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위"(으)로 총 1,416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보이는 모든 것의 가치를 높입니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디자인 및 인간공학부 교수는 영국 왕립예술대학원에서 자동차 디자인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받은 뒤 10여 년간 영국 벤틀리와 현대자동차에서 자동차 외장 디자이너로 활동했다. 디자인상도 여러 번 수상했다. 실무 감각이 뛰어난 현장 전문가로 알려지면서 2014년 UNIST에 파격 임용됐다. 그는 ... ...
- [Interview] 차세대 전자 의수 도전하는 오상록 KIST 박사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다수의 의료진도 연구단에 포함됐다.오 박사는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에서 1987년 박사 학위를 받은 뒤 지금껏 로봇 개발에 매진해 온 순수(?) 공학도. 그런 그가 의학 등 학문의 기반이 다른 이들과 함께 연구하는 데 어려움은 없을까. 그는 “의료진과의 협업에는 문제가 없다. 모르면 물어보면 ... ...
- PART 2 "젊은 연구자들에게 기회를"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같은 상황이 벌어진 것이다. 30대 중반의 가정까지 있는 박사급연구자 상당수가 학사학위만 받아도 충분한 일자리라도 얻으려 헤매고 있다(박스 참조).우리나라 과학계도 선진국처럼 박사급연구자 중심의 ‘마름모꼴’ 인력구조를 갖춰야 한다는 목소리는 오래 전부터 있었다. 이를 반영해 2011년 ... ...
- Part 1 그들은 왜 아이를 죽였나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그들에게서 ‘박탈감’을 발견했다고 말했다. 목사는 독일에서 유학을 하고 박사학위까지 받았지만, 자신이 꿈꾸던 삶과 전혀 다른 사회․경제적인 상황 때문에 큰 스트레스를 느꼈다. 재혼한 아내와의 관계에서도 그는 자녀 양육에 대해 적극적으로 의사 결정을 할 수 없었다. 자녀가 셋인 자신과 ... ...
- PART 1. 일에서 필요성을 찾다수학동아 l2016년 05호
- 현재 매사추세츠공과대 생물학과 교수로 있지요. 놀랍게도 이 분에게는 생물학 학위가 없어요. 전문적으로 생물이나 의학을 공부한 적도 없지요. 오직 수학만 공부했는데, 유전체★를 대상으로 데이터를 분석하다 보니 유전학자로 이름을 알리게 된 것이지요.간게놈프로젝트★ 미국, 영국, 프랑스, ... ...
- Part 1. ‘제4의 상태’ 플라스마의 모든 것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원자핵공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뮌헨공대에서 플라스마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 다.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와 국가핵융합연구소를 거 쳐 현재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토 카막 핵융합로 노심 플라스마의 운전과 제어를 연구 중이며, 핵융합의 대중화에도 관심이 ... ...
- [Knowledge] 프놈펜에서 온 편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노롱입니다. 자연과학대 소속인 생물학과에는 18명의 교수가 있고, 2명이 해외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반면 학생은 700명이나 돼 모든 교수들이 과중한 업무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우리 학과 학생 98%는 프놈펜 이외의 지방에서 왔는데요. 가난한 지방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학비가 싼 생물학과를 ... ...
- [Knowledge] 이타성을 향한 여정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머릿속에 없었다고 회상했다. 하긴, 책을 읽을 당시에는 이타적 행동이 자신의 박사학위 주제가 될지는 몰랐으리라. “읽고 나서 잊었다.” 해밀턴의 고백이다.에필로그57학번(?) 해밀턴으로선 아쉽게도, 피셔는 1957년 9월에 은퇴했다. 그러나 그 후에도 몇 년간 피셔는 케임브리지대에 출강했기에 ... ...
- [Tech & Fun] 누군가가 멀고 밉게 느껴진다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일인자가 돼 홀로 남겨지고 싶은 게 아니라면 말이다. 박진영연세대에서 심리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과학적인 심리학 연구 결과를 보고하는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jinpark.egloos.com)를 운영하며 ‘청년의사신문’에 심리학 칼럼을 연재하고 있다. 한 주를 건강하게 보내는 심리학을 다룬 ... ...
- [Knowledge] 대의를 위한 희생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매우 크고 턱수염을 멋지게 길러서 언뜻 에이브러햄 링컨을 연상시키는 인물이다. 박사학위를 갓 취득하고 1955년에 시카고대에서 연구하던 그는 저명한 생태학자 알프레드 에머슨의 강의를 듣게 됐다. 에머슨은 노화가, 늙고 병든 개체들을 무리에서 내치고 젊고 싱싱한 개체들로 그 빈자리를 ... ...
이전4344454647484950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