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
썬
sun
천체
햇빛
햇볕
햇님
d라이브러리
"
태양
"(으)로 총 4,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소행성 흙 배달이요! 하야부사 2호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2호
하야부사 2호가 소행성 류구에서 샘플을 채취해 지구로 보냈어요. 과학자들은 이 샘플이
태양
계와 생명의 비밀을 풀어줄 것이라며 기대했죠. 하야부사 2호는 어떻게 샘플을 지구로 보낸 걸까요?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소행성 흙 배달이요! 하야부사 2호Part1. 하야부사2호, 너는 류구에서 ... ...
[과학뉴스] ‘매운맛’으로
태양
전지 효율 높인다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저렴하면서도 자연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소재”라며 “추가 연구를 통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의 에너지 변환 효율을 더욱 높이겠다”라고 밝혔다 ... ...
아말과 톈원 1호, 화성 하늘을 두드리다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유토피아 평원(Utopia Planitia)이다. 이어 로버가 착륙선에서 분리된다. 무게 240kg인 로버는
태양
광을 이용해 전력을 얻어 약 90일 동안 화성 표면을 탐사할 계획이다.톈원 1호의 궤도선에는 총 7개의 장비가, 착륙선에는 총 6개의 장비가 탑재돼 있다. 이를 이용해 표면 토양 특성과 얼음 분포를 조사하고 ... ...
[과학뉴스] 화성에 물이 흐를 수 있었던 비결은 지열?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루젠드라 오자 미국 럿거스대 지구 및 행성과학과 교수가 이끄는 공동연구팀은
태양
열이 아닌 화성의 지열이 두꺼운 얼음층의 아랫부분을 녹여 액체 상태의 물이 지표면에 흘렀을 가능성을 밝혀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지난해 12월 2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미국항공우주국(NASA ... ...
[과학뉴스] CERN의 앨리스 검출기 센서 국내 연구진이 양산 시험 성공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부산대를 비롯해 7개 대학이 참여하고 있다. 납 원자핵이 충돌해 만들어지는 초고온(
태양
중심의 10만 배가량)계의 다양한 현상들을 정밀 관측하기 위해서는 우수한 자료 수집 능력을 갖는 고해상도 센서가 필요하다. 기존에 앨리스 실험에 쓰였던 실리콘 센서는 해상도가 낮아 특히 무거운 쿼크가 ... ...
[DGIST@융복합 파트너] 버려지는 에너지 모아 필요한 곳에 유용하게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등 친환경 발전도 에너지 하베스팅의 범위에 포함된다. 실제로 연구 초기에는
태양
열처럼 자연의 에너지에 대한 연구가 더 활발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아주 작은 에너지를 이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변기 물을 내릴 때 발생하는 회전에너지를 이용해 ... ...
[특집] 각 분야 최고의 수는?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1호
나타내는 단위인 ‘파섹(pc)’으로 표현합니다. 1pc은 대략 206,265AU예요. 1AU는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인 약 3.26광년(3.086×10¹³㎞)이죠. 천문학을 연구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외우는 공식이에요. 우주 탐사에는 수학이 매우 중요해요. 탐사선이 어떤 궤도를 따라가야 할지 정확하고 정밀하게 계산해야 ... ...
라니, 라노의 퀴즈쇼! 빙글빙글 지구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1호
...
[화보] 이글이글 앳된
태양
의 민낯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지구에 생명체가 존재하기 전부터 수십억 년 동안 뜨고져온
태양
은 과학이 발전한 지금도 여전히 신비로운 대상이다. 나이, 크기, 질량, 구성 성분과 대기 구조까지많은 것이 밝 ... 매년 발표하는 ‘2020년 올해의 천문 사진’
태양
부문 수상작들을 통해
태양
의 민낯을다시금 들여다보자 ... ...
[과학뉴스] 공전주기 1만 5000년 외계행성 존재…
태양
계 9번째 행성 힌트 될까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행성도 이와 같은 과정을 겪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일부 과학자들은
태양
근처에서 공전하던 플래닛 나인이 목성의 중력에 의해 해왕성 너머로 튕겨 나갔다고 주장한다. 연구팀의 로버트 드 로사 유럽남방천문대(ESO) 연구원은 “우리가 관측한 행성은 목성과 비슷한 형태를 가지며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