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응용
활용
적용
필요
수요
소용
d라이브러리
"
사용
"(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얼굴 읽어 주는 수학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것을 감안하면 거의 같은 수준이다. 페이스북은 이미 이 알고리즘을 적용했다. 현재는
사용
자가 직접 인물의 이름을 지정해 줄 필요 없이 알고리즘이 찾아준 결과만 확인하면 된다.알고리즘의 원리는 페이스북에 쌓여 있는 사진 중에서 찾고자 하는 사람의 얼굴과 가장 비슷한 얼굴을 찾아내는 ... ...
PART 2. 물리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로도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세계 전기 소비량의 4분의 1이 조명에
사용
된다는 점에서 LED는 에너지 절약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비빔밥 좋아하는 노벨상 수상자 “무엇보다도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먼저 찾아라. 그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리고 나서 정말 열심히 ... ...
[hot science] 카톡 정말 믿어도 될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수 없다. 비밀의 방은 비밀키를 서버에 남기지 않는 ‘디피-헬만’ 키 교환 방식을
사용
한다. 디피-헬만 방식은 시스템에 과부하를 주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적용하기는 힘들다. 그래서 텔레그램도 수준 높은 보안이 필요할 때 쓸 수 있게 비밀 채팅을 따로 만든 것이다. 비밀 채팅은 일정 시간 후에 ... ...
[과학뉴스] ‘다단계 점프’로 화성에 간 인도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메이븐이 16일 정도 빨랐다.인도는 지상에서 로켓을 발사한 뒤 작은 추진체를 여러 번
사용
하면서 고도를 맞추고 마지막 발사로 지구 중력을 벗어나 화성으로 향했다. 메이븐 프로젝트의 총책임을 맡은 미국 콜로라도대 브루스 자코스키 교수는 이점을 “매우 영리한 방법이었다”고 평가했다. ... ...
[life & tech] 당신의 발열공포가 아이를 괴롭힌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해열제를 적절한 용량으로
사용
해 편하게 해주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보통 해열제의
사용
간격은 4~6시간이다. 아이가 열이 떨어지지 않는다고 해서 다른 계열의 약을 섞어 자주 먹여서는 안 된다. 예상치 못한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무엇보다 중요한 건, 아이의 상태를 잘 살피는 것이다. 3일 ... ...
[life & tech] 짝퉁 꼼짝 마!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수만은 없는 일. 활로를 찾던 중, 그간 쌓아 온 화폐제조 노하우를 바탕으로 민간에서
사용
할 수 있는 위·변조 방지 기술을 개발하게 됐다.그의 안내를 받아 기술연구원 디자인연구센터로 들어섰다. 문을 열자마자 스케치 연습에 쓰는 다양한 석고상들이 눈에 들어왔다. 마치 고등학교 미술실에 ... ...
[knowledge] 생명의 양자도약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분자를 마치 거시세계의 축구공처럼 다룬다. 꼭 필요한 부분에만 양자역학 개념을
사용
할 뿐이다. 하이브리드라고나 할까. 분자 자체는 양자역학적 원리로 구성돼 있으나 분자 전체를 한 단위로 보았을 때 이것은 공이나 다름없다는 말이다. 불과 60개의 탄소원자가 모여 만들어진 풀러렌이란 ... ...
먹는 걸로 장난치면 예술!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어떻게 그리는지 궁금하다고요? 빅토르 누네스는 우선 주변을 보고 그림을 그리는 데
사용
할 사물을 선택해요. 그 다음 검은색 볼펜을 손에 쥐고 사물을 보고 생각나는 대로 그려서 여러 그림을 한 데 모으면 끝! 참 쉽죠? 친구들도 지금 바로 빅토르 누네스처럼 독특하고 창의적인 ... ...
닥터 그랜마, 전자파에 가로막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않는다면 무척 불편할 거예요. 그리고 전문가들은 휴대전화를 하루에 30분 미만으로
사용
하면 그다지 위험하지 않다고 조언했답니다. 그러니 닥터 그랜마도 쓸데없는 통화나 채팅, 웹서핑은 그만 두고 책을 읽거나 음악을 들으면서 여유로운 시간을 보내는 건 어떨까요 ... ...
Part 2 테러리스트 검거, 데이터 분석이 책임진다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중 하나로, 대규모 데이터에서 새로운 정보를 얻어내는 작업이다. 그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
하는 기법은 ‘분류’다. 데이터가 어디에 속하는지 결정하는 규칙을 만드는 것이다. 보스턴 폭탄 테러의 경우에는 목격자 진술을 바탕으로 흰색 야구 모자를 쓴 사람만 분류해 낸 뒤 이 중에서 검정색 ... ...
이전
483
484
485
486
487
488
489
490
491
다음
공지사항