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른사람"(으)로 총 12,27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검은 태양이 유혹하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태양이 달에 완전히 가려지는 장엄한 우주의 드라마를 보면 누구나 태양의 매혹적인 아름다움에 최고의 찬사를 보낸다고 한다. 나도 그러기를 기대하면서 호주 개기일식 탐사를 준비했다.2012년 3월 천체관측자들의 모임인 야간비행(www.nightflight.or.kr)에서 탐사 원정대가 조직되었다. 개기일식과 더 ... ...
- PART 2. 마법의 블루 팩토리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지구 온난화의 주범으로 떠오르는 물질은? 십중팔구는 이산화탄소(CO2)를 떠올린다. 그런데 버리는 CO2를 다시 이용할 수 있다면? 에너지를 만들 때 배출되는 CO2로 다시 에너지를 만들 수 있다면? 1시간 동안 태양에서 나오는 빛은 세계 모든 사람들이 1년간 사용해도 남을 에너지를 지구에 쏟아붓는다 ... ...
- 함께 사는 지구, 그런데 왜 부자만 건강할까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부자 엄마에게서 태어난 아기는 더 건강하고 오래 산다? 사회, 경제적 지위가 높으면 스트레스를 덜 받는다? 월급이 많은 사람과 적은 사람이 나뉘는 것은 진화의 결과다? 당연한 말 같기도 하고 아닐 것 같기도 한 속설들. 하지만 상당수가 과학적 사실로 밝혀지고 있다는데…. 소득 불균형을 둘러 ... ...
- 7년째 잡히지 않은 77246 위조지폐의 비밀과학동아 l2012년 12호
- 2005년부터 지금까지 피해금액 2억 3000여 만 원. 하나 같이 ‘77246’이란 일련번호가 찍힌 옛 5000원 권 위폐 때문에 발생한 피해 금액이다. 지난 10월 또 한 장의 같은 위폐가 발견돼 지금까지 누적된 77246 위폐의 숫자는 총 4만 5838장이다. 77246 위폐는 과연 완전범죄가 될 것인가. 기자는 한국은행 발권 ... ...
- 2012 올해의 과학책과학동아 l2012년 12호
- 과학계에 유난히 굵직한 ‘사건’이 많았던 한 해였다. 연말을 맞아, 차분히 올해 어떤 일이 과학계에서 회자됐는지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면 어떨까. 가장 먼저 할 일은 당연히 올해 1년치 과학동아를 복습하는 일. 그래도 좀 더 깊이 알고 싶다면 지금부터 소개하는 올해의 과학책을 만나보자. ... ...
- 환경도 지키고 맛도 그만! 들풀의 재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애기똥풀, 개망초, 괭이밥…. 정말 재미있는 이름이다, 그치? 이런 들풀의 이름을 잘 알아 두면 도움이 될거야. 요즘은 들풀을 정말 다양하게 이용하고 있거든. 게다가 들풀의 새로운 면은 계속해서 밝혀지고 있지.우리 주변의 들풀이 어떤 일을 하는 지 한 번 알아볼까. 흙을 지키는 애기똥풀요즘 ... ...
- 영상 신호 스스로 분리한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불과 3년 전, 영화 ‘아바타’는 센세이션을 불러일으켰다. 외계 행성 토착민 몸에 사람의 의식을 주입, 새로운 생명체 아바타를 탄생시키는 시나리오도 충격이었지만 3차원(3D) 영상에 대한 경험은 압도적이었다. 3년여가 흐른 지금, 새로 TV를 사는 사람들은 너도나도 3D TV를 산다. 3D TV를 사도 가장 ... ...
- 사회기반시설물 파괴와 산사태, 환경토목공학의 과제과학동아 l2012년 12호
- 기후변화와 사회기반시설물 파괴, 둘의 일치점은? 지난 11월 2일, 정상섬 교수님을 찾아 뵀다. ‘기후변화! 토목환경공학의 역할은?’ 이란 주제로 열린 강연에서 교수님은 ‘적응기술’과 ‘산사태’의 피해에 따른 예측 연구에 대해서 재차 강조하셨다. “기후변화는 더욱 빈번해지고 악화될 것입 ... ...
- 치과의사 '아나프니 이뽀브라'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으아으아 이아이아 아흐아~!”다무러가 아침부터 턱을 부여잡고 데굴데굴 굴러다녔다. 이가 아파서다.썰렁홈즈는 다무러를 데리고 치과병원을 찾아갔다.“음…. 조금만 늦어도 큰일 날 뻔 했군요. 이가 모두 다 썩었어요.”치과의사 ‘아나프니 이뽀브라’는 심각한 표정을 지었다.“그러게 칫 ... ...
- 손으로 말해요! 수화수학동아 l2012년 12호
- 영어, 일본어, 중국어, …. 우린 외국어를 배우는 데 열심이다. 그런데 정작 주변에서 사용되고 있는 ‘이 언어’는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바로 손으로 말하는 수화다. 낯설 수도 있지만, 수화는 이 세상을 이루는 또 하나의 언어다. 간단한 수화도 배워 보고, 수화 속 수학의 원리도 알아보자.수화 ... ...
이전4804814824834844854864874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