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격
특성
배역
캐릭터
역
분장
d라이브러리
"
등장인물
"(으)로 총 622건 검색되었습니다.
작가 송지나가 본 과학, 과학자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그는 우리의 상식에 도전한다. 재미없는 과학과 과학자를 재미있고 가치로운 것으로 바꾸려는 것이다. 그래서 그는 드라마 '카이스트'에서 멋진 과학자의 모델을 보여주려 한다. 시청자가 드라마를 보고 '나도 저런 과학자가 돼 봤으면' 하는 마음이 드는 순간 그의 작업은 보람으로 바뀐다.가늘고 ... ...
18세기 전문 탐정의 시조 비도끄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세계 최초의 전문 탐정으로 알려진 프랑스의 프랑스와 외젠 비도끄(1775-1857). 정신분석학자 프로이트, 희대의 엽색가 카사노바, 미국의 마술사 후디니, 미국 연방수사국(FBI) 국장 에드거 후버를 합쳐놓은 사나이라는 평을 받는 쟁쟁한 인물이다.그는 소설에나 등장할 법한 파란만장한 인생을 살아온 ... ...
오감을 뛰어넘는 초감각 지각 ESP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텔레파시, 투시, 그리고 예지. 오감 이외의 수단을 이용해 외부의 정보를 얻는 능력이다. 사람은 과연 먼 곳에서 벌어지는 일을 '감으로' 알아낼 수 있을까. 미래의 불길한 사건을 예감하는 능력은 무엇일까.어느날 오후 다방에 앉아 친구를 기다리고 있었다. 카운터의 젊은 여자는 만화책을 열심히 ... ...
20세기) 셜록홈스의 실존 모델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2차대전이 한창일 때 영국 런던 시민은 독일의 공습을 피해 수시로 방공호에 들어가야 했다. 이들의 손에는 늘 책이 들려 있었다. 언제 끝날지 모르는 공습의 공포에서 조금이라도 벗어나려는 시도였다.이때 가장 많이 가지고 간 책이 탐정소설이었다. 당시 출판되던 신간소설 4권 중 1권이 탐정소설 ... ...
② 수소 발견 이야기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캐번디시의 가연성 공기로 시작된 수소에 대한 탐색은 물질의 근본을 규명하려는 화학의 논의에서 항상 중심을 차지해왔다. 그리고 수소의 내부구조가 해명되자 수소는 모든 원소를 이루는 기본 원소가 됐다.수소는 우주가 시작할 무렵부터 자연에 존재했지만 인간이 수소를 분리하고 이름을 붙이 ... ...
인류의 새 터전 우주식민지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우주에서 탐험하려는 목적지가 멀수록 연료와 식량을 재충전할 수 있는 공간이 더욱 필요해진다. 잠시 스쳐 지나가는 우주정거장이 개발되는 것은 물론 도시 자체를 움직여 우주를 방랑하는 시대가 펼쳐질지 모른다. 인류가 우주로 눈을 돌리면서 필연적으로 등장한 개념이 우주식민지이다. 지구 ... ...
플라톤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고대 그리스의 위대한 자연철학자 플라톤. 천동설의 입장에서 펼친 우주론과 피타고라스로부터 전 수받은 수학 지식을 집대성해 당대와 후대의 과학자들에게 막강한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그런데 사실 플라톤이 처음 가슴에 품은 야망은 최고의 레슬링 선수였다고 한다.플라톤의 본명은 할아버 ... ...
① 잠은 꼭 자야 하나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잠잘 때 몸에서는 깨어있는 시간 못지 않게 활발한 생리 활동이 벌어진다. 뇌파가 여러 차례 반복해서 변하고, 호흡과 심장의 박동이 불규칙해진다.잠을 자는 이유는 무엇인가- 뇌에 존재하는 생체 시계사람은 왜 잠을 잘까. 대답은 간단하다. 졸리기 때문에, 그리고 너무 졸리면 일을 할 수 없기 때 ... ...
미국, 이론 물리학의 중심이 되다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젊은 미국 과학자들을 중심으로 한 양자전기역학의 성립은 현대물리학의 중심이 유럽에서 미국으로 옮겨지는데 결정적인 계기가 됐다. 1947년 셀터섬 학회는 미국과학자들이 양자전기역학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해결점을 모색하는 계기가 됐다. 노벨상이 1901년에 시작됐으니 그 역사도 어느덧 1 ... ...
질량의 기원은 밝혀질까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는 ‘가장 작은’ 입자를 발견하기 위해 건설된 세계에서 ‘제일 거대한’ 가속기가 지하 깊숙히 묻혀 있는 곳이다. 서울 여의도만한 이곳에 세계 각국에서 모인 7천여명의 과학자들이 시간을 잊고 몰두하는 것은 무엇일까. 그것은 2005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 중인 거대강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