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모양
윤곽
외형
형식
생김새
폼
d라이브러리
"
형태
"(으)로 총 6,831건 검색되었습니다.
꿈을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1백인치 정도까지 대화면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다. 같은 방법으로 투사기를 TV
형태
로 만든 프로젝션 TV도 있다(그림4).투사 방식을 이용해 화면을 크게 하면 영화화면 부럽지 않게돼 투사형 디스플레이로 가정용 극장을 꾸미려는 사람들이 많다. 집에서 정보통신망을 이용, 보고싶은 영화를 다운로드 ... ...
① 잠은 꼭 자야 하나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수면) 또는 짧게 두번(밤에 5-6시간의 수면을 취하고 오후에 1-2시간의 낮잠을 취하는
형태
) 다르게 잘 뿐이다.뇌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질까- 깊게 잠들 때 성장호르몬 분비수면을 연구하던 초기에는 수면이 피곤할 때나 뇌가 정상적인 작용을 하지 못할 때 일어나는 과정 이라 여겼다. 즉 잠잘 때 뇌는 ... ...
인류의 새 터전 우주식민지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우주 진출의 미래 - 지구는 돌아올 수 있는 고향인류가 개척할 우주식민지의 궁극적인
형태
는 물론 외계 행성이 될 것이다. 가깝게는 지구를 제 외한 태양계의 다른 행성들부터 멀리는 은하계 각지의 수많은 별들, 그리고 더 나아가서 은하계 밖의 까마득한 외계도 인류의 발길을 기다리고 있다 ... ...
슈뢰딩거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경우도 있다. 파동이론, 즉 전자가 원자의 핵둘레에 산재한 점(입자)이 아니라 파동
형태
로 존재한다는 점을 밝혀 20세기 물리학에 커다란 획을 그은 슈뢰딩거가 대표적 예다.슈뢰딩거는 일생 동안 수많은 여자와 열정적으로 연애했다. 그에게 연애와 과학적 탐구는 따로 떼어놓을 수 없는 존재였다. ... ...
중세대학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파리 대학, 1210년경 옥스퍼드 대학이 설립 됐는데, 대부분 성당학교 체제에서 발전한
형태
였기 때문에 성직자를 양성하는 것이 최고의 목표 였다. 과학 연구는 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우주론, 생물학, 물리학 저작을 읽고 토론하는 수준이었 다. 교수와 학생 모두 새로운 과학 내용을 탐구하기보다 ... ...
영재교육 뿌리내릴 것인가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청주교육대 정병훈 교수의 설명이다. 충북대학교가 중등영재교육을 담당하는 컨소시엄
형태
로 선정됐기 때문에 초등과 중등학생의 영재교육을 연계적으로 실시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학교에서 추천 받은 충북지역 3-5학년의 우수한 초등학생들을 과학, 수학 분야의 선다형 지필 검사와 ... ...
탄소로 만들어진 꿈의 신소재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축소시킨 모양을 가진다.나노튜브의 둥근 끝부분은 풀러렌을 절반으로 나누었을 때의
형태
와 비슷하다. 물리적·화학적 성질도 유사하다. 따라서 풀러렌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는 나노튜브의 끝부분끼리 연결하는 전도체를 찾는데 큰 도움을 준다. 풀러렌 분자는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고(1g에 ... ...
유전자 조작 식품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consensus conference)는 1980년대 후반 이후 유럽에서 새롭게 확산되고 있는 참여민주주의의 한
형태
다. 과학기술정책의 입안 과정에서 과학기술과는 동떨어진 보통 사람들의 견해를 적극적으로 반영시키는게 목적이다.합의회의는 1987년 덴마크에서 '농업과 산업에서의 유전공학의 적용'을 주제로 ... ...
④ 동물들의 잠버릇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달성하는 한 방법이 곧 잠을 많이 자는 것이다.에너지를 아끼는 목적을 가진 특수한
형태
의 잠으로 두가지가 있다. 첫째는 피그미 생쥐나 벌새 같은 작은 포유류와 조류들에서 나타나는 얕은 휴면 상태이다. 이 얕은 휴면 상태에서는 체온이 매일 주기적으로 37℃에서 8℃(때에 따라 거의 0℃까지 ... ...
삶의 지혜 듬뿍 담긴 주방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저장해야 할 필요가 없다. 일반적으로 산소는 근세포 속에 있는 단백질인 미오글로빈의
형태
로 저장된다. 따라서 흰살 생선에는 미오글로빈이 많지 않다. 미오글로빈은 조류나 포유류의 근육을 붉그스름하게 보 이도록 하는 물질이다. 즉 고기가 붉은 것은 피 때문이 아니라 미오글로빈 때문이다. ... ...
이전
479
480
481
482
483
484
485
486
4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