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치
정리
배합
정돈
순서
배포
병치
뉴스
"
배열
"(으)로 총 714건 검색되었습니다.
[기본단위 재정의] 4개 기본단위는 왜 새로운 기준이 필요했나
2018.11.18
순수한 실리콘으로 구 2개를 만들었다. 이 구는 순수한 실리콘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원자
배열
이 일정한 격자 구조로 반복된다. 아보가드로 구의 부피를 측정한 다음, 그 안에 들어 있는 격자의 거리를 X선으로 측정하면 구 안에 들어있는 전체 실리콘 원자의 수를 알 수 있다. 원자 수가 결정되면 ... ...
마약중독치료제 및 항암제 후보물질 합성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11.15
성공했다. 다양한 효소의 작용을 통해 식물 내에서 이뤄지는 이보가 골격의 분자적 재
배열
을 화학적으로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타버틴진(tabertinggine)’과 ‘보아틴진(voatinggine)’, 그리고 ‘디피닌(dippinine)B’ 등이다. 특히 디피닌B를 합성하는데 성공한 것은 이번이 세계적으로도 처음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민들레 씨앗의 유체역학
2018.11.07
1㎜도 안 되는 아주 작고 가벼운 곤충이기 때문에 막 없이 일정한 간격으로 필라멘트가
배열
된 게 전부인 날개로도 날 수 있다. 이들에게는 하늘을 날아다닌다는 것보다 헤엄친다고 하는 게 더 적절한 표현이다. 이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은 학술지 ‘네이처’ 10월 18일자에 실렸는데, 같은 호의 ... ...
차세대 전자소자 ‘유기반도체’ 실용화 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5
돼왔다. 유기반도체는 분자량이 큰 ‘고분자’ 물질로 내부 분자의 위치가 규칙적으로
배열
돼 있어야 전하이동도가 높다고 알려져 왔다. 연구진은 고분자 물질 내부에서 전하이동과 관계된 일부 분자의 위치만 규칙적으로 배치하면 다른 분자들의 구성이 불규칙해도 효율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 ...
재생 '인조근육’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1.05
향상되는 효과도 확인했다. 김 교수는 “이 연구는 세포 나노 섬유를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
시키는데 성공한 첫 사례로”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재료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스몰(Small)에 10월 11일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 ...
녹조류에서 전기 뽑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31
쉽게 다룰 수 있도록 단일층의 세포 필름을 제작했다. 바늘모양의 나노 전극이 조밀하게
배열
된 기판을 개발해 대량의 조류세포를 연결했다. 나노 전극 기판 위에 세포 필름을 샌드위치처럼 올려놓고 압력을 가하면 전극이 수많은 조류에 삽입되면서 전류를 뽑아낼 수 있다. 이렇게 만든 생체 ... ...
고성능 전자소자 만드는 단결정 포일 쉽고 싸게 제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9
때 불규칙했던 포일의 원자
배열
이 규칙적으로 바뀐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원자의
배열
을 흐트리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무접촉 방식을 택한 것이다. 진 연구위원은 “다결정 금속 포일의 여러 결정립 중에 가장 표면에너지가 낮은 결정립을 중심으로 주변 결정립들이 합쳐져 하나의 결정립이 되고, ... ...
비틀어도 잘 작동하는 웨어러블 기기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3
인쇄식 공정으로 제작도 간편하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진은 구조체의 강도와 크기,
배열
에 따라 신축 시 박막 소자가 받는 기계적 변형력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원하는 영역에 기계적 변형력을 집중시키거나 분산시킬 수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제어 기술은 금속, ... ...
밤에도 ‘열일’하는 태양전지 개발되나
과학동아
l
2018.10.02
배열
한다. 연구팀은 압전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원자
배열
전체를 압전효과를 띠는
배열
로 바꿔 반도체를 제작했다. 그 결과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와 비슷한 효율인 20%대를 유지하면서도 훨씬 얇고 가벼우며 밤에도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태양전지용 반도체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송진동 ... ...
GIST연구진, 고온살균 가능한 인체 이식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9.27
전도성 고분자 물질의 미세구조를 분석하고, 첨가제 없이 물질의 고결정성 분자를 재
배열
하게 만드는데 성공했다. 이 결과 소재의 성능과 수용액상 안정성이 크게 높아져 고온과 고압을 견딜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윤 교수는 “전도성 고분자 물질의 성능 향상과 용액 안정성을 비교적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