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깥"(으)로 총 2,058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예르미타시 박물관展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자유롭게 표현돼 있었지요. 상상만으로 그림을 그리던 이전과 달리, 이 시대의 화가들은 바깥으로 나와 눈으로 직접 보고 그림을 그렸기 때문이에요. 순간적으로 눈에 보이는 장면을 포착해 그림으로 그렸다고 해서 ‘인상주의’라고 불린답니다. 정민지 선생님은 친구들에게 그림에서 무엇이 ... ...
- [Culture] 혼밥족을 부탁해, 3대 간편식 분석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각종 재료만 8가지, 여기에 10종 이상 양념을 섞어야 갈비찜용 특제 양념장이 완성된다. 바깥에서 먹기에도 가격이 만만치 않다. 소(小)자 기준 평균 2만5000원. 하지만 식탁에 혁명이 일어났다. 단돈 5000원, 2분 30초 만에 맛있는 갈비찜을 집에서 맛볼 수 있다. 가정간편식_ ‘혼밥족’의 친구기존 ... ...
- Part 2. 포스트 ISS 시대, 달 우주정거장이 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우주왕복선이 가서 지구로 회수해본 것이 전부다. 위험을 무릅쓰고 우주인이 ISS 바깥에서 유영하며 모듈을 해체한다고 하더라도 회수 가능성은 매우 낮다. ISS를 분해한 부품은 우주왕복선으로 27회나 왕복해야 가져올 수 있는 양이다. 한 번 우주선 발사에 200억~300억 원의 비용이 든다는 점을 ... ...
- Part 2. 혼합현실을 만나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헤드셋은 우리가 알고 있던 VR 헤드셋과 비슷하게 생겼어요. 하지만 헤드셋의 바깥쪽, 사용자의 양쪽 눈 앞에는 카메라 2대가 달려 있어서 현실 공간을 가상현실 화면에 그대로 반영한답니다. 또 적외선을 쏘아 반사되는 시간을 계산해 우리 주변에 어떤 물체가 있고, 어떻게 생겼는지 파악하지요 ... ...
- Part 2. 100일 동안 하늘을 둥둥~ 초고압 기구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모양의 구조 덕분에 탄성을 유지하면서 압력을 견딜 수 있거든요. 또 내부의 압력이 항상 바깥보다 커서 밤에도 부피가 줄어들지 않아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답니다. NASA의 목표는 초고압 기구를 100일 이상 띄우는 거예요. 지금까지 가장 오래 뜬 초고압 기구의 기록은 46일 20시간 19분이랍니다 ... ...
- Part 1. 기구 타고 날씨와 우주를 관측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중요한 몸이란 말씀! 어디에 쓰이냐고? 탈것에서 날씨를 관측하는 도구로!‘기구’는 바깥보다 기구 안의 공기를 가볍게 만들어 위로 뜨게 한 비행 장치예요.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건 ‘열기구’예요. 열기구 속 공기를 데우면 부피가 커지면서 주변 공기보다 가벼워져요. 그래서 하늘로 떠오르게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7화] 비행기 엔진의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흡입부는 엔진 팬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선풍기 날개처럼 생긴 엔진 팬이 빠르게 돌면서 바깥 공기를 빨아들이지요. 흡입부를 통해 들어온 공기는 점점 좁은 공간을 통과하면서 압축돼요. 압축부를 구성하는 톱니 모양의 블레이드가 이 과정을 도와 주지요. 블레이드는 공기를 한쪽 방향으로만 ... ...
- Part 3. [미션 1] 코로나의 수수께끼를 풀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멀어질수록 온도가 낮아져야 하지요.그런데 태양 표면 온도는 5500℃인 반면, 그보다 더 바깥에 있는 코로나의 온도는 100만~200만℃ 이상이에요. 이는 코로나의 온도를 증가시키는 특별한 원인이 있다는 뜻이지요. 파커 솔라 프로브는 바로 이 비밀을 밝혀낼 예정이랍니다. 과학자들은 이에 대해 많은 ... ...
- Part 1. [파도의 비밀] 노란선은 위험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반면 인공 파도풀은 물이 직접 이동해요. 그래서 구명조끼를 입고 떠 있으면 파도와 함께 바깥쪽으로 밀려나게 된답니다.파도가 부서지는 노란선을 피하라!인공 파도풀에서는 파도가 부서지는 지점을 조심해야 해요. 파도는 가장 높은 높이로 솟아올랐다가 다시 내려오면서 부서지는데, 이때 힘이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 족보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곳의 바깥쪽은 물이 빠르게 흐르는 반면, 안쪽은 물이 느리게 흐르기 때문이죠.이후 바깥쪽은 물이 빠르게 흐르면서 주변 토양이 점점 더 깎이는 ‘침식’이 일어나요. 하지만 안쪽은 물이 느리게 흐르기 때문에 퇴적물이 쌓이면서 육지가 점점 더 늘어나게 돼요. 이런 현상이 계속 반복되면 굴곡이 ... ...
이전4344454647484950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