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산지
생육지
서식환경
자생지
원산지
본바닥
뉴스
"
서식지
"(으)로 총 512건 검색되었습니다.
[오지 연구원이 된 동물들] AI 전파경로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
과학동아
l
2015.11.30
발견됐는지를 확인하는 정도였다”며 “기술 발전 덕분에 조류의 상세한 이동경로와
서식지
등 생태 특성을 알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 더 많은 과학기사를 2015년 12월호 과학동아에서 만나보세요. ... ...
선인장, 예쁜 꽃 때문에 사라질 수도
2015.10.13
선인장을 위협하는 요인 중 하나다. 사람이 기르는 가축의 수가 점점 늘어나며 선인장의
서식지
를 침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케빈 개스턴 엑시터대 교수는 “이번 연구로 선인장이 사람의 활동과 동물 때문에 위협받고 있다는 큰 그림을 얻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에리오시스 칠렌시스(Eriosyce ... ...
신토불이 과학연구 노벨상 거머쥐다!
2015.10.06
감염되면 극심한 피부가려움과 각막염증으로 결국 실명하게 돼, 강(매개 곤충인 흑파리
서식지
)을 낀 마을에는 실명자가 가득한 절망적인 상황에서, 주민들은 알약 하나를 먹고 다음날부터 가려움증이 사라지는 기적을 체험하고 환호했다. 1985년 머크사의 대표가 된 바겔로스는 1987년 이버멕틴의 ... ...
체르노빌 원전사고 29년, 야생 동물이 돌아왔다
2015.10.06
개체수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체르노빌 지역에 서식하는 늑대 수는 일반 자연
서식지
보다 7배 더 많았다. 연구팀은 사고 후 1~10년 사슴과 맷돼지 수가 꾸준히 증가한 사실도 확인했다. 이 기간 중 맷돼지 수가 감소하는 시기도 있었지만, 방사능 노출과는 관계없는 전염병 때문인 ... ...
치약 속 미세 알갱이가 환경을 파괴한다고?
2015.09.27
및 기술(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미국에서 하루에 수생
서식지
로 유입되는 마이크로비드의 양은 8조 개에 이른다. 첼시 로흐만 미국 캘리포니아대 연구원 팀은 “매일 테니스장 300개 이상을 덮을 수 있는 알갱이가 발생하고 있다”며 “작은 알갱이가 커다란 오염을 ... ...
설악산 산양과 울진 산양, 유전자가 다르다
2015.09.02
- 설악녹색연합 박그림 제공 같은 한국 산양이라도 대관령을 기준으로 남과 북의
서식지
에 따라 유전적 구조가 다르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항 서울대 수의대 교수팀은 희귀 멸종위기종인 한국 산양들의 유전자를 비교한 결과 크게 두 집단으로 나눌 수 있었다고 2일 밝혔다. 연구진은 국내 ... ...
“죽지 말고 살아 다오” 수원청개구리에게 슈퍼파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8.28
국제 학술지 ‘생태 정보학(Ecological informatics)’ 8월호에 발표했다. 그는 “수원청개구리
서식지
로는 넓은 논이 적합한데, 도로나 택지 개발로 논이 쪼개지거나 줄어들고 있어 문제”라며 “개체와 서식처 복원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번에 방사한 수원청개구리가 다 자랄 때까지는 2년 정도 ... ...
멸종위기 1급 산양 오대산에 자연방사, ‘백두대간 산양 생태축 복원’
동아닷컴
l
2015.07.16
있다. 송동주 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 원장은 “백두대간 내 산양 생태축은
서식지
의 파편화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단절돼 있는 상태”라며 “이번 방사를 통해 산양의 개체수가 확대되고 유전적 다양성이 증대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종복원기술원은 백두대간 산양 생태축 복원을 위해 ... ...
파도따라 밀려온 ‘독한 놈들’ 일단 피하는 게 상책
2015.07.11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기후 변화로 해수 온도가 상승하면서 한반도 해역까지
서식지
를 넓혔다. 고 박사는 “수온이 올라가면서 파란고리문어가 서식할 수 있는 북방한계선이 한반도 해역까지 올라왔다”면서 “파란고리문어는 우리 바다에 정착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 ...
대나무 없인 못살아! 판다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6.30
판다가 고작 1600여 마리밖에 남아 있지 않았어요. 중국에서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판다
서식지
인 대나무숲이 급격하게 줄었기 때문이에요. 파울로 그랑종은 사람들에게 판다의 위기를 알리기 위해 재활용 종이로 판다 인형 1600개를 만들었어요. 그리곤 ‘1600 판다+의 세계여행 프로젝트’라는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