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조상"(으)로 총 607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3] 현대인들에게 수탉의 울음이 필요한 이유2017.01.04
- 생쥐와 사람에서도 여기에 해당하는 유전자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즉 7억 년 전 공통조상에서 갈라진 무척추동물과 척추동물이 유전자를 공유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1994년 하루 28시간 주기를 보이는 돌연변이 생쥐가 나왔다. 생체시계가 고장 난 이 생쥐에게 연구자들은 ‘클럭(Clock)’이라는 ... ...
- [2017 신년기획_그것이 알고싶닭] ④ (팩트 체크) 붉은 닭, “저는 억울한 게 많습니다!”동아사이언스 l2017.01.04
- 묻는다면, 닭도 할 말이 많습니다. 요즘 양계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가축용 닭의 조상은 적색야계(Gallus gallus)입니다. 붉은 닭의 해에 다시금 주목받고 있는 적색야계는 약 3000만 년 전에 탄생했습니다. 목 아래와 몸통 부분이 붉고, 꼬리로 갈수록 검은 깃털을 가진 적색야계는 오늘날 순수혈통을 ... ...
- 60년에 한 번 오는 붉은 닭의 해 길들여지지 않는 새, 이클립스 깃털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7.01.03
- 됐다. 과학동아 제공 ● 유전자 연구, 최초의 ‘집닭’ 위치 밝혀 DNA를 이용해 닭의 조상을 찾으려는 시도는 1990년대 일본에서 시작됐다. 현재 일왕인 아키히토의 차남으로 생물학자였던 아키시노노미야 후미히토가 꾸린 연구팀은 1994년, 유전자 분석을 통해 닭이 태국에서 처음 사육됐을 것이라는 ... ...
- 크리스마스 트리로 생물의 진화 과정을 한눈에!동아사이언스 l2016.12.24
- 길게 이어 나타냈습니다(위 그림에서 두 번째 줄). 팬던트로 표현된 두 종은 같은 조상은 아니지만, 사돈의 팔촌처럼 먼 친척 관계를 말합니다. 파포비치 교수는 이렇게 체리와 펜던트 단위를 이용해 생물의 진화 과정을 트리 그래프로 나타냈습니다. 물론 각 체리 또는 펜던츠의 개수는 자신이 ... ...
- 약점을 강점으로 바꾼 무궁화의 생존 전략은?동아사이언스 l2016.12.20
- 해독, 총 8만 7603개의 유전자를 분리, 분석했다. ▲카카오, 목화, 애기장대와 모든 꽃의 조상으로 불리는 암보렐라 등 4종 식물의 유전체도 분석해 비교했다. ▲그 결과 무궁화는 같은 아욱과에 속하는 카카오와는 3000만 년 전에, 목화와는 2200만 년 전에 다른 종으로 분화한 것으로 밝혀졌다. ... ...
- 과학자가 조류독감(AI) ‘과도하게’ 신경쓰는 이유는?2016.12.19
- 곳에 있습니다. 바로 인간과 비슷한 신체를 가진 영장류입니다. 침팬지의 조상과 인류의 조상이 서로 다른 길을 가기 시작한지, 약 700만년이 흘렀습니다. 세계 각지로 떠나 살게 된 인간과 달리, 침팬지는 줄곧 열대 밀림을 지켜 왔습니다. 따라서 인간보다 다양한 병원체 레퍼토리를 가지고 ... ...
- [생활의 시선 44]입맛을 일으키는 ‘무’의 힘을 빌려서라도2016.12.17
- 메밀로 국수를 만들어 먹던 조선인들에게는 아무런 문제가 생기지 않았더란다. 우리 조상들은 슬기롭게도 메밀과 함께 무를 곁들여 먹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늘날에도 식당에서 손님에게 냉면이나 막국수를 내놓을 때 김치 대신에 무절이가 테이블에 놓이는 것이며, 일본식 메밀소바에도 무즙을 ... ...
- 공룡진화 비밀 풀릴까… 9900만 년 전 공룡 꼬리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16.12.11
- Coelurosaurus)’의 새끼일 것으로 추정했다. 코엘루로사우루스는 새의 조상으로 여겨지는 공룡으로, 육식성 두 발 공룡인 수각아목과에 속한다. 대표적인 육식 공룡인 티라노사우루스(Tyrannosaurus)나 벨로키랍토르(Velociraptor)와 비슷한 습성을 가졌지만 몸집은 타조보다 약간 작다. 날지 못하는 ... ...
- “130년 만에 시조새 무너뜨린 깃털공룡”어린이과학동아 l2016.11.29
- 이후, 시조새는 공식적으로 새의 조상으로 여겨졌다. 반면 고생물학계에서는 ‘새의 조상은 육식공룡’이라는 공룡-조류 진화설을 주장했다. 하지만 이를 뒷받침할 만한 증거를 찾지 못했다. 만약 새가 공룡에서 진화했다면 비늘이 깃털로 바뀐 증거가 필요한데, 깃털 달린 공룡이 최초로 ... ...
- 보노보도 노안은 못 피해!2016.11.14
- 를 나타낸 그래프 범위 안에 들어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적어도 사람과 보노보의 공통조상이 갈라진 이후 사람에게 노안을 늦추는 진화는 일어나지 않았다는 말이다. 노안이야 별 수 없다지만, 청소년 시절 쉬는 시간이라도 교실 밖에 나가 밝은 빛을 쬐는 습관을 들였다면 지금처럼 심한 근시가 ... ...
이전4344454647484950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