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나라
대한민국
모국
국내
d라이브러리
"
우리나라
"(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위성이 안전 착륙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현재 프랑스도 위성 기반 항법시스템 개발을 완료한 상태다.지난해 시험비행을 마친
우리나라
의 위성 기반 착륙시스템은 미국과 프랑스에 이은 세계적인 성과다. 서울대 위성항법시스템연구실과 항공우주연구원 등이 참여해 개발한 이 시스템은 2007년 경 제주나 울산 등 국내 지방 공항을 시작으로 ... ...
예술로 피어난 과학 식물세밀화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을 만들고 있습니다. 40여명의 식물분류학자들이 참여하고 있죠.”뒤늦은 감이 있지만
우리나라
도 식물세밀화 제작이나 표준식물목록 작성 등 식물학 연구에 기반이 되는 작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이다.“많은 사람들이 제비꽃의 작은 꽃잎 속에, 바람에 날리는 민들레의 솜털 달린 씨앗 속에 ... ...
머리 많이 쓸수록 뇌는 '웰빙'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최근
우리나라
에서는 ‘웰빙’ 열풍이 한창이다. 그런데 뇌과학 분야에서는 벌써 몇년 전부터 나이가 들어도 뇌의 젊음을 유지할 수 있는 비결을 찾기위한 웰빙 연구가 시작됐다. 조금 전에 들은 내용도 까맣게 잊어버리거나 치매 할머니가 있는가 하면, 몇달 전에 일어났던 일까지도 속속들이 ... ...
태양건축 에너지 완전자립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축열조는 열손실을 최소화하는 한편 저장된 열이 다시 공간난방에 사용되도록 설계됐다.
우리나라
의 대다수 주택에 적용된 저온 바닥복사 난방 방식을 도입했다는 점은 주의깊게 볼 대목이다. 공기를 직접 덥히지 않고 바닥이나 벽에 열을 공급해 간접적으로 실내온도를 올리는 이 방식은 쾌적도가 ... ...
1. 반갑다 향고래야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이중 5천1백14마리가 지금은 사라져버린 참고래이고 1천3백06마리는 귀신고래였다고 한다.
우리나라
는 해방직후 상업적 고래잡이를 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풍부했던 북방긴수염고래, 참고래, 혹등고래, 귀신고래 등 대형고래들은 더이상 찾아볼 수 없게 됐다. 19세기 중반이후 거의 1세기 동안 진행된 ... ...
황사박사 전영신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그래서 연구할 게 더 많지요.이전에는 연구한 사람이 없었나요?그때까지만 해도
우리나라
는 물론 전세계적으로 황사에 관심을 가진 사람이 거의 없었어요. 일본에도 한명뿐이었어요. 막상 일본에 갔는데 그 연구가조차도 몇해 전에 죽고 없더라구요. 지금은 그새 50명으로 늘어났지만.당시 ... ...
우리 역사에서 찾아낸 나무의 과학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교수의 말을 누가 헛으로 들을 수 있을 것인가.정년을 1년반 정도 남기고 있는 박 교수는
우리나라
가 주빈국으로 참석하는 ‘2005 프랑크푸르트 도서전’에 출품될 ‘한국의 책 1백권’ 에 선정된 ‘궁궐의 우리나무’ 의 일본어 번역작업으로 더욱 바쁠 듯 하다. 시간이 허락되는 대로 몇해 전에 냈던 ... ...
2. 지리산 반달가슴곰 반돌이 가출사건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최상층소비자이자, 외부 위협요인으로부터 하위 소비자를 보호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에 많은 참나무와의 생태적 공존관계도 중요한 이유다. 참나무의 열매인 도토리는 반달곰의 주요 먹이이고, 반달곰은 참나무 종자를 다른 지역으로 운반한다. 또 참나무로 대표되는 온대 활엽수림은 침엽수림에 ... ...
개성만점 별난 나무목재 이야기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많이 쓰인다. 이 나무도 흰개미를 쫓는 성분이 있어 건축재나 조선 분야에 널리 쓰였다.
우리나라
남해안 일대에 일부 분포하고는 있지만 자주 쓰이지는 않는다.캐나다 국기에 그려진 붉은 단풍잎은 단맛으로 유명하다. 북미지역 특히 캐나다에서 많이 자라는 이 나무는 일명 설탕단풍. 고로쇠처럼 ... ...
시민 법의학 그림으로 보는 사건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늘어났다. 하지만 아직까지 법의학 자체에 대한 인식은 부족한게 사실이다.이런 가운데
우리나라
법의학계의 대부로 통하는 문국진 교수가 쓴 이 책은 “법의학은 사회와 국민의 일상생활 속에서 살아숨쉬는 ‘현장의 학문’ 이어야 한다” 는 그의 지론대로, 우리가 흔히 접하는 명화와 다양한 ... ...
이전
477
478
479
480
481
482
483
484
4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