 개발한 음극재는 한국
에너지
기술연구원이 개발한 ‘산화실리콘(SiOx) 나노분말 제조 기술’을 이전 받아 완성한 것이었다. 정부출연연구기관과 국내 중소기업이 협력해 매출을 높이거나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좋은 성과를 낸 국내 ... ...
노트르담 되살리는 3D 스캐닝의 ‘마법’
동아사이언스
l
2019.04.26
디지털 복원됐다. 3D 스캐닝은 이런 작업에 최적화된 기술이다. 레이저이긴 해도
에너지
가 낮은 가시광선을 이용하기 때문에 건물에 미치는 영향은 없다. 문화재 연구에 활용되는 이유다. 보통 한 개 파장의 가시광선을 쓰지만 최근에는 빨강, 녹색, 파랑 등 3가지 파장의 가시광선 레이저를 써서 ... ...
이전
474
475
476
477
478
479
480
481
4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