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설치"(으)로 총 3,762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상망원경 과학동아 l2020년 05호
- 포착하는 서브밀리미터 망원경(SMT)은 건조하고 서늘하며 기후 변화가 거의 없는 지역에 설치해야 하는 등 관측 조건이 까다롭다. 현재 이런 조건을 만족하는 하와이의 마우나 케아산, 칠레 고산지대, 남극 등 일부 지역에서만 서브밀리미터 망원경이 운영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지상망원경의 양대 ... ...
- 제임스 J. 복 스피어x 총책임자 "최초의 은하 찾겠다" [한글 번역본]과학동아 l2020년 05호
- JPL) 수석연구원과 e메일 인터뷰를 진행했다. 그는 우주배경복사를 발견하기 위해 남극에 설치한 망원경 바이셉(BICEP) 프로젝트, 지상 40~50km의 성층권에 대형 무인 기구(balloon)를 띄우는 프로젝트, 유럽우주국(ESA)의 플랑크(Planck) 위성 프로젝트 등 그간 우주의 비밀을 밝혀낸 굵직한 국제 프로젝트를 ... ...
- 도심에서 발견된 여우, 너의 정체는?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여우의 위치를 추적한다. 야생에서 태어난 여우는 목걸이를 채울 수 없어 서식처 인근에 설치된 무인 센서 카메라와 헤어트랩 등 보조장비를 사용해 관찰한다. 이렇게 확인한 여우의 서식처는 현재 방사 지점 주변 약 30km까지 퍼져있다.방사 지점인 소백산과 청주의 거리는 약 100km다. 이번에 ... ...
- NASA 신입 우주인 공채, 스펙과 연봉 전격 분석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마이크 홉킨스는 기존의 냉각수 펌프가 제거된 자리에 새로운 펌프 모듈을 설치하고 배선작업까지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화장실 유지 보수 임무를 받고 ISS로 떠난 우주인도 있다. 2015년 12월 ISS로 떠난 유럽우주국(ESA) 소속 우주인 팀 피크는 6개월간 ISS에 머물며 ISS 내 화장실 유지보수와 30여 가지 ... ...
- 제임스웹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2020년 05호
- 0만km 떨어진 라그랑주점(L2·태양과 지구의 중력이 상쇄되는 5개의 라그랑주점 중 하나)에 설치된다. 그래서 시야각이 넓고 오차도 적다. 대신 영하 약 220도의 극한 환경을 버텨내야 한다. JWST의 임무 기간은 5~10년이다. JWST 프로젝트 초기부터 참여한 존 매더 NASA 고다드우주비행센터 수석연구원은 201 ... ...
- n번방 사건, 텔레그램은 정말 아무 잘못이 없을까?수학동아 l2020년 05호
- 공격으로 텔레그램의 보안을 뚫는 데 성공했다. 미디어 파일 재킹은 스마트폰에 설치된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접근하는 공격 방식이다. 사용자의 단말기는 언제나 보안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이다. 노턴라이프록은 이 공격으로 텔레그램을 통해 오고간 대화, 사진, 오디오 파일 등을 보는 것뿐만 ... ...
- [한페이지 뉴스] 달 콘크리트의 원료 ‘트로일라이트’엔 전류가 흐른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계획인 ‘아르테미스’와 함께 달 기지 건설 및 달 궤도 우주정거장인 ‘게이트웨이’를 설치할 계획이다.달에 기지를 만들려면 콘크리트와 같이 단단한 물질이 필요하다. 하지만 콘크리트를 만드는 데 필요한 재료를 모두 지구에서 가져가기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트로일라이트(Troilite)는 ... ...
- [비하인드로켓] 개발모델, 인증모델, 비행모델, 나로호 2단의 쌍둥이들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진동이 2단에 실린 인공위성과 전자탑재물에 고장을 일으키지 않도록 페어링 내부에 설치하는 보호용 구조물이다. 소리와 진동을 가장 잘 흡수할 수 있는 구조물을 설계하기 위해 열, 음향, 진동, 진공 환경에서 무수한 성능시험을 거쳤다. 이렇게 개발한 페어링은 구조하중 시험을 무사히 ... ...
- [4·15 총선] 긴급 여론조사, 과학계 민심을 듣다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일”이라고 말했다. 나무 위나 건물의 지붕 같은 제한된 면적에 태양전지를 여러 개 설치하려면 무게가 관건이라는 뜻이다. 박 교수는 “완전히 투명한 콘크리트가 개발된다면(현재는 반투명 콘크리트가 개발돼 있다), 태양전지로 도로를 깔아 전기차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도 있을 것”이라며 ... ...
- [화장실의 변신 ④] 화장실이 돈이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과일집’은 배설물을 모아 에너지로 바꾸고, 이 에너지로 운영되지요. 화장실에 설치된 ‘비비변기’는 칸막이로 나뉘어져 있어 소변은 앞 칸에, 대변은 뒤 칸에 따로 모아져요. 배설물은 각각 미생물 처리 과정을 거쳐 소변은 액체 비료로, 대변은 연료와 고체 비료로 바뀐답니다. 사람의 하루 ... ...
이전4344454647484950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