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소니
f 88
smu
삼성
소니 mp3
소니mp3
뉴스
"
바이오
"(으)로 총 5,095건 검색되었습니다.
탈모라구요? 모근세포 3D프린터로 찍어 이식하세요
2015.05.27
유전자 교정세포 3D프린팅 기술을 응용한 가상 사례(위)와 차세대 유전체분석 칩 응용 사례(아래)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2025년. 직장인 김 모씨의 ... 분야가 앞으로 나아갈 길을 제시한 것”이라며 “사회·경제 수요에 부응하는
바이오
헬스 연구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 ...
유전체 편집, 인간에게 약인가 독인가
2015.05.25
세포의 유전체를 재구성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암과 에이즈, 혈우병을 치료하고
바이오
연료를 생성하는데 기여하는 등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되는 반면 인간배아를 대상으로 적용할 경우 생명윤리 문제에 직면할 우려도 공존한다. istockphoto 제공 인공지능은 인간의 지능으로 할 수 있는 행동을 ... ...
인간은 정말 뇌의 10% 밖에 사용하지 못할까
2015.05.25
모두 허무맹랑한 허구일 뿐일까. 박태현 서울대 화학공학과 교수의 ‘영화 속의
바이오
테크놀로지’는 영화 속에 등장한 생명공학 지식의 허와 실을 정리한 책이다. 영화 속 이야기들은 실현불가능해 보이지만 대부분의 상상이 그렇듯, 과학적 사실에 바탕을 두고 제작된 것이다. 이 책은 ... ...
“생명과학의 미래는 빅데이터”
2015.05.25
서두르는 등 대응은 필요하지만, 이 문제를 독자적으로 전담할 경우 처리비용의 급증이
바이오
기업 및 연구기관 등에 큰 부담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는 “전문 빅데이터 기업의 역량을 활용하면 최소 10%까지 처리비용을 낮출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데이 박사는 빅데이터 전문가지만 미국 ... ...
[로봇에 대한 모든 것] 로봇 반란 막으려면
2015.05.23
로봇을 인간만 수리할 수 있다면 로봇이 반란을 일으킬 여지도 사라진다. 정재승 KAIST
바이오
및뇌공학과 교수는 “로봇은 인류에게 친구이자 동반자, 조력자 역할을 요구받고 있다”면서 “로봇과 인류의 공생을 모색한 결과 이런 원칙이 나타난 것”이라고 말했다 ... ...
[로봇에 대한 모든 것] 2% 부족한 쇳덩이에서 인류 위협하는 존재로
2015.05.23
2014년판에서는 주인공과 로봇이 겪는 정체성의 혼란이 부각된다. 정재승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는 “예전에는 로봇의 지능에만 집중했다면 최근에는 빅데이터가 발달하며 사회성 등 감성을 가진 로봇을 만들 수 있다는 인식이 생겼다”면서 “로봇과 인간의 갈등은 발전하는 로봇 기술에 ... ...
“기초과학 연구, 치료제 개발로 이어져야”
2015.05.22
저의 ‘동반자’가 됐죠.” 18일 경기 수원시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에서 김성훈
바이오
제약학과 교수(57)를 만났다. 그는 아미노아실-tRNA 합성효소의 새로운 기능을 최초로 밝힌 업적을 인정받아 올해 호암상 의학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우리 몸은 DNA 정보를 바탕으로 단백질을 합성한다. ... ...
쌀겨 추출물서 면역증강물질 찾았다
2015.05.13
활용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바이오
벤처 이노뉴트리
바이오
에 이전해 상용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최 연구원은 “이번 연구 결과는 생산량에 비해 이용도가 낮은 미강을 이용해 면역 증진 효능이 우수한 당단백질을 상품화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인 것”이라며 ... ...
20살 하나로 원자로…한국 연구용 원자로 기술 산 증인
2015.05.12
기초과학 연구를 위한 기반시설로 국내 과학 및 산업계에 공개하고 있다. 나노 및
바이오
연구, 비탄성 중성자 산란 연구 등을 통한 소재 원천 기술 개발에 없어선 안 될 시설로 자리매김했다. 원자력연구원은 하나로 가동 20주년을 맞아 내외 산학연 연구용 원자로 이용 연구자가 한 자리에 모이는 ... ...
음식 속 아미노산이 치아 건강 지킨다
2015.05.12
사실도 추가로 확인했다. 연구팀은 아직 아르기닌이 어떻게 세균 사이에 끼어서
바이오
필름을 더 못 만들게 하는지 자세한 기작을 알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플로스원(PLOS ONE)’ 6일자에 실렸다. ... ...
이전
475
476
477
478
479
480
481
482
4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