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살"(으)로 총 672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이언스 지식IN] 우리 고양이, 조류독감에서 안전한가요?동아사이언스 l2017.01.02
- 방법이 될 수 있지요. 하지만 언제 어디로 갈지 모르는 길냥이와 같은 야생 동물을 살처분 하는 것은 (묘권 문제를 떠나서 생각 하더라도) 비효율적입니다. Q4. 우리집 냥이, 멍이는요? 집 안에만 있으면 안전한가요? 네. 걱정하실 필요 없습니다. 집 안에서만 키우는 고양이나 개는 AI에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4) 생명과학에 보는 재미를 더해 준 로저 첸2016.12.29
- 이끈 첸쉐썬이다. 여덟 살 때부터 집에서 각종 화학실험을 해온 천재 소년 로저는 열여섯 살에 ‘MIT를 피해’ 하버드대에 들어갔다. MIT에는 아버지와 삼촌들, 형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하버드대에서 화학과 물리학을 공부한 첸은 돌연 화학에 염증을 느껴 영국 케임브리지대로 유학해 생리학을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바빠 죽겠는데, 남을 도우라고?2016.12.27
- 빨라지면 우리는 여유 시간이 늘어나게 되고 그 결과 심적으로 여유로운 삶을 살게 될까? 논리적으로는 그렇다. 하지만 실제로는 반대의 현상들이 상당히 관찰된다. 예컨대 효율성이 좋아질수록 사람들은 그만큼 ‘참을성이 없어지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그리고 남는 시간에 쉬기보다 더 많은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0) 현장에 개입해 핵심종 개념을 만든 로버트 페인 2016.12.24
- 마침내 불가사리를 더 이상 잡아들이지 않기로 했다. 그의 말에 따르면 자신이 영원히 살 것도 아니기 때문에 불가사리가 돌아왔을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였다고 한다. 예상대로 불가사리가 돌아오자 해안을 뒤덮은 홍합이 급속히 줄어들며 얼마 지나지 않아 예전 모습을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9) 교육에 대한 관점을 근본적으로 바꾼 제롬 브루너2016.12.23
- 6월 5일 영면했다. 브루너는 1915년 미국 뉴욕에서 눈이 먼 상태로 태어났다. 다행히 두 살 때 백내장 수술을 받아 시력을 얻었는데, 이 경험은 훗날 지각에 대한 새로운 이론을 낳게 했다. 브루너는 듀크대에서 심리학을 공부한 뒤 하버드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군 복무 뒤 1945년 하버드대에 자리를 ... ...
- 조류독감은 백신으로 예방할 순 없나요?2016.12.21
- 제공 문제는 시간입니다. 백신을 본격적으로 도입하는데 3개월 이상이 필요합니다. 이미 살처분된 가금류가 2000만 마리를 넘긴 상황에서, 3개월은 너무 긴 시간이지요. 3개월 뒤에 설마 조류독감이 계속 유행하고 있진 않을테니 말입니다. 지금 유행하는 H5N6형 바이러스의 경우, 완성된 백신은 없고 ... ...
- [사이언스 지식IN] ④ 독감, 재발하기도 하나요?동아사이언스 l2016.12.21
- 다른 해보다 유독 빨리 시작된 독감 유행의 결과인 셈이죠. 왜냐하면 지난 과거 자료를 살펴보면, 독감은 우리에게 익숙한 산 모양 그래프를 그리며 최고점을 찍고 점차 사그라드는 양상(아래 그래프 참조)을 보였거든요. 아마도 우리는 지금 독감 대유행의 최고점을 향해 달려가고 있는 중일 ... ...
- 장년 외벌이 부부를 위한 재테크 포인트2016.12.21
- 혹은 좀 더 변두리로 아파트를 옮겨서 차액을 평생 소득 화하는 것이다. 김희망 씨가 살던 지역과 지인들을 떠나고 싶지 않다면 주택연금을 이용하는 것도 한 방법일 것이다. 단기적 ‘몰빵’ 투자보다 장기투자 계획 세워야 남은 직장 생활 동안 금융투자는 어떻게 할까. 중 장년층이 되면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8) 힉스 메커니즘을 제안한 토머스 키블2016.12.21
-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고 1963년 박사후연구원으로 ICL에 온 제럴드 구럴닉은 네 살 연상인 키블과 친해졌고 두 사람은 당시 화제가 되고 있던 자발적 대칭성 깨짐에 대한 연구를 함께 했다. 이 무렵 구럴닉의 친구인 칼 헤이건이 ICL에 오면서 세 사람의 공동연구로 발전했고, 약력을 매개하는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7) 메타개체군 연구를 심화시킨 ‘일카 한스키’2016.12.20
- 흩어져 있는데 이게 국지개체군이다. 인류가 농사를 짓고 서식지를 넓히면서 동식물이 살 수 있는 영역이 점점 파편화되면서 메타개체군이 늘어나고 있다. 메타개체군 분야를 개척한 생태학자 일카 한스키(Ilkka Hanski)가 지난 5월 10일 63세로 별세했다. 1953년 핀란드 렘페레에서 태어난 한스키는 ... ...
이전4344454647484950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