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한쪽"(으)로 총 480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 최초 우주인, 임무 완료!어린이과학동아 l20080430
- 밀봉되어 공기가 새는 부분이 없는지 확인하고 양쪽의 기압을 맞추는 작업이 필요해. 양쪽의 기압이 다르면 해치가 열릴 때 공기가 한쪽으로 급격히 움직여서 위험하거든. 기압을 맞추고 밀봉 상태를 점검하는 데 약 3시간이 걸렸어. 4월 11일 오전 0시 40분, 마침내 해치가 열리고 이소연 누나가 국제우주정거장에 입성했단다. 최초의 도킹은 언제 이루 ...
- 바람 따라가는 똑똑한 나방어린이과학동아 l20080430
- 않아 둥근 모양을 갖추지 못했지만, 과학자들은 포보스에 얼음과 탄소가 풍부하게 매장돼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답니다. 포보스 한쪽 끝에 움푹 파인 곳은 ‘스티크니’라는 크레이터(운석구덩이)로, 폭이 9㎞나 돼요. 1877년 포보스를 처음 발견한 미국의 천문학자 아사프 홀의 부인 이름을 따서 지어졌지요. 그리고 앞쪽에 보이는 푸르스름한 부분은 다 ...
- 건강을 위협하는 척추 S라인 탈출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080313
- 번씩 X-ray검사를 하는 게 좋지요. 집에서 간단히 검사할 수도 있어요. 바로 섰을 때 어깨 높이, 다리 길이, 골반 높이가 다르거나 몸이 한쪽으로 기울었으면 척추측만증일 가능성이 있어요. 척추측만증을 예방하는 방법과 건강한 허리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뭘까요? 수영, 줄넘기 등 온몸을 움직이는 운동이 최고랍니다. 근육이 잘 발달해서 척추를 ...
- “에너지 팍팍!” 무릎 발전소어린이과학동아 l20080229
- 보행연구소는 이렇게 근육에서 낭비되는 에너지로 전기를 만드는 소형 발전기를 개발했어요. 발전기를 달고 평소처럼 걸은 결과 한쪽 다리에서 휴대전화 10대를 사용할 수 있는 5W의 전기를 모을 수 있었다고 해요. 아직은 무게가 1.6㎏으로 무겁다고 하니 앞으로 무게는 가볍게, 효율은 더 높게 발전하길 기대해 봅니다. [소제시작]자몽의 쓴맛, 몸에는 ...
- 첨단과학 포장 이사대작전(1)어린이과학동아 l20080213
- 에어스프링을 설치해 진동을 획기적으로 줄였어요. 에어스프링은 충격을 흡수하는 에어백 같은 역할을 하죠. 그리고 유물을 옮길 때 한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고정하고 온도와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장치도 달려 있답니다. 유물을 나르는 차량은 사고가 나지 않도록 시속 60㎞ 이하로 달리며 운송 책임 관리자가 늘 함께 타고 있어요. 혹시 차를 세울 경우 ...
- 형사 고제트의 크리스마스 과학 대소동(1)어린이과학동아 l20071213
- 사람이 개발한 반도체로, 전류를 흐르게 하면 한쪽은 열을 내놓고 한쪽은 열을 흡수하지. 그 결과 한쪽은 따뜻하게 되고, 한쪽은 시원하게 된다구. 전기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바꾸어 주는 거지. 자동차 시트나 장갑 등에 활용되고 있는데, 반도체라서 딱딱하다는 단점이 있어. 그래서 지금은 이 딱딱한 반도체를 부드럽 ...
- 착각하는 뇌, 너 믿어도 되니?(2)어린이과학동아 l20071011
- 힘이 강해진다는 연구 결과도 있어. 미국 러너연구소의 비노트 랑카라탄 박사는 사람들을 둘로 나눠 일주일에 다섯 번 15분씩 한쪽은 실제로 새끼손가락을 바깥으로 미는 훈련을 하고 나머지는 그렇게 하는 상상만 하도록 했어. 12주 후, 실험에 참가한 사람들의 새끼손가락 힘을 측정했더니 놀라운 결과가 나왔지. 실제로 근육 훈련을 한 사람들뿐만 아니라 ...
- 훈련받는 바퀴벌레어린이과학동아 l20071011
- 이탈리아 파엔차에서 태어났다. 갈릴레오 갈릴레이에게서 학문을 배웠으며 물과 같은 유체의 압력과 운동 등을 연구했다. 1643년 한쪽 끝이 막힌 관에 수은을 담은 뒤 수은 용기 속에 거꾸로 세워 관 안에 진공이 생기는 것을 발견했다. 토리첼리는 이 진공이 대기압에 의해 생긴다는 것을 알아 내고 수은을 이용한 기압계를 만들었다. {BIMG_l12} ...
- 괴물동물원 비밀노트(1)어린이과학동아 l20070810
- 이 때 눈에 맺힌 상이 두 개가 있어야만 ‘입체시’를 느낄 수 있다. 즉 한쪽 눈으로만 물체를 보면 입체로 보이지 않는다. 한쪽 눈을 감고 양 손에 연필을 쥐고 팔을 벌렸다가 서서히 오므려 연필 끝이 서로 닿도록 해 보면 눈이 두 개인 이유를 금세 알 수 있다. 외눈박이는 손재주가 뛰어나 성도 잘 쌓고 대장일도 잘했다고 전해 오는 ...
- 상상이 현실로~ 얍! 가상현실(2)어린이과학동아 l20070531
- 눈과 왼쪽 눈으로 보는 장면은 서로 조금 달라서 두 장면이 합쳐졌을 때 비로소 거리나 깊이를 제대로 느낄 수 있게 된다(실제로 한쪽 눈을 가리고 실험해 보자.). 그래서 생생한 입체 영상을 보기 위해서는 각 눈에 해당하는 화면이 각각 있어야 한다. 특수 안경을 통해 각각의 영상을 눈으로 보내면 이 정보가 뇌로 전해져 입체감을 느끼게 된다. [소 ...
이전4344454647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