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필요"(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서울공대카페 21 조선해양공학과 “커다란 고래 같은 공학”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지형을 탐사할 수 있습니다. 지형탐사는 바다를 연구할 때 가장 기초적이면서도 반드시 필요한 분야입니다. 이 탐사 방법을 이용하면 석유나 광물 같은 해저 자원을 찾을 수도 있습니다.수중 음향 기술이 가장 활발히 쓰이는 곳은 군사 분야입니다. 잠수함이나, 군함에는 적 탐지를 위해 수중 음향 ... ...
- [hot science] 아침사용설명서과학동아 l2014년 10호
- 1석 2조 활동인 셈이다.숙면-운동-샤워-식사-쾌변으로 시작하는 하루, 사람에겐 당연히 필요한 조건이지만 세상 그 무엇보다도 학업이 중요한 우리나라 학생들은 그동안 보장받지 못했다. 이제 조금씩 바뀌고 있다. 전북 교육청은 10월부터 9시 등교를 시행할 예정이며 서울과 광주, 제주 교육청도 9시 ... ...
- [life & tech] 과학자와 예술가의 만남 2014 아티언스 오픈랩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늦여름 대전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뉴턴의 사과나무’ 옆에 노란 컨테이너 9개가 나타났다. 한 컨테이너 안에 들어서자 소수점 9자리까지 표시된 디지털시계가 제일 먼저 눈에 들어왔 ... 처음부터 엄청난 것을 기대하면 금물이다. 아직은 서로 더 많이 친해질 시간과 기회가 필요하다 ... ...
- [career] 나라 먹여 살릴 벤처 키운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이를 위해 마련한 것이 ‘1사 1학생(연구과제) 후원 캠페인’으로, 취지에 공감한 기업이 필요한 연구자금을 장학금 형태로 지원하는 것이다.캠페인 소식을 들은 포항상공회의소와 포항철강관리공단이 적극 나서면서 현재 조선내화, 삼화피앤씨, ㈜융진 등 지역 기업들의 참여가 잇따르고 있다. ... ...
-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말랑말랑 미끌미끌 해조류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또 해조류 중에 가장 많은 단백질이 들어 있기도 하지요. 미역은 100g만 먹어도 하루에 필요한 철분 권장량을 모두 섭취할 수 있을 만큼 철분이 풍부한 음식이랍니다.해조류는 주로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에서 즐겨 먹어요. 우리나라에서는 아기를 낳거나 생일이 오면 꼭 미역국을 먹고, 김, 파래, ... ...
- PART2. 한국은 에볼라 무방비 국가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바이러스를 산 채로 다뤄야 한다. 안전이 확보된 특수실험실 ‘BL4(Biosafety Level 4)’가 필요하다. 외부와 완전히 차단된 옷을 입고, 공기를 따로 공급받으면서 실험을 하는 곳이다(Inside 참조). BL4 실험실이 없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에볼라가 발생해도 확진할 방법이 없다. 시료를 미국으로 보내 ... ...
- 명량, 이순신 그리고 란체스터 법칙과학동아 l2014년 09호
- 해군의 공격력 차이는 압도적으로 벌어져 있었던 것이다.하지만 이 법칙에는 전제가 필요하다. 전장에서 정면으로 충돌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 쪽이 숨어 있다가 기습하거나 성벽 위아래에서 싸우는 공성전에서는 이 법칙이 성립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전제가 성립되지 않는 방향으로 전투를 ... ...
- 뇌과학으로 해결하자! 굿바이 학교폭력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어려울 만큼 신체적, 정신적 충격을 받았다면 외과나 정신건강의학과 등 병원에서 필요한 진료를 받아야 한다.집단폭력이 많아지는 이유도 뇌 탓?지난해 교육부가 실시한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학교폭력을 겪었던 아이들 가운데 약 66.2%는 두 명 이상에게 괴롭힘을 당했다고 답했다 ... ...
- [생활] 수학으로 상대방의 마음을 꿰뚫어 본다고?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유용한 감정 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감정 어휘를 세부적으로 구분하는 기초 사전이 필요하다. 감정 어휘들이 글에 어떤 감정이 담겨 있는지를 분석하는 기준이 되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말 감정 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우리말 감정 단어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우리말 어휘 중에서 ... ...
- 알쏭달쏭 자연의 기준이 궁금해!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철쭉꽃이 피었다고 봐야 할까, 아닐까? 이렇게 알쏭달쏭한 자연 현상을 정확하게 하는 데 필요한 게 기준이야.우리 동네 벚꽃 피었는지 알려주는 표준목!올해 서울에서 공식적으로 벚꽃이 핀 날은 3월 28일이야. 지난해보다 18일이나 빨랐지. 서울 벚꽃의 기준은 바로 서울 종로구 송월동에 있는 ... ...
이전4814824834844854864874884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